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345 록스부르기장미 - 중국원산 소사화(缫丝花), 노르말리스장미 - 중국원산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낙은재 2017. 7. 15. 10:44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록스부르기장미라고 등록된 수종이 있다. 그 이름만 들어봤을 때는 어디 서양에서 온 장미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상은 중국에서 들어온 소사화(缫丝花)라는 야생 장미의 일종이다. 그 꽃과 잎 모습이 해당화를 많이 닮아서 이를 중국해당화라고 이름표를 단 우리나라 수목원도 있다고 한다. 실제로 해당화 특히 아래 사진의 만첩해당화를 매우 많이 닮았지만 작은 잎의 크기가 길이 1~2cm에 불과하여 소엽 큰 것은 4.5cm나 되는 해당화와는 많은 차이가 난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 소사화를 장미 중 소엽조(小叶组 : Sect. Microphyllae Crep.)로 분류한다. 서양에서는 이 록스부르기장미를 줄기 껍질이 벗겨지는 특성이 있다고 Platyrhodon아속으로 분류한다. Platyrhodon는 flaky rose라는 뜻이다. 


원산지 중국명 소사화(缫丝花)의 소사(缫丝)는 누에 고치에서 실을 뽑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는 매번 자견소사(煮茧缫丝)시 즉 누에 고치를 삶고 물레로 명주실을 켜는 시기에 이 장미의 꽃이 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그 출전은 명나라 고렴(高濂)이 선(撰)한 준생팔전(遵生八笺)에 근거한다. “煮茧缫丝,花始开放” : 자견소사 화시개방


등록명 : 만첩해당화

중국명 : 자화중판매괴(紫花重瓣玫瑰)

학 명 : Rosa rugosa Thunb. f. plena

해당화의 겹꽃으로서 소사화의 꽃과 매우 흡사하다.


등록명 : 만첩해당화

중국명 : 자화중판매괴(紫花重瓣玫瑰)

학 명 : Rosa rugosa Thunb. f. plena


이 중국 소사화를 우리나라에서 등록하면서 우리식 이름을 지어서 붙이기를 포기하고 그냥 학명 Rosa roxburghii을 그대로 따라서 록스부르기장미라고 등록하고 있는 것까지는 이해할 수 있으나 학명도 제대로 표기하지 못하여 Rosa roxburghii Tratt.로 표기하여야 할 것을 그만 Rosa roxburghii Sweet로 기록하고 있다. Rosa roxburghii Sweet는 Rosa roxburghii Tratt.보다 3년 늦은 1826년에 발표된 학명으로서 아직 미해결된 학명이며 일부에서는 그 내용도 중국 소사화가 아닌 우리나라 찔레꽃과 유사하다고 찔레꽃의 유사학명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따라서 찔레꽃의 유사학명이라면 말할 것도 없고 같은 소사화를 묘사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3년이나 늦기 때문에 Rosa roxburghii Sweet라는 학명을 사용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그런데 이 나무의 열매는 해당화 열매와는 판이하게 다르게 특이한 밤송이 같은 가시 모양을 하고 있어 일반 영어명으로 밤장미 또는 밤송이같은 가시장미라는 뜻으로 chestnut rose 또는 burr rose로 불리우고 있다. 일본에는 이른 시기에 도입되었는지 그들만의 독창적인 이름을 지어서 부르고 있는데 그 이름이 いざよいばら (十六夜薔薇) 이자요이바라 즉 16야장미이다. 이는 거의 100개 달하는 꽃잎으로 이루어진 이 꽃의 모양이 음력 16일 밤 달의 모습과 같이 완전한 보름달에서 아주 조금은 이그러진 모습을 하고 있다고 붙여진 재미있는 이름이다. 


우리 국민 대다수는 이 소사화의 존재조차도 모르고 있으며 정부에서 운영하는 국표식에는 엉터리 학명이 등록되어 있고 국내 굴지의 수목원에서는 엉뚱하게 중국해당화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는데 일본은 이렇게 실물의 특성을 표현하는 독창적인 이름까지 붙여가며 실제로 키우는 가정도 있다고 하니 놀랍다. 깊이가 있다. 일본이 네덜란드와 함께 세계 2대 원예강국이 된 것이 우연이 아닌 것 같다. 역시 우리가 따라잡기는 쉬워 보이지 않는다.


록스부르기장미의 열매

열매가 마로니에 즉 가시칠엽수 열매를 많이 닮았다.

마로니에를 영어로는 horse chestnut(말밤)이라고 한다.


록스부르기장미

만개한 이 모습이 완전하지는 않다고 일본에서는 보름달에서 하루 지난 16일 밤 달이라고 16야장미라고 부른다.


등록명 : 록스부르기장미

학  명 : Rosa roxburghii Tratt.

분  류 : 장미과 장미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소사화(缫丝花)

별  명 : 자미(刺穈), 자리(刺梨), 문광과(文光果)

영어명 : chestnut rose 또는 burr rose

일본명 : いざよいばら (十六夜薔薇 : 16야장미)

줄  기 : 전개

수  고 : 1~2.5m

수  피 : 회갈색, 성편상박락

가  지 : 원주형, 사향상승, 기부 약간납작한 가시 마주남

잎차례 : 소엽 9~15개 우상복엽, 연엽병장 5~11cm

소엽편 : 타원형혹장원형, 희도란형, 1~2 x 0.6~1.2cm

잎모양 : 선단급첨혹원둔, 기부관설형, 변연세예거치

잎특징 : 양면무모, 하면엽맥돌기, 망맥명현, 엽축과엽병 작은가시

탁  엽 : 대부분 엽병에 첩생, 이생부분증 침형, 변연선모

꽃차례 : 단생혹 2~3타, 단지정단생

꽃크기 : 5~6cm 지름

꽃자루 : 짧음, 소포편 2~3매, 란형, 변연선모

꽃받침 : 악편통상란형, 선단점첨, 우상열편, 내면밀피융모, 외면밀피침자

꽃부리 : 화판중판지반중판, 담홍색혹분홍색, 도란형, 외륜대, 내륜소

꽃향기 : 미향

꽃수술 : 다수, 배상악통변연착생

심  피 : 다수, 화탁저부착생

암술대 : 화주이생, 피모, 불외신, 수술보다 짧음

열  매 : 편구형, 직경 3~4cm, 녹홍색, 외면침자밀생, 악편숙존, 직립

개화기 : 5~7월

결실기 : 8~10월

용  도 : 과실미 감산, 다량 비타민 함유, 식용 및 약용, 담금주, 관상용 정원수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줄기가 직립하다가 옆으로 처지는 전형적인 야생 장미의 모습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꽃자루에 포편이 있다.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줄기 껍질이 벗겨지는 모습때문에 flaky rose라는 뜻의 Platyrhodon아속으로 분류한다.


이 소사화의 변종으로 홑꽃이 피는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가 있는데 학명을 Rosa roxburghii f. normalis Rehder & E.H.Wilson로 표기한다. 우리나라 등록명은 노르말리스장미이며 중국에서는 정명인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외에도 야석류(野石榴) 또는 자석류(刺石榴)로 부르기도 하나 국제적으로는 일부에서 이를 소사화 즉 록스부르기장미에 통합시켜 유사종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등록명 : 노르말리스장미

중국명 :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등록명 : 노르말리스장미

중국명 :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등록명 : 노르말리스장미

중국명 :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등록명 : 노르말리스장미

중국명 :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꽃은 홑이라도 열매는 마찬가지로 가시로 덮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