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덜꿩나무
잎이 덜꿩에 비하여 두껍고 부드럽다
우리나라서는 결코 흔치않는 나무 상록 우단아왜나무를 알아본다. 잎 모양과 질감이 좋고 봄에 꽃을 가을에 열매를 겨울에 푸른 잎을 볼 수 있어 매우 매력적이지만 아직 일반 가정에서는 쉽게 볼 수 없고 식물원 등지에서나 볼 수 있는 상록 정원수이다.
정 명 : 우단아왜나무
이 름 : 상록덜꿩나무(한택수목원 등), 가죽잎덜꿩나무(천리포수목원)
학 명 : Viburnum rhytidophyllum Hemsl.
분 류 : 산토끼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추엽협미( 皱叶荚蒾 : 주름잎협미란 뜻), 비파엽협미(잎을 비파나무를 닮았다는 뜻), 산비파(山枇杷)
영어명 : leatherleaf(가죽잎) viburnum, wrinkled(주름잎) viburnum
특 징 : 수고 최대 4m인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 봄 개화, 가을 결실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지 모르겠다. 학명상 이건 분명 덜꿩나무도 아니고 아왜나무도 아닌데 산분꽃나무속의 기존의 나무에다가 붙이려니 국내 유수 수목원에서는 덜꿩으로 국표식에서는 아왜에 어거지로 갖다붙인 것 같다.
여기에는 아무래도 viburnum을 산분꽃나무로 명명한 것을 따르기가 쉽지 않아서 일어난 혼란으로 보인다. 속명 viburnum을 중국에서는 荚蒾(협미)로 일본에서는 ガマズミ(가마즈미)로 모두 가막살나무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viburnum속에 속하는 많은 수종들을 x x 협미로 일목요연하게 명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엉뚱하게 속명은 산분꽃나무로 개별 수종은 x x 분꽃나무 또는 x x 가막살나무, x x 백당, x x 아왜나무로 명명하고 있어 혼란스럽다.
우단아왜나무가 비록 등록된 정명이기는 하지만 속명인 산분꽃나무를 붙인 우단분꽃나무도 아니고 엉뚱하게 일본산호수라고 불리는 아왜나무를 왜 붙였을까? 실물을 봐도 한눈에 화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 보이는데 나로서는 이해할 수도 없거니와 그렇게 부르고 쉽지도 않다. 분꽃나무 외에도 덜꿩나무, 백당나무, 가막살나무, 설구화, 아왜나무, 배암나무, 분단나무 등 수많은 인기 수종들이 속하는 이 Viburnum(산분꽃나무)속 제발 체계적이고 납득이가는 명명체계가 하루빨리 수립되었으면 좋겠다.
가죽잎이나 주름잎이 세계적으로 쓰이는 보편적 이름 같지만 상록이 귀한 우리나라에서는 상록덜꿩이 더 실감 나기는 한다. 하지만 이미 상록을 뜻하는 푸른가막살나무(Viburnum japonicum)로 등록된 속내 또 다른 상록나무가 있어서 중복되는 점은 있다. 완벽하지도 않고 등록된 정명도 아니지만 일단 그냥 상록덜꿩으로 부른다.
상록덜꿩나무
꽃망울이다.
상록덜꿩나무
상록덜꿩나무
제대로 자라면 이렇게 멋진 모습이다.
상록덜꿩나무
상록덜꿩나무
상록덜꿩나무
꽃모습은 아왜보다는 덜꿩에 가깝다.
상록덜꿩나무
상록덜꿩나무
상록덜꿩나무
열매가 붉게 익다가 나중에는 검게 변한다.
상록덜꿩나무
우리집 상록덜꿩나무
우리집 상록덜꿩나무
우리집 상록덜꿩나무
천리포수목원 가죽잎덜꿩나무라는 팻말이 있었다.
한택수목원 상록덜꿩나무
한택수목원 상록덜꿩나무
참고로 이게 아왜나무이다.
위 상록덜꿩과는 한눈에 봐도 꽃차례가 많이 달라 보인다.
아왜나무 열매이다.
이게 산분꽃나무이다.
이게 푸른가막살나무로 등록된 나무이다. 상록이다.
'인동과 > 산분꽃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 설구화 소투스, 설구화 팝콘, 설구화 로제움 (0) | 2016.05.09 |
---|---|
105 털설구화 라나스, 털설구화 핑크뷰티, 털설구화 다츠 레드 로빈, 털설구화 사스타 등 (0) | 2016.05.08 |
104 백당나무 불두화 덜꿩나무 가막살나무 분단나무 설구화 분꽃나무로 대변되는 산분꽃나무속 (0) | 2016.05.07 |
22 티누스 분꽃나무 (목인동, 동설목, 해피 엔젤, 꽃가막살) (2) | 2016.01.25 |
12 털설구화 '와타나베' (유통명 : 사계덜꿩나무) (0) | 2015.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