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식에 포기목련 ‘올스파이스’라는 국명으로 학명 Magnolia foggii 'Allspice'인 품종이 2018년 등록되어 있어 누가 봐도 목련속으로 인식하게 되고 실제로 목련속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또 하나 품종이 있는데 그게 포기목련 ‘잭 포그’라고 등록된 학명 Magnolia foggii 'Jack Fogg'이다. 이들은 분명 2011년에 등록된 초령목 '올스파이스'와 초령목 '잭 포그' 즉 학명 Michelia 'Allspice' 그리고 Michelia 'Jack Fogg'와 동일종임에도 불구하고 학명 표기가 다르다고 이렇게 중복 등록하고 있다. 이게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의 현주소이다. 조금만 신경쓰면 이미 등록된 종의 유사학명임을 누구나 알 수도 있는데도 그런 노력을 할 성의가 전혀 없는 것 같다. 이들 두 품종은 분명 중국 원산의 촛대초령목(함소화)와 단초령목(남아함소)의 교잡종으로서 초령목이 분명한데도 목련속으로 분류하여 그렇게 Magnolia속으로 학명을 달고 있으며 우리 국명도 목련이라고 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같은 품종을 두고서 학명이 여러 개인 경우는 현재 목련과 수종들의 속분류에 대하여 학자들간에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목련과 수종들의 유전자 감식 결과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모든 수종들의 혈통이 같으므로 이들을 모두 Magnolia 즉 목련속으로 통합하여야 한다는 대통합론이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지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전통적으로 목련으로 부르던 백목련이나 자목련, 토종 목련 등과 함박꽃나무는 분명 외형상 차이점이 있고 특히 미국에서 도입된 태산목이나 중국이나 일본에서 도입된 중국목련이나 일본목련으로 불리는 후박 그리고 초령목(함소화) 등은 분명 그 형태에서 이질감이 있으므로 통합론을 따르지 않고 일부만 수용하는 종통합론이나 아예 통합을 전면 거부하고 세분하는 분리론자들도 있다. 우리나라는 초령목과 망글리에티아속만 분리하는 중통합론을 따르는 셈이고 중국의 경우는 20여 개 이상의 속으로 목련과를 세분하는 분리론을 따르고 있다. 목련과 속 분류에 대하여 참조 blog.daum.net/tnknam/1502
1056 망글리에티아 포르디아나 - 진짜 중국의 목련(木莲)인 상록 교목
목련과의 수종들은 그 분류방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엄청 혼란스럽다. 목련과 수종들 중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를 목련속에 통합해야 한다는 대통합론자들이 있는가 하면 백합��
blog.daum.net
여하튼 초령목이 속한 미켈리아속을 목련속에 통합하지 않고서 별도 분류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위의 중국 원산 초령목 두 종간의 교잡종을 당연히 미켈리아속으로 분류하여 부여한 학명으로 등록하여야 마땅한 것이며 실제로 그렇게 2011년에 등록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통합론자들은 미켈리아속이 목련속으로 통합되었으므로 이들을 목련속으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통합론을 주도한 미국의 식물학자 Richard B. Figlar가 이 교잡종에다가 2000년에 부여한 학명 Magnolia × foggii Figlar로 표기를 한다. 따라서 대부분 통합론을 따르는 서구에서는 이들 원예품종들도 주로 Magnolia x foggii 'Allspice'나 Magnolia x foggii 'Jack Fogg'라는 학명으로 표기를 한다. 이걸 우리나라서 서로 다른 종인 줄 알고서 추가로 등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하나 이 두 품종은 한때 필라델피아대학 부속 모리스 수목원의 책임자를 역임한 바 있는 John M. Fogg Jr.(1898-1982)박사가 개발한 교잡종이므로 학명 Magnolia × foggii의 종소명 foggii와 품종명 Fogg 모두 개발자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따라서 포기목련이 아니라 포그목련이라고 해야 일관성이 있다. 2011년에 등록된 Michelia maudiae를 마우디애초령목이라고 되어 있다고 최근에 국명을 모드초령목이라고 수정한 것이 바로 자기들이 아니던가? 종소명 maudiae가 사람 이름 Maud에서 왔다고 모드라고 하듯이 foggii도 Fog박사의 이름에서 온 것이므로 포그라고 해야 일관성이 있게 된다.
포기목련 ‘올스파이스’는 결국 초령목 '올스파이스'와 동일종이며 수정하려면 포그초령목 ‘올스파이스’라고 해야 옳다.
1067 교잡 원예종 포그초령목과 초령목 '올스파이스'
우리나라 국표식에는 초령목 '올스파이스'나 초령목 ‘잭 포그’ 등 초령목(함소화)의 원예품종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 원예품종이 5종이나 등록되어 있다. 학명을 그냥 Michelia 'Allspice'나 Michel
blog.daum.net
포기목련 ‘잭 포그’는 기존의 초령목 '잭 포그'와 동일종이며 수정하려면 포그초령목 '잭 포그'라고 해야 옳다.
1068 초령목 '잭 포그' - 촛대초령목과 단초령목의 교잡종
초령목 ‘잭 포그’는 1972년 미국 필라델피아 부속 모리스 수목원의 책임자를 역임한 John M. Fogg Jr.(1898-1982)박사가 촛대초령목 즉 함소화와 단초령목 즉 남아함소를 교잡시켜 육종한 원예품종이�
blog.daum.net
'목련과 > Michelia(함소)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88 알바목련 = 알바초령목, 황란과 M. Montana의 교잡종인 백란(白兰) (0) | 2020.11.23 |
---|---|
1071 초령목 '터치 오브 핑크' (0) | 2020.09.24 |
1070 초령목 '믹스트 업 미스' (0) | 2020.09.24 |
1069 초령목 '버블스' - 촛대초령목과 단초령목의 교잡종 (0) | 2020.09.23 |
1068 초령목 '잭 포그' - 촛대초령목과 단초령목의 교잡종 (0)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