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귀룽나무 종류로는 귀룽나무와 서울귀룽나무 등 자생종 5개와 외래종 3개가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 상록인 캐롤라이나귀룽나무 하나만 제외하고는 모두 앞에서 살펴 봤다. 이번에는 그 나머지 하나와 흑해원산인 또 다른 상록 월계수귀룽나무라는 것도 간단하게 알아본다. 추위에 약하여 우리나라서 노지 월동은 일부 남부지방을 제외하고는 어려운 수종들이다.
등록명 : 캐롤라이나귀룽나무
학 명 : Prunus caroliniana (Mill.) Aiton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상록 교목
신학명 : Padus caroliniana Mill. 1768
신분류 : 장미과 자두아과 귀룽나무속
원산지 :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등
영어명 : Carolina laurel cherry
수 고 : 5 ~ 13m
개화기 : 늦겨울부터 초봄까지 향이 있는 꽃을 피움
결실기 : 2 ~ 4월
내한성 : 영하 15도, 중부 노지월동 불가능
특 기 : 일반 영어명에 월계수라는 laurel이 들어 있지만 아래서 살펴 볼 월계수귀룽과는 상관이 없는 귀룽나무의 일종으로 보면 된다.
================================
등록명 : 월계수귀룽나무
학 명 : Prunus laurocerasus L.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상록 교목
신학명 : Laurocerasus officinalis M.Roem
신분류 : 장미과 자두아과 월계수귀룽나무속
원산지 : 흑해 유역
영어명 : cherry laurel, common laurel
중국명 : 계앵(桂樱)
수 고 : 15m
잎특징 : 25 x 10cm, 아몬드 향
개화기 : 초봄에서 초여름까지
방향성 : 달콤한 향
결실기 : 초가을 검게 변하면서 성숙
내한성 : 영하 15도, 중부 월동 불가
우리나라에는 위 원종 외에도 7개의 원예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생략한다. 잎이 월계수(Laurus nobilis)를 닮았다고 이런 이름이 붙었으며 실제로 월계관을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고 한다.
===================================
참고로 아래는 월계관을 만들었다는 진짜 월계수이다.
등록명 : 월계수
학 명 : Laurus nobilis
분 류 : 녹나무과 월계수속 상록 교목
영어명 : Bay laurel, True laurel 등
그러니까 월계관 재료의 원조는 월계수이고 나중에 가시없는 루스쿠스와 월계수귀룽도 많이 이용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더 원조를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그리스 신들이나 최초 올림픽에서 사용한 것은 감람나무라고 알려진 올리브나무의 야생종으로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야생 올리브나무의 학명은 Olea oleaster이다.
.
'장미과 벗나무속 > 귀룽나무아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 세로티나벚나무(미국귀룽나무)와 귀룽나무의 차이점 (0) | 2016.05.06 |
---|---|
101 귀룽나무 (구룡목), 흰털귀룽나무, 서울귀룽나무, 와테레이귀룽, 콜로라타귀룽 (0) | 2016.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