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초 '램피언'은 학명 Rhododendron 'Lampion'로 표기되는데 여기서 lampion은 작은 램프를 뜻한다. 이 품종의 꽃 모양이 종이나 초롱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추정된다. 이 품종은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진달래 육종가 중 한 사람이자 Barmstedt에서 Hans Hachmann tree nursery를 운영하던 Hans Hachmann(1930~2004)이 또 다른 독일 3대 진달래 육종가 중 한 사람인 Dietrich G. Hobbie가 1965년에 소개한 ‘Bad Eilsen’이라는 품종에다가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 ‘코이치로 와다’를 1968년에 교잡시켜 1985년에 발표한 품종이다.
지름 45~55mm에 길이 35~45mm인 종모양의 선명한 적색 또는 짙은 핑크색 작은 꽃이 5~7송이씩 모여서 피며 뒷면에 갈색 털이 밀집한 잎의 최대 사이즈는 70 x 38mm이며 키는 10년생이 겨우 40~75cm에 불과한 왜성종이지만 꽃은 매우 풍성하게 피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명 : 만병초 '램피언'
학 명 : Rhododendron 'Lampion'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부모종 : ‘Bad Eilsen’ x 야쿠시마만병초 ‘코이치로 와다’
육종가 : 독일 Hans Hachmann
내한성 : 영하 26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교잡 무인편만병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83 만병초 '로드 로버츠' – 영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0) | 2021.10.25 |
---|---|
1582 만병초 '리오' – 영국 로스 차일드에서 개발한 품종 (0) | 2021.10.25 |
1580 만병초 '켄 자네크' – 내한성 강한 왜성 미국 품종 (0) | 2021.10.25 |
1579 만병초 '칼링카' – 독일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0) | 2021.10.24 |
1577 만병초 '재닛 블레어' – 미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0) | 202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