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우리집 나무 제대로 알기 이번에는 수련목이라고 부르는 조그마한 화분에 대하여 알아본다. 물론 나무 자체가 원래 작은 것이 아니고 3m이상까지도 자라는 관목인데 이 품종 아직 우리나라에 들어온지 얼마 안되어서 큰 나무는 흔하지도 않고 있더라도 비싸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집에는 이미 여러 나무들이 많기도하거니와 작은 화분을 정성들여 키우는 즐거움 또한 적지 않기 때문에 나는 웬만한 품종은 소품을 선호한다.
꽃 모습이 얼핏보면 물에서 자라는 수련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래서 수련목이란 이름이 붙였을 것이라고 누구나 쉽게 생각하겠지만 여기에는 잠깐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다. 우선 우리나라에서는 수련은 물에 피는 연꽃이라고 뜻의 水蓮이 아니고 밤에 잠자는 연꽃이라고 睡蓮이라고 한자 표기를 한다. 그리고 일본 또한 그렇게 표기한다. 그러나 중국은 다르다. 중국에서는 잎이나 꽃이 물에 떠 있다고 水蓮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나무 즉 수련꽃이 피는 나무라면 당연히 우리나라에서는 睡蓮木이라고 해야 일관성이 있다. 당연히 일본에서는 그렇게 표기한다. 그리고 수련을 水蓮으로 표기하는 중국에서는 당연히 水蓮木으로 표기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각설하고 이 나무에 대하여 내가 정말 놀란 부분은 따로 있다. 그 것은 바로 이나무가 장구밤나무의 일종이라는 것이다. 열매가 장구같이 생겨서 장구밤나무라는 이름을 얻은 우리나라 자생식물이 있는데 그러고 보니 꽃과 열매의 형태가 좀 비슷하기는 하다. 그래서 이 나무의 우리나라 등록 정명은 [오키덴탈리스 장구밤]이다. 수련목보다 훨씬 정감이 덜하다. 요즘 우리나라 도입종 등록시 우리 정서나 식물의 특성 등에 적합하게 좋은 이름을 지어 명명할 것은 아예 포기하고 그저 정해진 속명에다가 종소명 로마자를 한글표기법에 따라 등록하는 것이 고작이라서 더 바랄 것이 없다. 참으로 답답하다. 어디 수목원 팻말에 수련목이라고 되어있다면 누가 봐도 쉽게 기억이 되겠지만 이렇게 오키덴탈리스 장구밤이라고 하면 이건 영어식 발음도 아니고 누가 오래 기억할 수 있겠는가??? 예를들면 수련꽃장구밤나무 이렇게도 명명할 수 있었을 터인데...
여기 장구밤나무속(Grewia)에도 수 많은 나무들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자생종 장구밤나무와 좀장구밤나무 두 종과 외래종으로 이 오키덴탈리스장구밤 하나가 등록되어 있다.
유통명 : 수련목(睡蓮木)
등록명 : 오키덴탈리스장구밤
학 명 : Grewia occidentalis L.
분 류 : 피나무과 장구밤나무속 낙엽 또는 상록 관목
신분류 : 아욱과 장구밤나무아과 장구밤나무속
원산지 : 아프리카 남부
영어명 : Crossberry, Lavender star
중국명 : 수련목(水蓮木)
일본명 : 수련목(睡蓮木 : スイレンボク)
높 이 : 3m
개화기 : 수시 (주로 여름 ~ 겨울)
내한성 : 영하6도
식용성 : 열매 식용가능, 줄기와 뿌리는 약용
방 향 : 향기는 없음
특 징 : 볕을 좋아하지만 반그늘도 무방하고, 건조에도 강하며 여름에는 물을 좋아하나 배수는 잘되어야 한다.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열매를 보니 장구밤나무속임을 알 수 있겠다.
열매가 4개씩 달렸다고 십자(Cross)베리라고도 한다.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얼마전까지 꽃이 피어 있었는데 지금은 다 지고 없다.
수련목 (오키덴탈리스 장구밤 : Grewia occidentalis)
어린 나무에서도 꽃을 이렇게 잘 핀다.
일본 수련목(睡蓮木 : スイレンボク
Grewia caffra
주로 분재로 즐기는 일본의 수련목은 우리나라 오키덴탈리스와는 종이 좀 다르다.
우리 자생종 장구밤나무
우리 자생종 장구밤나무
좀장구밤나무 (중국 小花扁担杆)
우리 자생종이라는데 국내서는 찾아보기 힘들어 중국서 퍼왔다.
좀장구밤나무 (중국 小花扁担杆)
우리 자생종이라는데 국내서는 찾아보기 힘들어 중국서 퍼왔다.
'아욱과 > 아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846 명주솜나무(Floss Silk Tree) = 세이바 스페키오사 (구명 : 코리시아 스페키오사) (0) | 2019.11.15 |
---|---|
380 벽오동(碧梧桐) - 중국 원산 오동(梧桐), 봉황이 깃드는 상서로운 나무 (0) | 2017.09.10 |
31 바오밥나무 (Baobab) - 천년을 살어리랏다 (0) | 2016.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