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옥란속/기타옥란속 14

1079 사전트목련 = 요엽옥란(凹叶玉兰)

정말 중국은 인구도 많지만 땅도 960만km²로 10만 km²인 우리 남한의 96배에 달하고 22만 km²인 남북한을 합한 면적으로 따져도 43배나 된다. 넓기도 하지만 남으로 열대기후부터 북으로 만주나 내몽고 등 혹한기후까지 다양한 기후대가 존재한다. 게다가 히말라야 고산지대도 있고 타클라마칸사막이나 고비사막 등 매우 건조한 지역도 있어 식물 분포도 매우 다양하여 자생하는 식물의 종이 수만을 헤아린다. 그야말로 세계 식물의 보고인 것이다. 전세계 식물 약 36만 7천 종 중에서 중국에 자생하는 종은 약 3만 2천 종에 달하여 약 9%가 되며 우리나라는 4천 종으로 겨우 1.1%에 지나지 않는다. 단순하게 식물의 종만 따지자면 아프리카나 아메리카 열대지역도 만만치는 않지만 워낙 우리에게는 생경한 종들이거..

1078 보화목련 = 보화옥란(宝华玉兰)

보화목련(宝华玉兰)은 중국 강소성(江苏省) 진강시(镇江市)에 있는 보화산국가삼림공원(宝华山国家森林公园)에서만 겨우 몇 그루 자생하는 중국 고유 멸종위기종이다. 보화산에서 발견되었다고 중국에서는 보화목란이라고 하다가 최근에 보화옥란(宝华玉兰)이라고 한다. 이는 그동안 화석으로만 존재하던 메타세쿼이아를 중국에서 발견하고 명명하여 일약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중국의 수목학자인 정만균(郑万钧, 1908~1987)원사가 1933년 Magnolia zenii W.C.Cheng라고 명명한 것인데 종소명 zenii는 독일 출신 미국 식물학자 겸 탐험가인 Frederick Adolf Wislizenus(1810~1889)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뜬금없이 일면식도 없고 아시아와는 무관한 미국과 멕시코에서 식물 탐사 활동을 한..

1077 도슨목련 - 중국 원산 광엽옥란(光叶玉兰)

도슨목련은 중국 사천성이 원산지이며 중국명은 잎에 광택이 있다고 광엽옥란(光叶玉兰)으로 불린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이름이 도슨목련인 것은 학명이 Magnolia dawsoniana이기 때문이다. 이 수종은 1869년 프랑스 신부 Armand David (1826~1900)에 의해서 처음 서양에 소개되었다고 한다. 데이비드신부는 중국에서 선교활동 중에 엄청난 양의 식물 표본을 채집하여 유럽으로 보내서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 (1834~1900)가 주로 그의 이름으로 신종으로 명명하게 한 동식물학자이기도 하다. 그래서 중국 원산 식물 중에 그의 이름이 들어간 종이 매우 많다. 손수건나무는 아예 속명이 Davidia이며 그 외에도 데이비드사피단풍이나 데이비드회화나무 데이비드삼지구..

1076 천목산목련 = 중국 천목옥란(天目玉兰)

천목산목련의 학명 Magnolia amoena W.C.Cheng는 1934년 중국의 유명한 임학가인 정만균(郑万钧, 1908~1987)원사가 절강성 천목산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멋지다 아름답다는 뜻인 종소명 amoena를 사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정만균원사는 메타세쿼이아속을 신설하여 명명에 관여한 학자이며 절강성 항주시에 있는 천목산은 매우 다양하고 진귀한 동식물이 많이 서식하기로 유명하여 유네스코에 의하여 세계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이기도 하다. 특히 2002년 조사에 의하면 지름 1m 이상의 나무들이 660여 그루나 자생하고 있어 대수왕국(大树王国)으로 불리어 국내외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 지역이다. 천목산은 동서 양봉의 정상에 호수가 있으므로 하늘의 눈이라는 뜻으로 한나라 때부터 천목산(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