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서양의 4대 전통장미 중 하나인 다마스케나장미는 Rosa damascena로 학명표기 되는데 실상은 서양이 아닌 서아시아 즉 중동지역이 원산지이다. 기원전부터 페르시아인들이 향수를 만들기 위하여 널리 재배하던 것을 십자군에 의하여 유럽으로 전파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장미는 원종이 아니라 교잡종이라고 Rosa x damascena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그 원 조상은 바로 앞 글에서 살펴 본 유럽의 갈리카장미(R. gallica) 즉 프랑스장미와 모스카타장미(R. moschata)에다가 페드첸코아나장미(R. fedtschenkoana)의 유전자가 섞여 있다고 한다. 이 모스카타장미는 히말라야 서쪽지역이 원산지로서 사향장미로 불리며 중국 티베트(西藏) 원산 복산방장미(复伞房蔷薇)와 유사종 논란이 있는 상태이며 페드첸코아나장미는 중국 신장(新疆) 원산의 선과장미(腺果蔷薇)이다.
복산방장미(复伞房蔷薇) 티베트 원산
사향장미 = 모스카타장미(R. moschata)
선과장미(腺果蔷薇)
다마스케나는 다마스쿠스 즉 시리아 수도를 의미하며 이 장미가 시리아 뿐만 아니라 터키에서도 많이 재배되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이 장미를 돌궐장미(突厥蔷薇)라고 부른다. 이 장미는 향기가 좋기 때문에 장미유나 장미수(rose water)를 얻기 위하여 오늘날까지도 많이 재배를 한다. 일년에 20일 내지 40일 동안 개화기에 꽃잎을 일일이 손으로 채취하여 증류시켜 장미유를 생산하는데 현재 불가리아와 터키가 장미유 즉 rose oil 생산국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불가리아의 다마스케나장미 축제
명 칭 : 다마스케나 장미(미등록종)
학 명 : Rosa damascena Mill
분 류 : 장미과 장미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동
영어명 : Damask rose
중국명 : 돌궐장미(突厥蔷薇)
수 고 : 2m
줄 기 : 소지 굵고 단단, 휘어진 가시, 가끔 자모
잎차례 : 통상 5 희7 소엽 우상복엽
소엽편 : 란형, 란상장원형, 2~6cm, 선단급첨, 기부근원형, 변연단거치, 무선, 상면무모, 하면유모
잎자루 : 엽축과 가시 산생 선모
탁 엽 : 빗모양 톱니, 엽병에 대부분 첩생
꽃차례 : 6~12송이, 성산방상배열
꽃자루 : 가늘고 김, 선모
꽃크기 : 3~5cm
꽃받침 : 선모, 악편란상피침형, 선단장점첨, 외면선모, 내면밀피유모
꽃부리 : 대분홍색, 단판혹 반중판
암술대 : 화주분리, 피모
꽃향기 : 심농
열 매 : 이형혹도란구형, 홍색, 자모
내한성 : 영하 30도
용 도 : 향정용, 관상용
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크고 작은 가시가 밀생한다.
다마스케나 장미
꽃받임에 샘털이 밀생한다.
다마스케나 장미
'장미과 장미아과 > 장미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0 알바장미 = 백장미, 서양 4대 전통 장미 중 하나, 영국 요크가의 문장 (0) | 2017.07.19 |
---|---|
349 센티폴리아장미 - 백엽장미(百葉薔薇), 서양 4대 전통장미 중 하나, 장미오일의 원료, 모스로즈(이끼장미)의 원종 (0) | 2017.07.17 |
347 갈리카장미 = 프랑스장미 - 서양 전통장미 4대 기본종 중 하나 (0) | 2017.07.17 |
346 노랑해당화 - 중국 황자매(黄刺玫) (0) | 2017.07.16 |
345 록스부르기장미 - 중국원산 소사화(缫丝花), 노르말리스장미 - 중국원산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1) | 2017.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