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분꽃나무
이번에는 산분꽃나무를 알아보자. 인동과(연복초과로 변경) 산분꽃나무속 관목인데 분류체계상 마치 산분꽃나무속을 대표하는 기본종 같이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분꽃나무에 그 자리를 내어주고 그냥 Viburnum(산분꽃나무속)에 속하는 하나의 수종으로 취급받고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지역과 중국의 길림성 그리고 백두산 지역 및 러시아 인근 시베리아 지역이 그 원산지인데 주로 600m 이상의 산악지역에서 자생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산분꽃나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Viburnum burejaeticum Regel & Herder인 학명도 시베리아 지역의 산맥이름인 bureya와 연관이 있다. 러시아의 아무르주와 중국의 헤이룽장성에 걸쳐 있는 산맥인데 중국명은 샤오싱안링산맥이다.
분꽃나무
꽃잎이 말리지 않고 펴지며 꽃 색상이 분홍색이고 수술이 짧아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산분꽃나무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산분꽃나무라는 이름 때문에 분꽃나무와 매우 가까운 근친이거나 아니면 변이종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Viburnum carlesii Hemsl.로 표기되는 분꽃나무와는 같은과 같은속일뿐 더 이상의 연관성은 없다. 즉 우리나라에 xx분꽃나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37개의 수종 중의 하나일 뿐이란 뜻이다. 분꽃나무는 중부 이남에서 자생하고 산분꽃나무는 주로 중부 이북에서 자생하여 그 지역이 다르고 꽃 모양 또한 많이 다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산분꽃나무는 분꽃나무와 같은 짙은 향기가 없다. 다만 꽃이 없는 상태에서 잎만 보고서 구분하기는 쉽지 않은데 이는 분꽃나무와 산분꽃나무만 그런 것이 아니고 거의 대부분의 산분꽃나무속 나무들의 잎 모양이 비슷비슷하여 구분이 쉽지 않은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이를 별도로 탐구하는 것은 이 나무가 우리나라 자생종이기 때문이다.
등록명 : 산분꽃나무
학 명 : Viburnum burejaeticum Regel & Herder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관목
원산지 : 우니라나 자생종, 중국, 러시아
중국명 : 수지협미(修枝荚蒾), 난목조협미(暖木條莢蒾)
영어명 : Manchurian Viburnum (만주 지역을 뜻함)
수 고 : 5m
잎특징 : 4~10cm, 전면 단성모, 후면 성모밀생 나중 없어짐, 치아상거치
잎 맥 : 측맥 5~6조, 그물망, 주맥 전 오목 후 볼록
잎자루 : 3~10mm, 털
꽃차례 : 취산화서, 새가지끝, 4~5cm 지름, 무모, 1차 5지 방사, 2차지 개화
개화기 : 5월, 백색, 5~6mm 화관, 5렬, 수레바퀴모양
꽃수술 : 5개, 화관보다 길다.
결실기 : 9월 적색에서 흑색으로 성숙
가 지 : 일년생 성모,
동 아 : 나출
산분꽃나무
산분꽃나무
산분꽃나무
산분꽃나무
산분꽃나무
홍천 야산에서 발견한 나무
꽃이 없어서 구분이 어려우나 지역적으로 봐서 산분꽃나무로 추정된다.
홍릉수목원에 있는 산분꽃나무 팻말이 달린 나무인데
분꽃나무일지도 모른다. 꽃을 봐야 구분이 되겠다.
홍릉수목원에 있는 산분꽃나무 팻말이 달린 나무인데
분꽃나무일지도 모른다.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분꽃나무에 비하여 키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오히려 덜꿩이나 가막살나무와 비슷하지 분꽃나무와는 거리가 멀다.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산분꽃나무 = 중국 수지협미
'인동과 > 산분꽃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7 푸른가막살(백산목) (0) | 2016.05.29 |
---|---|
116 아왜나무 (0) | 2016.05.29 |
114 분꽃나무 - 향기가 너무 좋은 우리나라 자생종 꽃나무 (0) | 2016.05.28 |
113 산가막살나무와 덧잎가막살나무 (0) | 2016.05.22 |
112 가막살나무 (2) | 2016.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