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채진목속

1886 오리잎채진목과 왜성오리잎채진목

낙은재 2023. 9. 11. 12:12

 

북아메리카의 채진목은 대부분 동부지역에 분포하는데 알래스카에서부터 캐나다 서부 그리고 미국 북서부지역에 자생하는 종이 하나 있다. 그 수종의 잎 모양이 오리나무를 닮았다고 Alder Leaved Serviceberry라고 불리기에 우리 이름도 그렇게 오리잎채진목이라고 붙인 것이다. 이 수종은 영국 식물학자인 Thomas Nuttall(1786~1859)에 의하여 1818년에 아로니아속으로 처음 분류되어 Aronia alnifolia Nutt.라고 명명되었으나 누탈 자신이 채진목속으로 변경하여 1834년에 Amelanchier alnifolia Nutt.라고 명명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이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학명이 제대로 절차를 갖춰 발표되지 않았는지 1947년 독일학자 Max Joseph Roemer(1791~1849)에 의하여 제대로 발표된 학명 Amelanchier alnifolia (Nutt.) Nutt. ex M. Roem.을 국제적으로 정명으로 인정하고 있다. 여기서 종소명 alnifolia는 오리나무 잎을 닮았다는 뜻인데 영국 학자가 명명한 학명이므로 그 오리나무는 유럽에 흔한 common aldar로 불리는 유럽오리나무 즉 학명 Alnus glutinosa를 말한다.

 

야생 오리잎채진목과 그 분포지
위 유럽오리나무의 잎을 닮았다고 오리잎채진목이라고 한다.

 

 

자생지가 미국 서부이고 잎이 계란형이거나 거의 원형에 가까워 오리나무 잎과 매우 유사하며 꽃잎이 좁고 길쭉하고 뿌리에서 근얼이 많이 생겨 무리 지어 자라며 내한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외형만으로 이 수종을 앞에서 다룬 수종들과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과거 식물학자들도 이 수종을 캐나다채진목이나 홍가지채진목의 변종으로 분류하기도 했었다. 그만큼 구분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여하튼 이 수종은 현재 독립된 종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그 하위 변종도 2종이나 등록되어 있다. 그 중에는 키가 1.5m에 불과한 왜성종으로 학명 Amelanchier alnifolia var. pumila (Nutt. ex Torr. & A.Gray) C.K.Schneid.에 국명을 애기오리잎채진목이라고 등록된 종이 있다. 하지만 국제적으로는 원종인 오리잎채진목에 통합하여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오리잎채진목을 원산지에서 부르는 이름 중 하나인 saskatoon berry는 캐나다 원주민들이 이 수종을 부르던 이름이다.

 

키가 1.5m 이하인 애기오리잎채진목은 오리잎채진목에 흡수 통합되었다.

 

 

 

등록명 : 오리잎채진목

이    명 : 애기오리잎채진목(통합)

학    명 : Amelanchier alnifolia Nutt.

이   명 : Amelanchier alnifolia var. pumila (Nutt. ex Torr. & A.Gray) C.K.Schneid.

분    류 : 장미과 채진목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북미 서부 캐나다 미국

영어명 : saskatoon berry, Pacific serviceberry, western serviceberry

중국명 : 기엽당체(桤叶唐棣)

수   고 : 1~6m (최대 10m)

잎특징 : 원형상 난형, 2~5 x 1~4.5cm, 중간 이상 거치

잎자루 : 0.5~2cm

꽃특징 : 백색, 지름 2.5~5cm, 꽃잎 5, 꽃받침 5, 수술 20, 암술 4~5, 향기

꽃차례 : 총상화서, 3~20송이

열    매 : 이과, 원형, 지름 5~15mm, 흑자색, 단맛

개화기 : 4~6월, 한 달간 지속 개화

결실기 : 초여름

특    기 : 가지와 잎에 동물에게 해로운 독성

내한성 : 영하 45도

 

오리잎채진목
오리잎채진목
오리잎채진목
오리잎채진목 - 맛도 좋고 영양분이 많아서 과일로 재배도 한다.
오리잎채진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