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그림만 보고 어떤 피나무 수종인지를 정확하게 알아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제까지 우리나라에 등록된 피나무속 우리 자생종 11종과 외래 재배종 9종 모두 20종 전부에 대하여 알아봤다. 우리 고유종은 우리나라의 정보를 외래종은 그 원산지의 정보를 기본으로 삼고 파악하였으나 워낙 피나무속 나무들이 모두 서로 비슷하여 구분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이는 나만의 문제가 아니고 국제 학계에서도 피나무속 나무들의 분류를 30종이니 80종이니 하면서 의견이 분분한 것 같다. 실제로 우리나라 자생종 11종 중 국제학계에서 인정받은 학명은 절반 정도에 불과한 것이 이런 실상을 반증하고 있다.
그래도 우리 일반인들 시선에서 최소한 우리나라에 많이 분포하는 수종들을 대충이라도 구분할 수 있는 차이점은 파악하지 않을 수가 없으니 이제 정리해본다. 그런데 문제는 국생정 자료나 백과사전에 설명된 내용만을 토대로 구분 포인트를 찾을 수는 없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국생정 기재문의 내용이 매우 부실한데다가 기재문 정보와 그림 이미지가 부합하지 않는 등 오류도 허다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외국에도 자생하는 수종의 경우 외국 정보와 우리나라 정보가 서로 상이한 경우도 있다. 그래서 피나무속은 정말 어렵다. 따라서 나무가 서 있는 사찰의 스님들도 자기들 절의 나무가 정확하게 어느 수종인지 모르는 것이다. 아마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제각기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런 복잡한 피나무속 나무들을 간단하게 단번에 알아 볼 수 있는 구분 포인트를 찾는 분들이라면 이 글을 읽지 않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세상에 그런 구분포인트는 있을 수가 없다고 판단된다. 꾸준하게 인내심을 갖고 오랫동안 즉 겨울눈에서부터 가을 열매까지 살펴보고 정확하게 동정하고자 하는 분들에게만 이 내용이 약간의 도움을 줄 정보에 불과할 것이다.
우선 우리나라에 등록된 피나무속 20종을 다음과 같이 크게 5개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피나무와 그 변이종 모두 6종
특징 : 잎의 크기가 작고 잎 뒷면 맥액에 털이 모여있는 모총이 있다.
피나무 Tilia amurensis Rupr.
뽕잎피나무 Tilia taquetii C.K.Schneid.
섬피나무 Tilia insularis Nakai (미해결 비합법명)
털피나무 Tilia rufa Nakai (미해결 비합법명)
연밥피나무 Tilia koreana Nakai (뽕잎피나무의 이명?)
평안피나무 Tilia amurensis var. grosseserrata Nakai (비합법명)
이 중에서 연밥피나무와 평안피나무는 국내서도 존재가 불확실하고 섬피나무와 털피나무도 아직 비합법명이다.
찰피나무와 그 변이종 모두 5종
찰피나무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웅기피나무 Tilia mandshurica var. ovalis (Nakai) Li.ou & Li.
염주나무 Tilia mandshurica var. megaphylla (Nakai) Liou et Li
개염주나무 Tilia semicostata Nakai (미해결 학명)
둥근잎염주나무 Tilia megaphylla f. subintegra Nakai (찰피나무의 이명?)
웅기피나무와 둥근잎염주나무는 북한에 자생한다는데 남한에는 없는 듯 하다.
중국계 피나무들 4종
보리자나무 Tilia miqueliana Maxim. 남경단(南京椴)
중국피나무 Tilia chinensis Maxim. 화단(华椴)
베고니폴리아피나무 Tilia begoniifolia Chun & Wong 백모단(白毛锻)
헨리아나피나무 Tilia henryana Szyszyl. 모나미단(毛糯米椴)
일본계 피나무들 2종
구주피나무 Tilia kiusiana Makino & Shiras. 헤라노기(ヘラノキ : 箆の木)
일본피나무 Tilia japonica Simonk. 시나노기(シナノキ)
유럽계 피나무들 3종
플라티필로스피나무 Tilia platyphyllos Scop.
황금플라티필로스피나무 Tilia platyphyllos 'Aurea'
피나무 '레티올라리스' Tilia 'Petiolaris'
우리 자생종 중 위에서 언급한 존재가 미약한 것을 제외하고 그대신 외래 재배종이지만 많이 분포된 보리자나무를 포함하여 아래 수종들의 최소한의 구분 포인트는 파악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피나무, 뽕잎피나무, 섬피나무, 털피나무, 찰피나무, 염주나무, 개염주나무, 보리자나무가 그 것이다. 이 것을 원종으로 분류하면 피나무와 찰피나무 그리고 중국에서 온 보리자나무로 크게 삼분된다. 그럼 우선 이 원종 3개의 차이점을 파악 해보자.
피나무와 찰피나무 그리고 보리자나무의 차이점 비교표
보리자나무 |
찰피나무 |
피나무 |
|
수고 |
20m | 20m | 25m |
수피 |
회백색, 어린가지 황갈색 솜털 | 암회색, 어린가지 회백색 성상솜털 | 암회색, 조각 탈락 |
정아 |
난형, 황갈색 솜털 | 솜털 | 무모, 인포3편 |
잎모양 |
난원형, 선단급단첨, 기부 심형, 혹 약편사 삼각형 | 난원형, 기부 사심형 또는 재형 | 활란형, 난원형, 기부 심형, 가끔 사재형 |
잎크기 |
9~12 x 7~9.5cm | 8~10 x 7~9cm | 3~9 x 3~7cm |
잎면털 |
상 무모, 하 회색 또는 회황색 성상솜털 | 상 무모, 하 밀피회색 성상솜털 | 상 무모, 하 천록색, 맥액 모총 |
잎측맥 |
6~8조, 정제거치 (예리한 톱니) | 5~7조, 삼각형 1.5~5mm길이 4~7mm 간격 톱니 | 4~5조, 1mm 길이 톱니 |
잎자루 |
3~4cm, 원주형, 솜털(회백색 성모) | 2~5cm, 원주형, 초기 솜털 이후 사라짐 | 2~6cm, 무모 |
꽃차례 |
취산화서, 6~8cm, 3~12송이 | 취산화서, 6~9cm, 6~12송이 | 취산화서, 3~5cm, 무모, 3~20송이 |
꽃자루 |
8~12mm, 회색솜털, 엽액생 | 4~6mm, 유모 |
7~10mm |
포편 |
양면 성상유모, 초기교밀,기부협착,선단둔,착도피침형 |
상 무모, 하 성상유모, 선단원,기부둔, 장착원형 착도피침형 | 무모, 협대형 |
포크기 |
8~12 x 1.5~2.5cm | 5~9 x 1~2.5cm | 3~7cm x 5~8mm |
포편병 |
단병, 2~3mm, 또는 무병 | 4~5mm, | 1~1.5cm |
꽃받침 |
5~6mm, 5개, 회색모, 꽃잎보다 짧음 | 5mm, 외면 성상유뮤, 내면 장사모 | 넓은피침형, 5~6mm, 외면 성상유모 |
꽃잎 |
꽃받침보다 길다 | 7~8mm | 6~7mm |
수술 |
5개 짧은 퇴화수술, 꽃받침보다 약간 짧음 | 꽃받침 길이, 퇴화수술 약간 짧은 꽃잎형상 | 5~6mm, 약 20개, 퇴화수술 무 |
암술대 |
꽃잎과 같은 길이 | 4~5mm, 무모 | 5mm |
씨방 |
유모 | 성상 솜털 | 유모 |
열매 |
구형, 능선 무(기부 5개), 갈회색 성상유모, 작은 돌기 |
구형, 7~9mm, 불명확한 5개 능선 | 난원형, 5~8mm, 성상솜털, 능선유 또는 불명확 |
개화기 |
7월 | 7월 | 7월 |
방향성 |
약간의 향기 | 강한 향기 | 강한 향기 |
길이순 |
암술대, 꽃잎, 퇴화수술, 꽃받침, 수술 | 꽃잎, 암술대, 퇴화수술, 수술, 꽃받침 | 꽃잎, 수술, 꽃받침, 암술 |
위표에서 보듯이 피나무는 우선 잎의 크기가 10cm를 넘지 않는다. 그렇다고 나무의 크기가 작은 것은 결코 아니다. 뽕잎피나무 등 피나무의 변종들도 마찬가지로 잎의 크기는 작다. 그리고 피나무와 그 변이종들은 잎 뒷면 맥액에 있는 황갈색 잔털묶음(모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피나무는 이 털 외에는 잎자루 꽃자루 포자루 어디에도 털이 없다. 그리고 거치는 날카롭다.
피나무
잎이 심장형 즉 하트형이고 톱니가 날카롭고 맥액(맥이 시작되는 곳)에 황갈색 털묶음이 보인다.
피나무
이게 피나무 맥액의 황갈색 모총(털묶음)이다.
피나무
정아에 털이 없다.
피나무
포편에 털이 없고 포편자루가 길다.
피나무
꽃자루에도 털이 없고 소화경이 찰피나무에 비하여는 길다.
피나무
꽃잎모양의 퇴화수술이 없다.
피나무
꽃받침에는 털이 있다.
피나무
열매는 완전한 구형이 아닌 약간 길쭉한 난원형이다.
피나무
능선이 없거나 있더라고 불명확하다.
피나무보다 키가 작으며 어린 가지와 꽃차례에 담황색 성상유모가 있으며 잎 사이즈가 작은 것이 뽕잎피나무이며 잎이 크고 두꺼우며 잎 상면 맥위에 털이 있고 뒷면 맥위에 백색털이 있는 것이 울릉도 특산 섬피나무이다. 잎이 매우 작고 잎 상면 맥위에 백색성모 뒷면에 갈색성모가 있는 변종이 털피나무이다.
찰피나무
잎이 피나무보다 크고 기부가 심장형(하트형)이 아니며 좌우 비대칭이다.
찰피나무
소화경(작은 꽃자루)가 짧은 것이 특징
찰피나무
정아에 솜털이 있다.
찰피나무
포편 뒷면에만 성상유모가 있다.
찰피나무
자세히 보면 꽃잎마다 꽃잎모양의 퇴화수술이 겹쳐져 보인다.
찰피나무
열매가 거의 원형에 가깝다.
염주나무
찰피나무의 변종으로서 열매에 5개의 능선이 뚜렷하며 원형이 아닌 도란형인 것이 특징
염주나무
찰피나무와는 다르게 기부가 심장형이다.
개염주나무
찰피나무의 변종으로서 잎자루와 열매자루에 회갈색 성상모가 있는 것이 특징
개염주나무
도란상 구형이며 염주나무와는 다르게 하부에만 능선이 있다.
보리자나무
잎자루에 솜털이 있다.
보리자나무
포의 양면에 별모양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포편자루는 거의 없다.
보리자나무
피나무와 찰피나무 그리고 보리자나무의 꽃은 확연하게 구분이 된다.
보리자나무느 암술대, 꽃잎, 퇴화수술, 꽃받침, 수술 순서로 길다.
보리자나무
잎자루는 비교적 짧은 편이며 잎 뒷면에 회색 또는 회황색 솜털이 있다.
보리자나무는 잎 모양과 잎의 거치가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보리자나무
열매는 구형이며 능선이 없거나 하부에만 있다.
'아욱과 > 피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3 유럽피나무, 플라티필로스피나무, 코다타피나무 (0) | 2016.07.03 |
---|---|
132 중국피나무, 베고니폴리아피나무, 헨리아나피나무 (0) | 2016.07.02 |
131 일본피나무 (0) | 2016.07.02 |
130 구주피나무 (九州) - 일본 고유종 (0) | 2016.07.02 |
129 보리자나무와 인도보리수(菩提树), 보리수나무 (0) | 2016.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