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유럽에서 온 자엽 장미를 알아보자. 원래는 유럽 스페인이나 불가리아 등 남부 지역이 원산지이지만 높은 산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추위에 매우 강하여 스칸디나비아나 필란드에서도 노지월동에 전혀 지장이 없는 종이다. 이 자엽장미는 학명이 Rosa glauca Pourret로 표기되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 등록된 글라우카장미는 학명이 Rosa glauca Vill. ex Loisel.로 되어 있어 얼핏보면 동일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다른 수종이다. 후자는 인정받은 학명이 아니며 Rosa dumalis의 유사학명으로 취급을 받는다. 그런데 이 Rosa dumalis 마저도 dog rose로 불리는 Rosa canina의 유사종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어 혼란스럽다. 따라서 정확하지도 않고 성의도 없는 국표식 등록자료를 대상으로 목본 탐구를 하고 있는 나자신이 참으로 비참해 보인다. 헐!!! 그냥 좋게 생각하자. 뭐 이참에 둘 다 살펴보면 되지.
그래서 국내 있는 수종이 실제로 자엽인 글라우카인지 아니면 유럽 개장미인지 상관없이 둘 다 간단하게 구경만 하고 가자.
등록명 : 글라우카장미
학 명 : Rosa glauca Pourret
분 류 : 장미과 장미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유럽
영어명 : Red-leaved rose
수 고 : 3m
잎특징 : 청록색에서 자주색이 섞인 자두 색상의 잎, 5~10cm 길이의 5~9소엽 우상복엽
꽃크기 : 2.5~4cm, 핑크색
개화기 : 5~6월
내한성 : 영하 40도
종소명 glauca는 꽃이 백분으로 덮여 있다는 뜻인데 여기서는 잎 색상이 자두 같이 자주색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국 명 : 카니나장미(미등록)
학 명 : Rosa canina
분 류 : 장미과 장미속 덩굴성 낙엽 관목
원산지 : 유럽, 북서 아프리카, 서아시아
영어명 : Dog rose
길 이 : 5m
소엽수 : 5~7
꽃색상 : 연한핑크, 진분홍에서 백색 등 다양
내한성 : 영하 30도
종소명 canina는 개와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이 나무의 뿌리로 광견병에 걸린 개에게 물렸을 때 치료를 하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별 쓸모없는 장미라는 뜻으로 개장미라고 불린다고도 한다.
'장미과 장미아과 > 장미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5 록스부르기장미 - 중국원산 소사화(缫丝花), 노르말리스장미 - 중국원산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1) | 2017.07.15 |
---|---|
344 루비기노사장미 - 유럽, 중동 원산 (0) | 2017.07.14 |
342 팔루스트리장미 - 미국 원산 늪장미 (0) | 2017.07.09 |
341 월계화(月季花) - 중국 원산 서양 사계 장미의 조상, 중국10대 명화, 화무십일홍의 유래 (0) | 2017.07.08 |
340 목향장미 - 민찔레, 덩굴장미 '루테아' - 노랑민찔레 (0) | 201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