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수피가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다.
중국에는 개오동(중국명 : 자, 梓)과 만주개오동(중국명 : 추) 외에도 파르개시개오동이라는 또 다른 개오동이 있다. 중국 이름은 회추(灰楸)인데 아마 수피가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라서 붙은 이름 같다. 이 나무는 꽃 색상이 담홍색 또는 담자색이므로 개오동과 구분이 되며 추(楸) 즉 만주개오동과는 꽃 색상은 비슷하지만 잎에 치아상 거치가 없고 잎자루와 꽃차례 그리고 잎 앞뒤면 모두에 분지모(分枝毛)가 있다는 점에서 구분이 된다. 만주개오동과 마찬가지로 이 나무 또한 재질이 매우 양호하여 진귀한 목재로 취급받아 중국 전역에 매우 광범위하게 심어져 있는 나무이다. 우리나라 천리포수목원에 가면 유난히 붉은 꽃이 피는 개오동이 있는데 그게 바로 이 나무이다.
등록명 : 파르개시개오동
학 명 : Catalpa fargesii Bureau
분 류 : 능소화과 개오동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회추(灰楸), 별명 - 천추(川楸)
수 고 : 25m
특 징 : 어린가지, 화서, 엽병 모두에 분지모
잎 편 : 후지질, 난형혹삼각상심형
잎크기 : 13~20 x 10~13cm
잎모양 : 정단점첨, 기부절형혹미심형, 측맥 4~5대, 기부3출맥
잎면모 : 유시표면미분지모, 배면교밀, 이후변무모
잎자루 : 3~10cm
꽃차례 : 정생, 산방상총상화서, 7~15송이
꽃받침 : 2렬근기부, 열편란원형
꽃부리 : 담홍색, 담자색, 내면 자색반점, 종상, 3.2cm 길이
수 술 : 2, 내장, 퇴화수술3매, 화사화관기부착생, 화약 넓게 갈라짐, 장3~4mm
암술대 : 선형, 세장, 장2.5cm, 주두2렬
자 방 : 2실, 배주다수
열 매 : 삭과 새원주형, 하수, 장55~80cm, 과편혁질, 2렬
종 자 : 타원상선형, 박막질, 양단구선상종모, 연모장5~6cm
개화기 : 3~5월
결실기 : 6~11월
자생지 : 해방 700~1,300m
내한성 : 영하 26도
용 도 : 정원수, 가로수, 목재 세치, 우량 건축재, 가구재, 어린 잎과 꽃은 식용, 돼지 먹이
약 용 : 열매 - 이뇨, 근피 - 피부병, 피, 엽침액 - 농약, 이화명충과 멸구 구제
종소명 fargesii는 프랑스 선교사이며 식물학자인 Farges (1844-1912)의 이름에서 왔으며 표본은 중국 사천성에서 채취했다. 이 나무도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하여도 국표식에 파르게시개오동이라고 하더니 한글 철자를 변경하여 파르개시개오동이라고 변경되었다.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높이 가 무려 25m까지도 자라는 큰 나무이다.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잎 뒷면에 분지모가 밀생하고 있다.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꽃자루 잎자루 모두에 분지모가 보인다.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열매꼬투리가 최대 80cm나 되게 길다.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파르개시개오동 = 중국원산 회추(灰楸)
잎과 꽃차례에 털이 없는 변종이 운남에서 발견되어 운남을 뜻하는 전(滇) + 추(楸) 즉 전추(滇楸)로 부르며 학명을 Catalpa fargesii Bur. f. duclouxii (Dode) Gilmour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이 변종을 듀클로욱시개오동이라는 국명으로 등록하고 학명을 구버전인 Catalpa duclouxii Dode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최신 분류체계인 APG에서는 이 둘을 통합하여 하나로 취급하기도 하지만 아직 이를 하위 변종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원종의 유사종으로 볼 것인지에 대하여는 논란이 없지는 않다. 원산지 중국에서 통합설을 따라 이 전추를 추의 유사종으로 취급하고 있으므로 우리는 그냥 같은 종으로 보면 될 것 같다. 실제로 서양에는 원종인 회추 보다는 이 전추가 많이 보급된 것 같다.
변종명 duclouxii는 20세기 프랑스 선교사이며 주로 중국 운남성에서 많은 식물을 채집한 사람 François Ducloux의 이름에서 왔다. 이 변종의 중국 별명을 보면 이 나무의 특성이 파악된다. 자추(紫楸) 또는 자화추(紫花楸)로 불려 담홍색인 추에 비하여 자색의 꽃도 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광회추(光灰揪)라는 이름에서 회추와 유사하지만 털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나무의 우리나라 국표식 등록명도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두클로욱시개오동이라고 하더니 말도없이 듀클로욱시개오동이라고 변경되어 있다.
듀클로욱시개오동 = 중국 전추(滇楸)
APG체계에서는 파르개시개오동으로 통합분류한다.
듀클로욱시개오동 = 중국 전추(滇楸)
꽃자루와 잎자루 모두에 털이 없음이 분명하게 보인다.
듀클로욱시개오동 = 중국 전추(滇楸)
잎 뒷면에도 털이 없어 분지모가 밀생하는 원종(파르개시개오동)과 구분이 된다.
듀클로욱시개오동 = 중국 전추(滇楸)
잎 꼬리가 매우 길다.
듀클로욱시개오동 = 중국 전추(滇楸)
듀클로욱시개오동 = 중국 전추(滇楸)
'기타 과 식물 > 능소화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4 능소화 - 한여름에 꽃피는 아름다운 정원수 (0) | 2018.07.02 |
---|---|
386 인디언개오동 - 교잡 자엽개오동, 꽃개오동 '아우레아' - 황엽꽃개오동 (0) | 2017.10.01 |
384 만주개오동 - 중국 추(楸) , 붕게이개오동 (0) | 2017.09.24 |
383 미국개오동, 꽃개오동과 구분법 (0) | 2017.09.21 |
382 꽃개오동 - 미국원산 (0) | 2017.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