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취목이라는 국명에 학명 Pieris floribunda Benth. & Hook.f.로 등록된 마취목 수종이 있는데 이는 캐나다 남동부에서부터 너비 160~480km로 미국 남부 알라바마주까지 세로로 2,400km에 평균 고도 910m로 뻗어 있는 애팔래치아산맥의 미국 지역에서 자생하기에 영어로 mountain fetterbush 또는 mountain andromeda라고 불리는 키가 2m 미만인 상록 관목이다. Fettererbush란 발에 걸리적거리는 잡목이라는 의미이며 안드로메다는 당초에 이 수종이 장지석남속 즉 Andromeda속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우리까지 산마취목이라고 할 필요가 있나 싶다. 앞에서 다룬 히말라야마취목 즉 Pieris formosa는 그야말로 히말라야산맥 해발 900~2,300m인 고산지대에 분포하며 다음에 다룰 마취목 즉 Pieris japonica 또한 일본이나 중국에서 해발 800~1,200m 고지대에서 자생하므로 특별히 이 수종만의 특징도 아니다. 차라리 미국마취목이나 애팔래치아마취목이라고 하던가 아니면 학명을 의역하여 다화(多花)마취목이라고 이름을 붙이는 것이 더 적절해 보인다. 전세계 마취목 8종 중에서 3종이 정원수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본과 중국에서 자생하는 마취목 즉 Pieris japonica가 가장 인기가 높다. 따라서 산마취목은 마취목의 인기에 눌려 그다지 많이 보급된 수종은 아니지만 그 겉 모습이 마취목과 매우 흡사하며 북미 원산의 마취목 중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수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마취목과 차이점은 이 수종은 줄기나 잎 가장자리 등에 강모가 있으며 잎에 톱니가 있고 원추화서인 꽃대가 처지기보다는 거의 직립에 가깝게 위로 솟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특히 미국에서는 마취목보다 병충해에 강하다는 것인데 이점은 마취목이 자기들로서는 외래종이므로 그들에게는 토종인 산마취목이 병충해에 강한 것은 당연한 이치로 보인다. 또 다른 하나는 내한성이 영하 29도로 히말라야마취목은 물론 마취목보다도 조금 더 강하다는 점이다. 산마취목은 독일 태생 미국 식물학자인 Frederick Traugott Pursh (1774~1820)에 의하여 1813년 장지석남속으로 분류되어 Andromeda floribunda Pursh라고 명명되었던 것을 영국 식물학자인 George Bentham(1800~1884)과 영국 식물지리학자인 Joseph Dalton Hooker (1817~1911)가 마취목속으로 재분류하여 1876년에 Pieris floribunda (Pursh) Benth. & Hook. f.라는 학명을 부여한 것이다. 종소명 floribunda는 꽃이 풍성하게 잘 핀다는 뜻이다.
등록명 : 산마취목
학 명 : Pieris floribunda Benth. & Hook.f.
분 류 : 진달래과 마취목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미국
영어명 : mountain fetterbush
중국명 : 다화마취목(多花马醉木)
일본명 : 아메리카아세비(アメリカアセビ)
수 고 : 0.9~1.8m
잎크기 : (1.5-)3~7.2 × (0.6-)1~2.8 cm
꽃차례 : 원추화서, 정생, 5~12.5cm
꽃부리 : 항아리형, 백색, 4~7 × 3~5.5 mm
열 매 : 삭과, 구형, 난형, 4~6 × 4~6 mm
개화기 : 3~4월
내한성 : 영하 29도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22 야쿠시마마취목 – 화서축이 직립하는 변종 (0) | 2022.02.24 |
---|---|
1721 마취목 – 정원수로 인기 높은 일본과 중국 원산 상록 관목 (0) | 2022.02.23 |
1719 홍엽마취목 = 히말라야마취목 (0) | 2022.02.21 |
1718 리오니아 오발리폴리아 엘립티카 – 중국 소과진주화(小果珍珠花) 일본 네지키(捩木) (0) | 2022.02.20 |
1717 리오니아 마리아나 – 미국 동부 원산 낙엽성 관목 (0) | 202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