윤나넨시스목서
중국 원산 야계화(野桂花), 운남계화(云南桂花)
델라바이목서와 마찬가지로 봄에 개화하므로 가을에 꽃피는 금목서 은목서들과는 구분이 된다.
중국 운남지방에는 여러 종류의 목서가 자생하고 있지만 그 중 우리나라에 등록된 것으로 델라바이목서 외에 또 하나가 있다. 그게 바로 윤나넨시스목서이다. 학명으로는 Osmanthus yunnanensis로 표기하는데 여기서 윤나넨시스(yunnanensis)는 중국 운남(云南)지방을 뜻한다. 원산지 중국 운남지방에서는 운남계화(云南桂花)로 불리고 있으나 중국의 정명은 야계화(野桂花)이다. 우리 이름도 운남목서로 하였으면 이해하기 좋았겠으나 중국지명을 라틴어로 변환한 학명을 다시 음역하여 우리 이름으로 정하여 등록하니 부르기 어렵게 되어 아쉽다.
이 나무 또한 중국에서 활동을 하던 프랑스 선교사 델라바이에 의하여 표본이 처음 채취되어 프랑스 식물학자 프랑쉐에 의하여 1886년 학계 보고되었으나 당초에는 델라바이목서와는 달리 이 나무는 돈나무의 일종으로 판단하여 Pittosporum yunnanense Franch(가칭 : 운남돈나무)로 명명되었다. 나중에 영국의 식물학자 George Forrest에 의하여 1923년 목서속으로 소개되고 Rehder가 Osmanthus forrestii Rehd로 명명하여 이것이 마치 최초의 발표인 양 알려졌으나 1958년 영국의 목서 권위학자인 피터 그린 (Peter Green)에 의하여 이 둘이 같은 것임이 밝혀져 결국 포레스트는 빠지고 최초 묘사자인 프랑쉐와 그린의 이름이 들어간 Osmanthus yunnanensis (Franch.) P. S. Green이라는 학명으로 변경되었다.
앞에서 본 델라바이목서와의 차이점은 주로 2m이하로 자라서 관목 형태인 델라바이목서에 비하여 윤나넨시스목서는 키가 10m까지도 자라는 큰 나무라는 점이 다르며 잎의 사이즈도 최대 4cm에 불과한 델라바이목서와는 판이하게 커서 길이가 최대 14cm에 달하며 꽃의 모양도 관모양이 아니라서 구분이 쉽게 된다. 금목서나 은목서 등과는 개화시기가 다르다.
등록명 : 윤나넨시스목서
학 명 : Osmanthus yunnanensis (Franch.) P.S.Green
이 명 : Osmanthus forrestii Rehd
분 류 : 물푸레나무과 목서속 상록 교목, 관목
원산지 : 중국 운남성, 사천성, 서장 등
중국명 : 야계화(野桂花), 운남계화(云南桂花)
수 고 : 3~6m, 최대 15m
수 피 : 회색, 소지광활, 담갈황색혹회백색, 구희소피공, 유지피유모
옆 편 : 혁질, 난상피침형혹타원형
잎크기 : 8~14 x 2.5~4cm
잎모양 : 선단점첨, 기부관설형혹근원형
잎거치 : 전연, 혹구20~25대첨치상거치
선 점 : 잎양면 침첨상돌기, 드물게 흑색소점
잎면맥 : 양면 중맥 철기, 측맥10~12대, 측맥과 소맥연접 망상, 양면불명현, 하면 명현철기혹 전연엽상 불명현철기, 간시황색
잎자루 : 0.6~1.5cm, 무모혹희피모
꽃차례 : 족생엽액, 매액내화5~12타
포 편 : 형대, 장2~4mm, 무모, 변연구명현첩모, 간시상증황색
꽃자루 : 1cm, 무모
꽃향기 : 방향
꽃받침 : 1mm, 열편극단, 선단교식상혹전연
꽃부리 : 황백색, 장5mm, 화관관극단, 열편심렬기달기부, 타원형혹관란형, 반권
꽃수술 : 2개, 화관렬편기부착생, 화사약1.5mm, 화약2.5mm, 약격재화약선단연신성극소돌기
암 꽃 : 암술 3.5mm, 암술대 1~1.5mm
열 매 : 난형, 장1~1.5mm, 자흑색
개화기 : 4~5월
결실기 : 7~8월
내한성 : 영하 15도
윤나넨시스목서
큰 나무로 자라는 수종이다.
윤나넨시스목서
윤나넨시스목서
잎에 거치가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중맥이 돌출하고 있다.
윤나넨시스목서
20~25쌍의 뾰족한 거치가 있는 경우도 있다.
윤나넨시스목서
내한성이 영하 15도이다.
윤나넨시스목서
윤나넨시스목서
윤나넨시스목서
웅화
윤나넨시스목서
엽액에 5~12송이씩 달린다.
윤나넨시스목서
양성화
윤나넨시스목서
웅화
'물푸레나무과 > 목서(계화)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8 부르크워오디목서, 데코루스목서와 중국 델라바이목서의 교잡종 (0) | 2017.03.12 |
---|---|
297 데코루스목서, 터키와 동유럽 조지아 원산 (0) | 2017.03.11 |
295 델라바이목서 = 중국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0) | 2017.03.09 |
294 구골나무 원예종 걸프타이드, 사사바 등 (0) | 2017.03.08 |
293 무늬구골나무(斑入り柊)와 구갑구골나무(亀甲柊) (0) | 201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