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에서 1790년에 처음 발견된 심장황목련은 황목련보다 키가 작고 꽃의 노란 색상이 더 진한 변종으로서 학명을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Spach) Dandy로 표기한다. 이는 원래 1839년 프랑스 식물학자 Édouard Spach (1801~1879)가 목련과 Tulipastrum americanum var. subcordatum Spach로 명명하였던 것인데 1964년 영국 식물학자 James Edgar Dandy (1903~1976)가 현재의 목련속으로 변경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현재 일부에서는 이를 원종인 황목련에 통합시켜서 분류하기도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학자들은 변종으로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이 변종 또한 잎이 나오면서 꽃이 피기 때문에 잎에 가려 꽃이 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꽃 색상이 원종인 황목련보다는 노란 색이 더 진하고 키가 정원수로서 적당한 6~9m이라서 원예종 개발의 부모종으로 인기가 높다. 원산지가 미국 동남부이라서 그런지 내한성이 캐나다에서도 자생하는 원종에 비하여 다소 약하지만 그래서 영하 28도이므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하기에는 충분하다.
우리나라 이름 심장황목련은 잎의 기부가 하트형일 경우가 많아서 그렇게 붙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다소 하트형이라는 학명의 종소명 subcordata와 맥을 같이 한다. 하지만 실제로 심장황목련의 모든 잎이 하트형인 것은 아니므로 변종의 구분 포인트가 되지는 못한다. 따라서 이 변종은 키가 30m에 달하는 원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키가 작다는 것과 꽃 색상의 노란 색이 더 진하다는 것 그리고 잎 모양이 심장형인 경우가 많고 잎면에 털이 더 많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등록명 : 심장황목련
학 명 :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Spach) Dandy
신학명 : Tulipastrum americanum var. subcordatum Spach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소교목
신분류 : 목련과 황과옥란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미국 동남부
수 고 : 9m
내한성 : 영하 28도
'목련과 > 기타목련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48 넓은잎목련 - 잎이 가장 큰 미국 원산 목련 (0) | 2020.09.09 |
---|---|
1017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 - 황목련 변종의 원예종 (0) | 2020.08.23 |
1015 황목련 - 노란 꽃 목련 원예종들의 원조 (0) | 2020.08.22 |
1002 목련과 백목련, 자목련 및 목란과 옥란 그리고 신이화 목필화 북향화의 유래 (0) | 2020.08.01 |
1001 목련과 식물의 특징과 하위 목련속 등의 이합집산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