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만병초아속

1370 만병초아속 - 큰 꽃 혁질 큰 잎 무인편 상록 아름다운 정원수

낙은재 2021. 3. 17. 11:24

유럽만병초로 이 아속의 모식종이다. 

모두 목본으로만 구성된 진달래속 수종들은 우리나라에서는 진달래와 철쭉 두견 영산홍 만병초 참꽃 등 매우 다양하게 부르는 것만큼이나 이 속의 수종들은 그 특성이 다양하여 일정하지 않다. 그래서 식물분류학자들도 진달래속을 대개 8~10개의 아속으로 세분한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들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4개의 아속으로 분류가 된다. 그 중에서 영어권에서 아잘레아(Azalea)로 불리는 철쭉아속 즉 subgenus Pentanthera와 영산홍아속 즉 Subgenus Tsutsusi에 속하는 수종들은 이미 앞에서 탐구를 마쳤다. 이제 나머지 영어권에서 로도덴드론(Rhododendron)으로 불리는 두 개의 아속이 남았는데 그 하나가 만병초아속이라고 할 수 있는 Subgenus Hymenanthes이고 다른 하나는 두견아속이라고 할 수 있는 Subgenus Rhododendron이다. 이들 둘의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비늘 즉 인편(鱗片)이 있고 없고 이다.  이들을 우리나라에서는 뭐라고 부르는지 국내서 누가 이름을 붙였는지는 모르겠지만 들어본 적이 없어서 하는 수 없이 직접 이름을 붙였는데 Subgenus Hymenanthes는 모두 상록으로서 이 아속으로 분류되는 수종들 모두를 이미 우리가 xxx만병초라고 부르고 있으므로 만병초아속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식물에 비늘이 있는 것이 특징인 Subgenus Rhododendron로 분류되는 수종들이 문제인데 대부분 상록이지만 아닌 경우도 있어 형태가 다양하다. 그래서 국내서 이들을 부르는 이름 또한 대중이 없다. 거의 대부분 만병초로 불리지만 일부는 철쭉으로도 불리고 일부는 참꽃이나 차로도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특히 우리나라서 매우 중요한 수종인 진달래가 상록은 아니지만 바로 이 아속으로 분류가 된다. 따라서 이를 일본과 같이 유인편(有鱗片) 샤쿠나게(シャクナゲ) 즉 비늘있는 만병초라는 뜻으로 부르기도 진달래 때문에 어색하다. 일본에서는 이 아속을 정명으로 히카게쯔쯔지(ヒカゲツツジ)아속이라고 하며 한자로는 일음철쭉(日陰躑躅)아속이라고 쓴다. 바로 이 일본 고유종이라던 일음철쭉(日陰躑躅)의 변종이 불과 몇 년 전에 우리나라 남해안에서도 발견되어 섬진달래라는 이름을 붙였다. 잎과 꽃의 모습이 거의 만병초에 가까운 이 상록 관목에다가 과감하게 진달래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글쎄 깊은 뜻이 있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원종을 일본에서 만병초 즉 샤쿠나게(石楠)라고 하지 않고 쯔쯔지(躑躅)라고 하는 것의 영향을 받은 것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정작 일본에서는 오히려 히카게쯔쯔지라는 이름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제 이렇게 비늘만병초도 진달래라고 하니까 이 아속을 진달래아속이라고 불러도 될 법은 하겠다만 그래도 비늘이 있는 만병초들을 싸잡아 진달래라고 하기는 부담스럽다. 그래서 진달래의 옛이름이기도 한 두견아속으로 부르는 것이 비늘 만병초들도 아우를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주 원산지인 중국의 두견아속(杜鹃亚属)과도 일치하는 아속명이므로 무리가 없어 보인다.

 

그럼 지금부터는 만병초아속에 대하여 탐구를 시작해 보자. 만병초아속은 잎이 두터운 혁질로서 크고 전면에 털이 없으며 모두 상록인데다가 여러 송이가 모여서 백색 분홍색 적색 황색 등 매우 다양한 색상으로 꽃이 크게 피며 비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만병초아속으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은 원종 기준 모두 27종이다. 이 중에는 우리 자생종 학명 Rhododendron brachycarpum인 만병초와 학명 Rhododendron aureum인 노랑만병초 두 종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전세계 만병초아속으로 분류되는 수종은 약 270종이나 되므로 우리나라에는 겨우 10%만 등록되어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에 도입 수종이 적은 것은 기후 조건이 중부 이북에서 재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전세계 270종 중 약 250종이 중국 서남부지역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데 중국에서는 이 아속을 상록두견아속(常绿杜鹃亚属)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진달래속 전체를 두견(杜鵑)이라고 부르며 만병초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용어는 별도로 있지 않고 그저 상록두견(常綠杜鵑)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는 진달래속 대부분을 쯔쯔지(躑躅)라고 하지만 우리가 만병초라고 부르는 수종들은 별도로 석남화(石楠花)라고 한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만병초아속을 무인편(無鱗片)석남화아속이라고 하고 두견아속은 일음철쭉(日陰躑躅)아속이라고 하지만 유인편(有鱗片)석남화아속이라고도 한다.

 

우리 자생종 만병초
우리 자생종 홍만병초
우리 자생종 노랑만병초 

만병초(萬病草)라는 이름은 비록 만병을 고치는 약초로 쓴다는 뜻의 한자어이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쓰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용어인데 이는 과거 사진이 없던 시절 그림에 의하여 식물을 동정하였기에 이 나무가 중국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질병을 고치는 약으로 사용되는 석남(石南)이라는 나무로 오인하여 처음에는 석남초(石南草)로 불리다가 근자에 와서 민간에서부터 만병초로 이름이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동의보감이나 중국의 약전에 기록된 약재 석남(石南)은 학명 Photinia serratifolia인 중국홍가시나무를 지칭하는 것인데 이 수종이 자생하지 않는 우리나라는 울릉도 등지에서 소량으로 자생하는 비슷한 모습의 만병초를 석남으로 오인하였던 것이다. 만병초는 직접 식용은 물론 그 꽃에서 채취된 꿀도 먹어서는 안 되는 강한 독성이 있어 현재 우리나라 식약청에서 식용불가식물로 지정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국내 한의원에서 이를 약재로 처방할 가능성은 전혀 없는데도 어떻게 강한 독성에 의한 반응을 약효로 오해하는지 민간에서의 사용은 끊이지 않는 것 같다. 그런데 이렇게 오동정(誤同定)한 것이 최근이 아니고 기록을 찾아보면 고려사절요에 이미 등장하여 고려시대부터 이를 석남초를 불러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잘못된 이름이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쳐 그동안 샤쿠나게(シャクナゲ)라고 부르던 일본인들도 한자로는 석남(石楠)이라고 지금 현재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는 앞 1332번 게시글에서 충분히 논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언급은 삼간다.

 

 국내 등록된 만병초아속 수종들

학  명

등록명

중국명

일본명

Rhododendron ponticum L.

유럽만병초

*

*

Rhododendron aureum Georgi

노랑만병초

牛皮杜

きばなしゃくなげ(花石)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만병초

*

ハクサンシャクナゲ(白山石楠花)

Rhododendron argyrophyllum Franch.

은협만병초

叶杜

*

Rhododendron barbatum G.Don

가시만병초

硬刺杜

*

Rhododendron campanulatum D.Don.

종화만병초

花杜

*

Rhododendron catawbiense Michx.

카토바만병초

*

*

Rhododendron caucasicum Pall.

코카서스만병초

*

*

Rhododendron fortunei Lindl.

운금만병초

*

Rhododendron fulgens Hook. f.

성홍만병초

*

Rhododendron hyperythrum Hayata

미소만병초

微笑杜

*

Rhododendron insigne Hemsl. & E.H.Wilson

부범만병초

不凡杜

*

Rhododendron irroratum Franch.

노주만병초

露珠杜

*

Rhododendron maximum L.

미국만병초

*

*

Rhododendron oreodoxa Franch.

산광만병초

山光杜

*

Rhododendron pachysanthum Hayata

대만고산만병초

山地杜

*

Rhododendron pseudochrysanthum Hayata

아리산만병초

阿里山杜

ニイタカシャクナゲ(新高石楠花)

Rhododendron rex H.Lév.

대왕만병초

大王杜

*

Rhododendron sidereum Balf.f.

은회만병초

灰杜

*

Rhododendron smirnowii Trautv.

스미노프만병초

*

*

Rhododendron spilotum

버마만병초

*

 

Rhododendron sutchuenense Franch.

사천만병초

四川杜

*

Rhododendron thomsonii Hook. f.

톰슨만병초

*

*

Rhododendron ungernii Trautv.

운게른만병초

*

*

Rhododendron watsonii Hemsl. & E.H.Wilson

무병만병초

无柄杜

*

Rhododendron williamsianum Rehder & E.H.Wilson

윌리엄스만병초

叶杜

*

Rhododendron yakushimanum Nakai

야쿠시마만병초

*

ヤクシマヤマツツジ(屋久島山躑躅)

 

 앞으로 이들 개별 수종에 대한 탐구를 이어간다.

 

독일 브레멘에 있는 만병초수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