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누스 분꽃나무
우리집 나무 제대로 알기 22번째 이번에는 목인동이라고 구입한 화분이다.
노지월동이 불가능하여 겨울에는 실내 화분에서 키우는 상록나무이다.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매장에서도 이름을 제대로 알지 못하여 항상 이렇게 고생하며 스스로 정확한 이름을 알아내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나무유통시장의 현실이다.
가을부터 늦봄까지 향기가 있는 꽃을 오랫동안 소복하게 피우며 특히 짙은 남색열매가 오랫동안 거의 1년이나 달려있어 꽃과 열매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나무이라서 매우 매력적이다.
이 나무는 지중해 연안과 아프리카가 원산으로서 학명이 Viburnum tinus L. 이며 우리나라 등록명은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티누스 분꽃나무]이다. 그외 티누스 분꽃나무 '이브 프라이스'(Viburnum tinus 'Eve Price') 와 히르툼 분꽃나무(Viburnum tinus var. hirtum Aiton) 등 변종 또는 원예종이 두 개 더 등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 나무의 유통명을 살펴보면 동양 3국의 특성이 보인다. 우선 이 나무가 우리나라로 흘러 들어온 경로인 일본을 보면 도키와 가마즈미 (トキワガマズミ)로서 상록 가막살나무라고 부른다. 속명인 Viburnum을 가막살나무를 부르는 일본으로서는 상록인 이 나무 특성을 살린 이름이라고 판단된다. 방대한 식물을 체계적으로 잘 분류관리하고 있는 중국에서는 이를 지중해 협미(地中海荚迷)라고 그 원산지명을 붙여서 부른다. 협미는 Viburnum의 중국명이다. 나름대로 이해가 가며 쉽게 기억이 되는 이름들이다.
우리는 어지럽다. 우선 인동과 식물이라고 목인동(木忍冬) 또는 겨울에 눈같은 흰꽃을 피운다고 동설목(冬雪木)이라고 유통시장에서 부른다고 한다. 동설목은 나름대로 충분한 이유가 있어 보이나 목인동은 뭔 의미인지 모르겠다. 인동과에는 댕강나무, 병꽃나무, 딱총나무, 분꽃나무, 덜꿩나무, 가막살나무, 분꽃나무 등 나무가 한둘이 아니며 인동덩굴 자체도 초본이 아니고 목본인 나무인데 새삼 무슨 나무인동이라는지... 당최...
또 하나의 유통명은 꽃가막살나무인데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아름다운 종을 꽃xxx 라고 이름하는 경우가 가끔있다. 꽃산딸나무, 꽃누리장나무, 꽃개오동, 꽃단풍 같이... 티누스 분꽃나무가 같은 Viburnum속 나무들 중에서 설구화나 덜꿩나무, 백당나무, 불두화 등에 비하여 꽃이 특별히 더 아름다운 것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의미가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Viburnum을 가막살나무로 중국에서는 협미(荚迷)로 일관되게 부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끔 가막살나무로 부를 때도 있지만 주로 분꽃나무로 명명하므로 일본을 따라 가막살나무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다.
그리고 요즘 일각에서는 Happy angel (해피 엔젤)이라고 콩글리쉬 이름을 붙여서 파는 곳도 있어 혼란스럽다. 영어로 하려면 로러스타이너스 (Laurustinus) 또는 로러스타인 (Laurustine)으로 제대로 불러야 외국에서 통한다.
우리나라에서 초본인 화초는 의례 외국명을 그대로 부르는 경우가 일반화 되어 있는데 유독 목본에 와서는 굳이 우리나름대로 이름을 지어 부르려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 나무의 근본을 모르게 되고 따라서 그 나무의 특성이나 재배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가 없게 된다. 이러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 나무도 어지럽게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지 말고 그냥 등록 정명인 티누스 분꽃나무로 통일되었으면 한다.
학 명 : Viburnum tinus L.
등록명 :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티누스 분꽃나무
원산지 : 지중해 연안
유통명 : 목인동, 동설목, 해피 엔젤, 꽃가막살나무
영어명 : Laurustinus (월계수 잎을 닮은데서 유래)
일본명 : 토키와 가마즈미 (トキワガマズミ) - 상록 가막살나무
중국명 : 지중해협미 (地中海荚迷)
개화기 : 10월부터 3월까지
결실기 : 10월 ~ 11월 남흑색 열매 오래 지속됨
내한성 : 영하 10도까지
나무키 : 3M
참고로 이 산분꽃나무속(Viburnum)은 과거 인동과(Caprifoliaceae)에서 연복초과(Adoxaceae)로 변경되었다고 하는데 동양 3국에서는 모두 아직 그냥 인동과로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동설목, 목인동
티누스 분꽃나무 '이브 프라이스'(Viburnum tinus 'Eve Price')
'인동과 > 산분꽃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 설구화 소투스, 설구화 팝콘, 설구화 로제움 (0) | 2016.05.09 |
---|---|
105 털설구화 라나스, 털설구화 핑크뷰티, 털설구화 다츠 레드 로빈, 털설구화 사스타 등 (0) | 2016.05.08 |
104 백당나무 불두화 덜꿩나무 가막살나무 분단나무 설구화 분꽃나무로 대변되는 산분꽃나무속 (0) | 2016.05.07 |
12 털설구화 '와타나베' (유통명 : 사계덜꿩나무) (0) | 2015.12.26 |
11 상록덜꿩나무(우단아왜나무) (0) | 2015.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