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나무속의 속명 Diospyros는 1753년 린네가 명명한 것인데 고대 그리스어로 신성한 열매라는 뜻으로 그리스 인근 코카서스지역에서 고욤나무를 부르던 이름에서 온 것이지만 여러모로 봤을 때 감나무속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독일 식물학자인 Maximilian Gürke (1854~1911)가 1892년 감나무과의 과명을 명명할 때는 ebony tree에서 유래된 Ebenaceae라고 했다. Ebony는 고대 이집트어로 이런 검은색 목재 나무를 부르던 이름 hbny가 그리스에 와서 ébenos로 변했고 다시 로마에 와서 ebenum으로 영어로는 ebony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독일 학자의 입장에서는 고욤보다는 인도나 아프리카에서 생산되는 흑단 즉 ebony가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왜냐하면 식용 감은 중국과 미국이 원산지이므로 유럽에는 다소 생소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감나무속 몇몇 수종에서 생산되는 짙은 갈색 또는 흑색의 매우 단단한 목재는 그 품질이 매우 뛰어난 세계 최고의 목재임을 자랑하므로 그 중요성이 식용하는 감과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이다. 참고로 흑단이 생산되는 감나무 수종들은 다음과 같다.
흑단의 종류
실론흑단(Ceylon ebony) D. ebenum - 인도 스리랑카 원산
가봉흑단(Gabon ebony) D. crassiflora - 서아프리카 원산
퀸즈랜드흑단(Queensland ebony) D. humilis - 호주 뉴기니 티모르
마카사르흑단(Macassar ebony) D. celebica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모리셔스흑단(Mauritius ebony) D. tessellaria - 모리셔스 원산
이 중에서 오늘 파악할 수종은 그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인도 스리랑카가 원산지인 Ceylon ebony이다. 그래서 우리이름도 실론흑단나무라고 등록되어 있는데 실론은 스리랑카의 옛이름이다. 이 수종의 학명은 1780년 독일 식물학자인 Johann Gerhard König (1728~1785)가 명명한 것으로 Diospyros ebenum J.Koenig로 표기하는데 일부에서는 발표는 스웨덴 식물학자인 Anders Jahan Retzius (1742~1821)가 한 것이라고 Diospyros ebenum J.Koenig ex Retz.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인도와 스리랑카의 건조한 도서지역 삼림 속에서 자생하는 키가 20~30m까지 자라는 상록 교목인 이 수종은 성장이 매우 더딘 만큼 밀도가 높아 목재가 물에 가라앉는다고 한다. 검고 무늬가 고르고 아름답고 광택이 나며 옹이도 없고 벌레도 잘 침투하지 않고 물도 잘 스며들지 않아서 세계 최고급 목재로 알려져 중국 황실의 가구 제작에도 쓰이고 유럽에서도 16~19세기 최고급 가구는 거의 모두 이 목재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그 덕분에 무분별한 남벌로 멸종위기를 맞이하여 현재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원산지인 인도와 스리랑카에서는 법으로 반출을 금지하고 있다고 한다. 이 수종은 내한성이 영하 1도에 불과한 열대 식물이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온실에서만 재배가 가능해 보인다.
끝으로 세상에는 위에서 언급한 감나무과 감나무속 흑단(黑檀) 5종 외에도 이들과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최고급 목재로 유명한 수종들이 콩과와 멀구슬나무과에 또 있는데 그들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콩과 자단향(紫檀香)속
- 중국자단(中國紫檀) : Pterocarpus indicus 중국 동남아 오세아니아 원산
- 자단향(紫檀香) 단향자단(檀香紫檀) : Pterocarpus santalinus 인도 원산
2. 콩과 황단속
- 교지황단(交趾黄檀) : Dalbergia cochinchinensis 동남아시아
- 환엽자단(丸葉紫檀) : Dalbergia latifolia 인도
3. 멀구슬과 마호가니속
- 대엽도화심목(大葉桃花心木) : Swietenia macrophylla 브라질 멕시코 볼리비아
- 마호가니 도화심목(桃花心木) : Swietenia mahagoni 미국 플로리다 카브리해
등록명 : 실론흑단나무
학 명 : Diospyros ebenum J.Koenig ex Retz.
분 류 : 감나무과 감나무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인도 스리랑카
영어명 : Ceylon ebony
중국명 : 오목(乌木)
일본명 : 코쿠단(コクタン) = 흑단(黒檀), 오목(烏木)
수 고 : 20~30m
수 피 : 유시 광활 심회색 후변 암색 후 거친 렬편
잎특징 : 호생 심록색 타원상피침형 박피질 무모 망맥 돌기 광택
잎크기 : 6~10 x 3~5cm
잎자루 : 5mm
성정체 : 자웅이주
웅 화 : 단액생 3~16송이 취산화서 화경 3mm
꽃받침 : 배상 3.5 x 3mm 무모 4렬 불명현 녹모 둔
화 관 : 관상 탁반상 지름 1cm 길이 7mm 4열편 난상장원형 6mm
수 술 : 16개 화사 1.5~3.5mm 화약 선형 4mm
암 술 : 퇴화 선형 2mm
자 화 : 엽액 단생 화경 3mm
꽃받침 : 4렬 4mm 난형 하부결합 열편 첨예상 향외전개
화 관 : 유백색 관상 지름 3mm 길이 6mm 4첨예열편 6mm
자 방 : 무모
열 매 : 장과 성숙후 흑색 무백상 편구형 구형 정단 1개 단결구 지름 1.5~2cm
종 자 : 매과 3~6개, 갈색 흑색 3각상 타원형 10~13 x 2~5mm
개화기 : 4~5월
결실기 : 6~8월
용 도 : 식용, 약용, 목재용
내한성 : 영하 1도
'기타 과 식물 > 감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40 벨벳감나무 – 털로 덮인 복숭아 같은 감 (10) | 2025.07.03 |
---|---|
2139 원숭이감나무 – 아프리카 원산 빨간 작은 감 관목 (7) | 2025.06.30 |
2137 감나무 – 역사와 특징 그리고 시(詩) (43) | 2025.06.28 |
2136 버지니아감나무 – 미국 원산 내한성이 강한 수종 (1) | 2025.06.21 |
2135 고욤나무 – 감나무의 대목으로 사용되는 자생종 (4)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