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기타목련속

1015 황목련 - 노란 꽃 목련 원예종들의 원조

낙은재 2020. 8. 22. 14:37

황목련 - 큰 키와 잎에 비하여 꽃의 사이즈가 작고 황록색 꽃 색상이 두드러지지 못하다.
황목련 - 키가 30m까지도 자라는 내한성이 매우 강한 큰 교목이다.

일본목련 즉 일본후박이 처음부터 크림색으로 피거나 처음 백색으로 피었더라도개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노란 색조를 띤다고 북한에서는 이를 황목련(黃木蓮)이라고 부른다. 일본후박이 딱히 노란색은 아니지만 그래도 목련이나 백목련 등에 비하면 노란 색조가 강한 것은 분명하기에 북에서 그렇게 부르는 것 같다. 그런데 2011년에 국내 수목원 등에 식재되어 있는 외래 수종들을 대거 등록할 때 황목련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수종이 둘이나 있다. 하나는 심장황목련이라고 등록된 변종인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이고 또 다른 하나는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라고 등록된 원예종인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Miss Honeybee'이다. 그래서 나중에 원종인 Magnolia acuminata를 황목련이라고 하여 추가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실제 황목련이라고 등록된 수종의 원종은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충분히 이해가 간다. 실제 미국과 캐나다가 원산지인 Magnolia acuminata는 내한성이 매우 강하고 꽃의 색상이 목련에서는 귀한 노란색을 띠고 있으며 노란 단풍이 아름다운 특징이 있지만 30m까지 자라서 나무가 너무 크고 잎과 동시에 피는 꽃 색상이 녹색이 짙어 잎의 색과 구분이 잘 안 되는데다가 나무가 너무 높아서 개화기라도 눈에 잘 띄지도 않기 때문에 결코 매력적인 나무는 아닌 것으로 평가 받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변종과 원예종들은 키가 훨씬 작은 6~9m에 불과하며 품종에 따라서는 꽃의 노란색이 더 짙고 개화시기도 잎보다 약간 빨리 피는 경향도 있어 눈이 잘 뜨이므로 인기가 높다. 따라서 수목원은 물론 너른 정원에서는 충분히 식재 가능한 수종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목련이라고 하면 노란색 꽃이 피는 목련을 통칭하는 것으로 인식되는데 이를 저 멀리 북미에서 자생하는 특정 수종에 붙인 것이 아쉽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이는 아마 일본에서 키모쿠렌(キモクレン) 즉 황목련(黄木蓮)이라고 하니까 부담 없이 그렇게 이름을 붙인 것이 아닌가 한다. 이 Magnolia acuminata가 전세계 노란색 목련의 대표격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거의 보통명사에 가까운 황목련이라는 이름을 우리 자생종도 아니고 국내서 오랜 세월 굳어진 이름도 아닌데 그렇게 쉽게 낯선 외래종에다가 붙인다는 것이 못내 아쉽다는 말이다. 그래도 일본은 오래 전부터 이 수종을 도입하여 ‘Koban Dori’라는 원예종까지 개발할 정도로 황색인 이 수종을 잘 활용하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 이해가 가지만 우리는 이도 저도 아니지 않는가. 역시 중국은 일본에서 그런다고 절대 따라가지 않는다. 그들은 잎이 점점 뾰족해 진다고 점첨목란(渐尖木兰)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학명의 종소명 acuminata와 같은 맥락이다. 역시 한자식 명칭을 붙이는 것은 중국이 한 수 위인데 왜 중국은 안 쳐다 보고 일본만 따라 하는지 안타깝다. 하지만 실제로 이 수종의 잎 모양이 acuminata라는 종소명이 붙을 정도로 심하게 뾰족하지는 않다. 원래 이 황목련은 미국 버지니아에서 그 당시 식민지 신대륙의 영국 태생 식물수집가이자 식물학자이던 John Clayton(1694~1773)에 의하여 발견되었지만 나중에 린네가 1753년 목련속의 모식종인 미국 원산 버지니아목련 중에서 잎이 뾰족한 변종으로 판단하여 Magnolia virginiana var. acuminate L.라고 명명하였다가 1759년 원종으로 승격시키면서 학명이 Magnolia acuminata (L.) L.로 변경된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버지니아목련에 비하여 뾰족하다는 뜻이다.

 

황목련의 분포도

 

황목련 - 잎 모양이 아주 좁고 뾰족한 것은 아니다.

여하튼 미국 동부와 캐나다 남부에서 자생하는 이 대교목인 황목련은 내한성이 무려 영하 34도 또는 그 이하라고 알려져 목련들 중에서 가장 추위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리고 현저하게 노란색은 아니지만 그래도 원종 자체의 꽃 색상이 황록색이라서 나중에 노란색 계통의 수많은 원예종들을 개발하기 위한 부모종으로 활용 된다. 그러니까 육종가들 입장에서는 노란 색상이 황목련보다 더 진하고 개화 시기도 잎보다 조금이라도 먼저 꽃이 피는 품종들을 개발하려고 동양의 백목련 또는 별목련 등과 교잡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태어난 품종들인 ‘엘리자베스’ ‘골드 스타’ ‘골드 크라운’ ‘골드 선’ ‘옐로 피버’ ‘옐로 랜턴’ ‘옐로 시’ 브루클린목련 ‘옐로우 버드’ 브루클린목련 '해티 카탄' ‘선 댄스’ ‘선 버스트’ 등 수많은 교잡종들은 우리나라에도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을 국내서도 볼 수 있다는 것은 물론 노력하면 구하여 내 정원에서도 심을 수도 있다는 말이 되므로 감사하지 않을 수가 없다.

 

2008년 세계 최대 목련 원산지인 중국의 중국과학원 오정일(吴征镒, 1916~2013) 원사(院士) 즉 Wu Cheng Yi(h)와 하념화(夏念和,1963~ )연구원 즉 Xia Nian-he에 의하여 기존 Magnolia 즉 목련속이 후박속 함박꽃나무속 옥란속 등 20여 개 속으로 대분해 될 때 이 황목련은 모식종인 버지이나목련 그리고 태산목 등과 함께 그대로 Magnolia속으로 남게 된다. 우리 상식으로는 당연히 목련이나 백목련 자목련 별목련 등이 소속된 그룹을 Magnolia 즉 목련속에 남겨두고 여타 이질감 있는 수종들을 분리 독립시켰어야 마땅해 보이지만 그렇게 못한 이유는 Magnolia속은 린네가 175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때 버지아나목련을 모식종으로 삼았기 때문에 건드릴 수가 없었던 것이다. 다만 학명은 그대로이지만 중국 속명을 북미목란속(北美木兰属)으로 변경하여 부르고 있다. 그러니까 Magnolia속은 그동안 여러 번 이합집산을 거듭하여 그 소속 수종의 범주가 확대와 축소를 반복하였지만 최신 중국 학자들의 분류법에 따르면 이제는 더 이상 중국의 목란속(木兰属)이 아니고 북미목란속(北美木兰属)으로 대폭 축소되어 버린 것이다. 따라서 중국 신분류법을 따르려면 우리도 북미목련(北美木蓮)속으로 불러야 될 듯하다. 하지만 이 황목련은 비록 원산지가 북미인 것은 분명하지만 형태적으로 볼 때 버지니아목련이나 태산목보다는 동양의 목련이나 백목련 등과 더 가까우며 실제로 통합론을 따르는 서양에서도 이를 목련과 같은 옥란조 즉 Section Yulania로 분류하고 과거 이를 별도의 Tulipastrum속으로 분류하여 Tulipastrum acuminatum (L.) Small로 학명 표기한 적도 있었다. 그리고 중국에서도 이 Tulipastrum속을 황과옥란속(黄瓜玉兰属)이라고 하면서 새로운 22개 속에 포함시키고 있으면서도 왜 이 황목련를 태산목 등과 함께 묶어서 북미목란속으로 남겨두는지 모르겠다. 

 

원산지인 북미에서는 이를 영어로 성숙하기 전 열매가 오이를 닮았다고 cucumber tree 또는 cucumber magnolia라고 부르며 가장 바깥쪽 화피편이 푸른 색조를 띨 경우가 있어 이를 blue magnolia라고도 부른다. 이래서 이와 비슷한 일본후박을 영어로 Japanese cucumber tree라고 부르는 것이다. 잎이 크고 열매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황목련은 상대적인 왜성 변종인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가 심장황목련으로 그리고 그 변종의 원예종인 'Miss Honeybee'가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가 추가로 등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다음 게시글에서 파악해 보기로 하고 수많은 노란색 원예종들도 앞으로 차근차근 파악하기로 한다.

 

'Blue Opal'이라는 황목련 원예종인데 원종도 이렇게 외곽 화피편이 푸른색을 띠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blue magnolia라고도 불린다.

 

등록명 : 황목련

학   명 : Magnolia acuminata (L.) L.

신학명 : Tulipastrum acuminatum (L.) Small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대교목

신분류 : 목련과 황과옥란속 낙엽 대교목

원산지 : 미국 동부, 캐나다 남부

영어명 : cucumber tree 또는 cucumber magnolia, blue magnolia

일본명 : キモクレン = 황목련(木蓮)

중국명 : 점첨목란(尖木)

수   고 : 30m

잎특징 : 호생, 12~25 x 6~12cm, 전연, 하면 모, 기부 설형 또는 심장형, 끝 뾰족

꽃특징 : 잎과 동시 개방, 5~10cm 지름 작은 꽃, 황록색, 화피편 9~12, 방향

열   매 : 암적색, 6~8 x 4cm, 10~60 적색 종자

개화기 : 4~6월

용   도 : 노란색 목련의 원예종 개발에 부모종으로 활용

내한성 : 영하 34도 그 이하

 

황목련 수형
황목련
황목련 - 잎 속에 묻히어 꽃의 존재감이 그다지 높지 않다.
황목련 - 높아서 촬영하기가 쉽지 않다.
황목련
황목련
황목련
황목련
황목련 - 목련 수중에서는 단풍이 좋은 편이다.
황목련
황목련
황목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