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교잡 무인편만병초

1588 만병초 '문스톤' – 영국서 개발된 품종

낙은재 2021. 10. 28. 09:07

만병초 '문스톤'
만병초 '문스톤'

 

만병초 '문스톤'은 학명 Rhododendron 'Moonstone'으로 표기된다. 여기서 품종명 moonstone는 아르마니아 호주 인도 미국 등지에서 생산되는 달빛을 띠는 준보석 광물을 말한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규산염 광물인 장석의 일종인 이 준보석을 월장석(月長石)이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아예 월광석(月光石)이라고도 한다. 명명 사유를 밝히지는 않은 것 같지만 적색이던 꽃망울이 피면서 아이보리 크림색 또는 핑크색으로 변하는 이 꽃의 색상을 월장석과 비슷한 색상이라고 판단하고 그렇게 붙인 것으로 추측이 된다. 

월장석의 다양한 색상

 

꽃은 3~5송이씩 모여서 피며 타원형인 잎의 사이즈는 65x 45mm이며 키가 1.2m까지 자라는 것이 특징인 이 품종은 오늘날 목련과 진달래 컬렉션으로 널리 알려진 세계적인 수목원인 영국의 유명한 캐헤이스성수목원을 조성한 John Charles Williams(1861~1939)가 영국 중국 사천과 운남 및 티벳 등지가 원산지인 앞 1399번 게시글에서 다룬 윌리엄스만병초 즉 Rhododendron williamsianum과 중국 인도 등 히말라야 주변국에서 자생하는 열매가 활처럼 휘어지는 중국명 만과두견(弯果杜鹃) 즉 Rhododendron campylocarpum의 교잡종이다. 윌리엄스만병초는 그 잎이 거의 원형에 가까워 원산지 중국명이 원엽두견(圆叶杜鹃)인데 이를 처음 발견한 세계 최고의 식물 채집가인 어네스트 윌슨이 사천성에서 채집하여 하버드대 아놀드수목원의 알프레드 리더교수와 함께 그를 후원한 John Charles Williams의 이름으로 종소명을 붙인 것이다.

 

부모종인 만과두견(좌)와 윌리엄스만병초(우)

 

등록명 : 만병초 '문스톤'

학   명 : Rhododendron 'Moonstone'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부모종 : 윌리엄스만병초와 만과두견(미등록종)

육종가 : 영국 John Charles Williams

내한성 : 영하 21도

 

만병초 '문스톤'
만병초 '문스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