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채진목속

1887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낙은재 2023. 9. 11. 21:26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 잎의 아랫부분은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북아메리카 서부지역 원산인 오리잎채진목의 변종 중에 우리나라에 다화오리잎채진목이라고 학명 Amelanchier alnifolia var. semi-integrifolia (Hook.) C.L.Hitchc.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여기서 변종명 semi-integrifolia는 잎의 반쪽에 거치가 없다는 뜻인데 왜 우리 이름을 다화라고 했는지 궁금하게 된다. 다화(多花)라면 꽃이 많다는 뜻일 터인데 글쎄 이 변종은 4~8cm 길이의 꽃차례에 꽃이 5~15송이씩 모여서 피기에 오히려 20송이까지 모여서 피는 원종에 비하여 결코 꽃이 풍성하게 핀다고 할 수가 없는데도 말이다. 그럼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알아보자.  

 

알래스카에서 캘리포니아까지 북아메리카 서부 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는 이 변종은 1820~30년대 신대륙의 식물탐사 원정을 무려 3번이나 갔던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이자 유명한 식물채집가인 David Douglas(1799~1834)에 의하여 채집되어 영국으로 건너간다. 유럽에 최초로 상륙하여 재배되던 그 나무를 바탕으로 영국의 식물학자 William Jackson Hooker(1785~1865)가 1832년 유럽 원산의 채진목인 잔설채진목의 변종으로 분류하여 Amelanchier ovalis var. semiintegrifolia Hook.라는 학명을 부여한다. 하지만 그런 사실을 모르고 이 나무의 종자에서 번식되어 재배되던 나무 즉 이주 2세를 대상으로 영국 식물학자인 John Lindley(1799~1865)가 1833년 채진목속의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여 학명 Amelanchier florida Lindl.로 명명하게 된다. 여기서 종소명 florida는 미국 플로리다주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꽃이 많이 핀다는 뜻의 라틴어이다. 실제로 미국 남부 플로리다주에는 이 수종이 자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한동안 그 두 학명이 사용되다가 1961년 미국 식물학자 Charles Leo Hitchcock(1902~1986)가 미국 서부 원산의 오리잎채진목의 변종으로 분류하여 Amelanchier alnifolia var. semiintegrifolia (Hook.) C.L.Hitchc.라고 재명명하게 된다. 그리고 후커가 명명한 학명과 린들리가 명명한 학명의 종이 동일하다는 것이 밝혀져 후순위인 린들리의 학명은 통합되었으므로 이제는 히치콕이 재명명한 맨 나중 학명을 전세계 거의 모든 학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Amelanchier alnifolia var. semiintegrifolia를 다화오리잎채진목이라고 등록하고서도 아직도 Amelanchier florida Lindl.를 플로리다채진목이라고 별도로 이중 등록하고 있다. 게다가 후자의 국명으로 적합한 다화라는 명칭을 전자에다가 붙이고 있어 정말 헷갈리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플로리다채진목은 국표식 리스트에서 삭제함이 마땅해 보인다.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 오른쪽 표본에서는 꽃이 많은 것 같기는 하다.

 

이 수종은 실제로 꽃이 그다지 풍성하지 않아서 린들리가 명명한 종소명 florida가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잎도 원종과 크게 다를 바가 없어서 후커가 명명한 또 다른 종소명 semiintegrifolia도 아주 적절한 표현은 아니라는 평을 듣는다. 학명이란 것이 원래 대부분 달랑 표본 하나만 또는 실물 한두 그루만 보고서 명명하는 것이므로 학명의 종소명이 그 식물의 특징과 반드시 일치할 것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학명이 아니더라도 우리나라 나무 이름 중에서도 향기가 좋은데도 불구하고 나쁘다고 이름이 붙은 누리장나무 같은 경우도 있지 않은가? 여하튼 다화오리잎채진목은 원종에 비하여 가지가 굳건하고 꽃이 보다 더 크고 암술대의 끝부분에 털이 거의 없다는 것을 차이점으로 들고 있으나 실제로는 구분하기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한다. 그럼에도 변종의 신분을 계속 유지하는 이유는 이상하게 원종인 오리잎채진목은 영국 기후에 적응하지 못하여 잘 자라지 못하는 반면에 이 변종은 영국에서 왕성하게 잘 자라기 때문에 영국에 있는 오리잎채진목은 거의 모두 이 변종이라고 한다. 즉 생명력과 환경적응력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글쎄 그게 식물분류학의 중심인 영국이니까 이런 미세한 차이점에도 변종으로 분류가 가능한 이야기가 아닌가 한다.   

 

등록명 : 다화오리잎채진목

이    명 : 플로리다채진목

학    명 : Amelanchier alnifolia var. semiintegrifolia (Hook.) C.L.Hitchc.  

이    명 : Amelanchier florida Lindl.

분    류 : 장미과 채진목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서부 해안

수    고 : 3m

특    징 : 잎의 반쪽에 거치가 없음

내한성 : 영하 45도인 원종보다는 약할 것으로 추정됨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장미과 아몬드아과 > 채진목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89 땅채진목  (0) 2023.09.15
1888 반들채진목  (0) 2023.09.13
1886 오리잎채진목과 왜성오리잎채진목  (0) 2023.09.11
1885 홍가지채진목  (2) 2023.09.06
1884 캐나다채진목  (0)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