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빌모랭손수건나무라고 등록된 수종이 있다. 학명은 Davidia involucrata subsp. vilmoriniana (Dode) J.Holub로 표기되어 있고 얼마전까지만 하여도 빌모리니아나손수건나무라고 하던 것을 최근에 빌모랭으로 변경하였다고 한다. 아종명 vilmoriniana가 프랑스의 유서 깊은 종자 생산 가문인 Vilmorin을 뜻하기 때문에 친절하게도 영어식 발음 빌모린에서 프랑스식 발음인 빌모랭으로 변경한 것 같다. 이건 또 뭔 일인가? 언제부터 학명에 등장하는 사람 이름을 그 사람의 국적을 따져서 원래 그 나라 발음으로 표기하였단 말인가? 처음부터 그렇게 하였다면 또 모를까 이미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영어식으로 빌모리니아나라고 된 것을 굳이 변경할 필요가 있느냐는 말인가? 그리고 한번 정한 이름을 그렇게 가볍게 고쳐도 된다는 것인지 의아하다.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할 것인지 두고 볼 일이다. 여하튼 미국에서는 vilmoriniana를 vil-mor-in-ee-AY-nuh로 발음하지 빌모랭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여하튼 이 빌모랭손수건나무는 원종인 손수건나무에 비하여 잎의 뒷면에 털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여 원산지 중국 이름이 광엽공동(光叶珙桐)인데 이를 아종(subsp.)으로 분류하기보다는 주로 변종(var.)으로 많이 분류하며 학자에 따라서는 염색체 구조가 다르다고 아예 별도 독립된 종인 Davidia vilmoriniana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대세는 원종인 손수건나무에 통합시켜 그 유사종으로 분류하는 것 같다. 개체변이인지는 몰라도 미국에서는 이 빌모랭이 원종에 비하여 내한성이 좀 더 강한 면모를 보인다고 한다. 하지만 세계 거의 모두가 원종에 통합시키므로 그냥 지나쳐도 될 듯 싶지만 이 수종의 유럽 도입에 엃힌 일화는 흥미를 끄는 점이 있어 알아보고 간다.
손수건나무를 1869년 서방세계에 처음 알린 사람이 프랑스 신부 Armand David이고 1871년 이를 학계 처음 보고하고 Davidia involucrata Baill.로 명명한 사람도 프랑스 식물학자 Henri Ernest Baillon인데도 앞 게시물에서 영국의 헤리 베이치가 1899년 젊은 어네스트 윌슨을 파견하여 종자를 채취하여 1902년 발아한 것이 서구 최초의 손수건나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하나의 의문이 남는다. 그럼 프랑스에서는 그동안 뭘 했단 말인가? 그 당시 프랑스는 이미 프랑스장미를 개발하는 등으로 유럽 원예산업의 중심에 있었으며 지금도 유럽 종자산업의 중심에 있는 나라가 아니던가? 역시 알고 보니 전혀 그렇지가 않았다. 이미 1897년에 중국에서 활동하던 로마 카톨릭 선교회의 프랑스신부이자 식물학자인 Farges가 이 손수건나무의 종자를 채취하여 프랑스의 유명한 종묘사인 Vilmorin-Andrieux의 Maurice de Vilmorin에게 보낸다. 그리고 1898년 발아에 성공하여 그 묘목에서 삽목과 휘묻이로 번식하여 하나는 영국 왕실정원인 큐(Kew)로 또 하나는 파리식물원(the Jardin des Plantes)으로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미국의 아놀드수목원으로 보내진다. 그 때 보낸 나무가 지금도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에서 살아 있다고 한다.
윌슨을 파견한 Harry Veitch는 직후에 한 발 늦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지만 윌슨은 임무를 수행하고 의기양양하게 돌아와 이런 내용이 실린 1902년 8월 간행된 원예잡지 Revue Horticole을 보기 전까지 몰랐다고 한다. 빌모랭이 발아시킨 손수건나무는 1906년 5월 최초로 꽃도 피게 되었는데 잎 특히 뒷면에 털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래서 연구 결과 프랑스 식물학자 Louis-Albert Dode(1875~1945)에 의하여 손수건나무와는 다른 새로운 독립된 종으로 학명 Davidia vilmoriniana Dode로 명명된다. 여기서 vilmoriniana는 당연히 Vilmorin-Andrieux회사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러다가 1910년 독일 식물학자 Walther Wangerin에 의하여 손수건나무의 변종으로 분류되어 중국식물지에는 그렇게 등록되어 있다. 그 후 1983년 체코 식물학자 Josef Ludwig Holub에 의하여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우리나라도 이를 따라 아종으로 국표식에 등록되어 있다. 하나 최근 대세는 손수건나무에 통합분류하는 것이지만 또 다른 의견은 유전자 감식 결과 염색체 구조가 다르고 둘간의 교잡으로는 생식력있는 후세를 얻지 못한다는 점에서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고로 Paul Guillaume Farges (1844–1912) 중국에서 카톨릭 선교사로 활동하던 프랑스신부이자 식물학자로서 무려 4,000여 종의 식물의 표본을 채집하여 프랑스로 보냈다. 천리포수목원에 있는 아름다운 꽃이 피는 파르개시개오동이 바로 그의 이름으로 명명된 나무이다. 그 외에도 파르게시전나무와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데카이스네아 파르게시 그리고 때죽나무 '파르게시' 등 그 이름으로 명명된 식물이 많다. 그리고 Vilmorin-Andrieux는 1743년 프랑스 국왕 루이 15세의 정원에 종자 공급을 담당하던 식물학자인 Andrieux와 그의 사위 Vilmorin의 이름을 딴 회사로서 몇 대를 이어 빌모랭 가문에 의하여 운영되던 프랑스 굴지의 종묘회사이었다. 그러다가 1975년 Groupe Limagrain으로 경영권이 넘어갔는데 현재 이 Groupe Limagrain은 유럽 1위 세계 4위의 종자기업이 되었다.
아깝게 빌모랭과 Farges에 의하여 한 발이 늦어 실속 없는 헛걸음 탐사길이 될 뻔하였지만 어려운 임무를 천신만고 끝에 완수한 어네스트 윌슨(Ernest H. Wilson ; 1876-1930)은 빌모랭손수건나무가 독립된 종으로 분류가 되던 원종인 손수건나무에 통합이 되던 그의 용감한 행동은 칭송을 받고 있으며 그는 그 후로도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 엄청나게 왕성한 식물 탐사 활동을 이어가 그 시대 최고의 식물채집가로 이름을 날린다. 그는 1917~1918년에 우리나라도 방문하여 제주도에서 구상나무를 발견하고 울릉도에서 섬개야광나무를 발견하여 구상나무는 명명자로 섬개야광나무는 동행하였던 일본 학자 나카이가 그의 이름으로 명명하게 된다. 그리고 그를 중국에 파견하였던 Harry Veitch 또한 19세기 영국에서 가장 유명한 사설 Nursery의 경영자이자 그 유명한 첼시꽃박람회의 창설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다. 우리나라 국표식에도 Veitch가문이 관여되어 명명된 이름이 28개나 있다. 비치 또는 베이트키로 명명된 이름들은 모두 그 가문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헛걸음을 한 윌슨에게 베이치 회사가 보인 태도는 정말 아름답게 느껴진다. 매우 아름다운 금으로 장식된 포켓 시계를 선물하면서 “E.H. Wilson, from James Veitch, 1899-1902, Well done!” 즉 "훌륭했다!"라고 새겼다고 한다. 이 회중(懷中) 시계가 지금도 아놀드수목원에 소장되어 있다.
어네스트 윌슨 (영국 태생으로 주로 미국에서 활동한 유명한 식물 헌터)
1917. 8. 30 우리나라 탐사 중 어느 여관 앞이라는데..
그는 54세라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미국에서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다.
사진 출처 : 하버드대학
등록명 : 빌모랭손수건나무 (구 : 빌모리니아나손수건나무)
학 명 : Davidia involucrata subsp. vilmoriniana (Dode) J.Holub
이 명 : Davidia involucrata Baill. var. vilmoriniana (Dode) Wanger
이 명 : Davidia vilmoriniana Dode
이 명 : Davidia involucrata Baill.
신분류 : 니사과 손수건나무속 낙엽 교목
구분류 : 층층나무과 손수건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호북성 사천성 귀주성 등
중국명 : 광엽공동(光叶珙桐)
수 고 : 12m
내한성 : 영하 23도
특 징 : 손수건나무와 거의 동일하지만 잎의 뒷면에 털이 없으며 극히 일부만 어릴 때 맥상에 단유모가 있다. 그리고 드물게 뒷면에 흰색인 경우도 보인다. 자생지는 손수건나무와 섞여서 혼생하고 있다.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빌모랭손수건나무
'기타 과 식물 > 니사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750 희수(喜树) - 중국 특산 세계적인 항암식물 (1) | 2019.06.28 |
---|---|
749 손수건나무 '소노마' - 조기 개화 인기 품종, 유통명- 일세손수건나무 (2) | 2019.06.25 |
747 손수건나무 - 중국원산 세계적인 희귀 인기 정원수 (0) | 2019.06.21 |
746 니사 시넨시스 - 중국 원산 남과수(蓝果树) (0) | 2019.06.19 |
745 니사 비플로라 - 니사 실바티카의 변종인 습지 수종 (0) |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