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피나무 가로수길 영국
이제 피나무속 마지막으로 유럽에서 건너온 피나무들을 알아본다. 우리나라에 3종류가 등록되어 있다. 플라티필로스피나무와 그의 변종 황금플라티필로스피나무 그리고 피나무 '페티올라리스'가 그것이다. 아쉽게도 피나무속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모식종이며 우리가 흔히들 유럽피나무라고 부르며 슈베르트의 가곡 겨울나그네에 나오는 성문앞 우물가에 서 있다고 알려진 보리수 린데바움(Lindenbaum)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미등록종이지만 유럽피나무와 그 원종인 코다타피나무도 추가로 살펴본다.
그런데 독일시인 빌헬름 뮐러가 쓴 시에 슈베르트가 곡을 붙인 겨울나그네 노래에 나오는 독일어로 린덴바움이라는 이 나무가 정확하게 유럽피나무(Tilia x europaea L.)라는 근거는 없다. 린덴바움(Lindenbaum)은 영어로는 Tilia로 번역되는 피나무속 나무를 통칭하는 말이다. 따라서 특정 수종이라기 보다는 그냥 시인의 상상속의 나무일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서양 자료에는 정확하게 이 나무가 어떤 나무인지에 대한 자료가 안보이고 관심도 없는 것 같다. 그런데 내가 궁금한 것은 같은 의미의 영어 tilia는 피나무로 번역하면서 왜 그때나 지금이나 독일어 lindenbaum을 우리나라서는 보리수로 번역하느냐 이거다.
이건 아무래도 일본의 영향으로 보인다. 슈베르트의 유명한 가곡 겨울나그네에 나오는 그 나무를 중세 자유의 상징이라며 독일 수도 베를린의 가로수로 많이 심었던 tilia x europaea라고 단정하고 이를 보리수라고 부른 것은 일본인 것 같다. 지금도 일본에는 보리수(菩提樹)로 불리는 나무가 세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인도보리수이며 또 하나는 보리자나무이며 나머지 하나가 센요우시나노기(セイヨウシナノキ)로 불리는 유럽피나무이다. 물론 일본도 정명으로는 보리자나무 하나만을 보리수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는 앞의 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
우리는 일제강점기 그들의 영향으로 그렇게 보리수라고 번역하여 노래를 불렀으며 아직도 그걸 전통이라고 이어오고 있는 것 같다. 원래 인도에 있는 부처님이 득도한 인도보리수 나무가 우리 기후조건에 맞지 않아서 이를 닮았다고 피나무 일종인 보리자나무를 대용으로 쓰고 사찰에서 보리수라고 불렀던 것이 급기야는 불교와는 전혀 무관한 독일 가곡의 가사마저 엉뚱하게 피나무를 보리수로 바꿔 놓았다. 그것도 일본의 영향으로... 약간 씁쓸하다.
이것이 뮐러가 시를 쓰고 슈베르트가 작곡한
그 유명한 가곡 겨울나그네 중 보리수이다.
성문 앞 우물곁에 서 있는 보리수
그 그늘 아래 앉아 꿈꾸곤 했었네.
나무에 새겨 놓은 사랑의 말들은
기쁠 때나 슬플 때 날 불러 주었네.
나 오늘 나그네길 한 밤에 떠날 때
어두운 보리수 밑 눈 감고 지났네.
나무는 속삭였네 날 위로하는 듯
이리 오게, 친구여 쉴 곳 여기라네!
찬바람 휘몰아 쳐 얼굴에 퍼붓고
모자마저 벗겨도 안 돌아섰다네.
이제 나 아주 멀리 떠나 와 있지만
속삭임 변함없네. 쉴 곳 거기라네!
명 칭 : 유럽피나무(가칭 : 미등록종)
학 명 : Tilia x europaea L.
분 류 : 피나무과 피나무속 교목
신분류 : 아욱과 피나무속 교목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common lime, commen linden
수 고 : 15~50m
잎크기 : 6~15 x 6~12cm
열 매 : 8mm지름, 희미한 능성, 솜털
특 징 : 플라티필로스피나무와 코다타피나무의 자연 교잡종
유럽피나무
유럽피나무가 있는 전원풍경
등록명 : 플라티필로스피나무
학 명 : Tilia platyphyllos Scop.
분 류 : 피나무과 피나무속 교목
신분류 : 아욱과 피나무속 교목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largeleaf linden, large-leaved lime
수 고 : 40m
잎크기 : 12cm
열 매 : 원형 1mm 미만 지름, 솜털, 3~5 능선
방향성 : 매우 향이 강하다.
종소명 platyphyllos는 넓은 잎이란 뜻이다.
플라티필로스피나무
플라티필로스피나무
플라티필로스피나무
플라티필로스피나무
플라티필로스피나무
등록명 : 황금플라티필로스피나무
학 명 : Tilia platyphyllos 'Aurea'
분 류 : 피나무과 피나무속 교목
신분류 : 아욱과 피나무속 교목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Golden-Stemmed Lime
수 고 : 15~25m
플라티필로스피나무의 원예종으로서 겨울동안 황금색 줄기와 가지눈 등을 즐길 수가 있다.
황금플라티필로스피나무
황금플라티필로스피나무
황금플라티필로스피나무
등록명 : 피나무 '페티올라리스'
학 명 : Tilia 'Petiolaris'
이 명 : Tilia tomentosa subsp. petiolaris Soo
분 류 : 피나무과 피나무속 교목
신분류 : 아욱과 피나무속 교목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weeping silver lime
수 고 : 12m
가지가 처지는 원예종으로서 Royal Horticultural Society's Award of Garden Merit를 수상한 바 있다.
종소명 Petiolaris는 잎자루가 특이하다는 뜻이다.
피나무 '페티올라리스'
피나무 '페티올라리스'
명 칭 : 코다타피나무(가칭 : 미등록종)
학 명 : Tilia cordata Mill.
분 류 : 피나무과 피나무속 교목
신분류 : 아욱과 피나무속 교목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small-leaved lime, small-leaved linden
수 고 : 20~40m
잎길이 : 3~8cm
우리나라에서는 무슨 이유인지 이를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로 통합 피나무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종소명 cordata는 하트모양의 잎을 뜻한다.
코다타피나무
한택수목원
코다타피나무
코다타피나무
코다타피나무
'아욱과 > 피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4 피나무속 나무들 구분 포인트 (0) | 2016.07.06 |
---|---|
132 중국피나무, 베고니폴리아피나무, 헨리아나피나무 (0) | 2016.07.02 |
131 일본피나무 (0) | 2016.07.02 |
130 구주피나무 (九州) - 일본 고유종 (0) | 2016.07.02 |
129 보리자나무와 인도보리수(菩提树), 보리수나무 (0) | 2016.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