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모습은 해당화 비슷한데 노란 꽃이 피는 노랑해당화라는 나무가 있다. 여기 양평 우리 이웃집에도 있는데 중국인이 경영하는 서울 어느 중국집 마당에서 처음 보고 반하여 그 뿌리를 하나 얻으려고 수도 없이 짜장면을 사먹으면서 어렵게 구하였다고 자부심이 대단하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우리나라 해당화는 붉은 계통의 홑꽃만 피지만 해당화에는 겹꽃도 있고 흰색 홑꽃과 겹꽃이 피는 변종들도 있다. 이들을 우리나라에서는 만첩해당화와 흰해당화로 별도 분리하여 등록하고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대체적으로 해당화(Rosa rugosa)에 통합하여 모두 그 유사종으로 분류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노란 홑꽃이나 겹꽃이 피는 종은 학명이 Rosa xanthina로 아예 처음부터 종소명이 다른 완전 독립된 종으로 분류한다. 그러고 보니 잎 사이즈나 모양이 그리고 줄기의 가시도 해당화와는 다르다. 바꿔 말하면 원래 해당화와는 완전히 다른 종의 장미의 일종인데 우리나라에서 노랑해당화라는 이름을 붙였기 때문에 혹시나 해당화의 변종이나 원예종이 아닌가 하고 의심하게 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원산지 중국의 이름에서도 해당화의 중국 이름인 매괴(玫瑰)라는 이름이 없이 황자매(黄刺玫)라고 노랑 가시 장미라는 뜻으로 부르고 있다. 참고로 흰해당화는 중국에서 백화매괴(白花玫瑰)라고 부르고 있어 노랑해당화와 대비가 된다.
이 노랑해당화는 중국의 동북지역이 원산지라서 영어명도 만주장미라는 뜻으로 Manchu rose로 불리며 외국의 많은 자료에 중국 동북지방 뿐만아니라 우리나라 이북지역에서는 분포한다고 되어 있는데 이상하게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 자생설을 인정하지 않고 그냥 중국에서 들어온 종이라고 설명을 하고 있어 이 부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우리 국명 노랑해당화는 1937년 정태현 등의 조선식물향명집에 근거를 하는데 우리 독창적인 이름인지 아니면 일본 이름 기바나하마나스(キバナハマナス : 黄花浜梨)에서 온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나카이 등 일본 식물학자들이 국내서 이를 보고 묘사하여 신종으로 발표한 것을 보면 우리나라를 통하여 일본으로 도입된 것 같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이름 노랑해당화를 따라서 일본이름이 黄花浜梨(노랑해당화)로 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등록명 : 노랑해당화
학 명 : Rosa xanthina Lindl.
분 류 : 장미과 장미속 낙엽 직립 관목
원산지 : 중국 동북지역, 한반도(?)
중국명 : 황자매(黄刺玫), 황자매(黄刺莓)
영어명 : Manchu rose
일본명 : 기바나하마나스(キバナハマナス : 黄花浜梨)
수 고 : 2~3m
줄 기 : 조장, 밀집, 피산, 소지무모, 가시산생, 무침자
잎차례 : 소엽 7~13 우상복엽, 연엽병장 3~5cm
소엽편 : 관란형혹근원형, 희타원형, 선단원둔, 기부관설형혹근원형
잎특징 : 상면무모, 어릴땐하면희소유모, 축점탈락
잎 축 : 엽병과 더불어 희소유모와 소피자
탁 엽 : 대상피침형, 대부엽병첩생, 이생부분증 이상, 변연유거치와 샘선
꽃차례 : 단생 엽액생, 중판혹반중판
꽃색상 : 황색, 무포편
꽃자루 : 장 1~1.5cm, 무모, 무선
꽃크기 : 3~5cm 지름
꽃받침 : 악통, 악편 외면 무모, 악편피침형, 전연, 선단점첨, 내면유희소유모, 변연교밀
꽃부리 : 황색, 관도란형, 선단미요, 기부관설형
암술대 : 화주이생, 피장유모, 초신출악통구외부, 비웅예단흔다
꽃향기 : 있음
열 매 : 근구형혹도란형, 자갈색혹흑갈색, 직경 8~10mm, 무모, 화후악편반절
개화기 : 4~6월
결실기 : 7~8월
내한성 : 영하 26도
용 도 : 열매 식용, 장아찌, 방향유, 꽃과 열매 약용 이기활혈(理气活血) 조경건비(调经健脾)
종소명 xanthina는 yellow 즉 황색이라는 뜻이다.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이 노랑해당화도 홑꽃이 피는 변종이 있는데 학명을 R. xanthina Lindl. f. normali 또는 R. xanthina Lindl. f. spontanea로 표기한다. 우리나라 수목원 등에서도 볼 수 있으며 원산지 중국에서는 이를 단판황자매(单瓣黄刺玫)라고 부른다. 이를 국제적으로는 황자매 즉 노랑해당화에 통합하여 그 유사종으로 분류하지만 중국에서는 이 단판황자매가 황자매의 원시종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일본의 노랑해당화 즉 기바나하마나스(キバナハマナス : 黄花浜梨)는 겹꽃보다는 주로 홑꽃이 많다.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장미과 장미아과 > 장미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8 다마스케나장미 - 장미오일의 원료, 유럽 4대 전통장미 중 하나, 시리아 터키 원산 (0) | 2017.07.17 |
---|---|
347 갈리카장미 = 프랑스장미 - 서양 전통장미 4대 기본종 중 하나 (0) | 2017.07.17 |
345 록스부르기장미 - 중국원산 소사화(缫丝花), 노르말리스장미 - 중국원산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1) | 2017.07.15 |
344 루비기노사장미 - 유럽, 중동 원산 (0) | 2017.07.14 |
343 글라우카장미 - 유럽원산 자엽장미, 카니나장미 - 유럽원산 개장미 (1) | 2017.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