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채진목의 학명 Amelanchier stolonifera Wiegand 또한 앞 반들채진목과 마찬가지로 미국 식물학자인 코넬대학교수 Karl McKay Wiegand(1873~1942)가 미국 메사추세츠주 Wellesley에서 처음 발견하여 1912년 명명한 것이다. 캐나다 뉴펀드랜드주와 미국 버지니아주 등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인 이 수종은 키가 120~180cm인 관목으로서 땅을 기어가는 포복지가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그런 취지의 stolonifera라는 종소명이 붙었으며 일반 영어명도 running serviceberry라고 불린다. 그래서 우리 이름도 땅채진목이라고 붙인 것으로 보인다.
등록명 : 땅채진목
학 명 : Amelanchier stolonifera Wiegand
분 류 : 장미과 채진목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동부
영어명 : running serviceberry
수 고 : 1.2~1.8m
특 징 : 줄기가 포복성
내한성 : 영하 34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채진목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1 준베리 – 꽃과 잎이 매우 아름다운 채진목 (0) | 2023.09.27 |
---|---|
1890 솜털채진목 - 북미 대표적인 가장 큰 채진목 (0) | 2023.09.19 |
1888 반들채진목 (0) | 2023.09.13 |
1887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0) | 2023.09.11 |
1886 오리잎채진목과 왜성오리잎채진목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