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표식에는 목련과 식물을 목련속과 백합나무속 그리고 초령목속과 망글리에티아속 등 모두 4개 속으로 분류하여 등록하고 있다. 전세계 모든 현화식물 또는 쌍떡잎식물의 대표격인 목련과는 그동안 여러 속들이 존재하였으나 이합집산을 거듭하여 그 속의 숫자가 변동이 심하였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4개 속만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서양과 일본에서는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나머지 식물들을 모두 목련속으로 통합하여 단 두 개의 속만 인정하고 있다. 그렇다고 이런 통합론에 전세계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목련과 식물이 자생하는 중국에서는 통합론과는 반대로 2008년에 와서 속을 늘려 무려 22개 속으로 세분한다. 이렇게 되면 그동안 백목련 자목련 등과 함께 같은 속으로 묶여 있던 이질감이 있는 일본목련 등 후박과 함박꽃나무 그리고 상록인 태산목과 초령목 등이 목련들과 분리된다는 점에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는 쉽게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 대하여는 앞에서 여러 번 언급하였으므로 더 이상 거론하지 않으려고 하였으나 이번에 저 멀리 멕시코 원산의 태산목을 매우 많이 닮은 Magnolia tamaulipana를 탐구하면서 우리 이름이 타마울리파나초령목이라고 올려진 것을 보니 또 다시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다. 도대체 이 수종은 학명이 분명하게 목련 즉 Magnolia라고 되어 있는데 왜 학명 Michelia인 초령목이라는 이름을 붙였을까 정말 궁금하다. 학명을 착오한 것인지 아니면 국명을 잘못 붙인 것인지 아니면 그저 무관심 한 것이지 의문이다.
이름이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여하튼 타마울리파나초령목이라고 등록된 Magnolia tamaulipana는 멕시코에서 발견된 목련과 수종 중에서는 그래도 나름대로 아름답다고 평가를 받아서 미국의 정원에서도 심어지는 거의 유일한 수종이라고 한다. 전반적으로 태산목을 많이 닮았다고 하는데 그 차이점으로 신엽의 전면이 구릿빛을 띠는데 이는 장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기가 좋은 큰 꽃이 피지만 전반적으로 태산목에 비하면 좁게 느껴지고 화피편의 색상이 선명하지 않고 약간 지저분한 백색이며 때로는 바깥쪽은 적갈색을 띠기도 하여 아름다움에 있어서는 태산목에 비하여 떨어진다. 그리고 이 차이점을 보다 전문적으로 말하면 심피가 38~73개로 태산목의 75~90에 비하여 적고 수술의 수도 140~145개로 250개 이상인 태산목에 비하여 적다. 그리고 꽃잎으로 보이는 외곽 화피편의 길이가 6.5~9.5cm로 태산목이 10.5~14.5cm에 비하여 짧다. 그리고 잎의 뒷면에 미세한 털만 있어 갈색 융모가 밀생하는 태산목과 와관상 크게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이 수종은 F.G. Meyer and D.J. Rogers에 의하여 멕시코 Tamaulipas에서 1948년에 발견되었으나 당초에는 Magnolia schiedeana인 줄로만 알았다가 나중에 다른 종임이 밝혀져 1994년 멕시코 식물학자인 José Antonio Vázquez-García에 의하여 현재의 학명인 Magnolia tamaulipana A. Vázquez로 명명되면서 독립종으로 승격된다. 종소명은 최초 발견지이자 자생지인 Tamaulipas에서 온 것이다. 이 수종은 그다지 인기 있는 수종이 아니므로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며 따라서 중국 이름이나 일본 이름은 없다. 그래서 참고할만한 자료가 없어서 그런지 엉뚱하게 우리나라에서는 초령목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만다. 최근에는 국제적으로 초령목도 모두 목련속 즉 Magnolia속에 통합하는 분위기이므로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라고 변명할 수도 있겠으나 정말 이를 초령목이라고 한 근거가 뭔지를 모르겠다. 이 Magnolia tamaulipana는 북미원산 목련들 중에서도 태산목과 더불어 목련속 즉 Magnolia속의 모식종인 버지니아목련과 가장 닮은 근연종으로 분류되는 수종인데도 이를 분류학적으로 거리가 먼 초령목이라고 부를 근거는 전혀 없다. 통합론자들도 목련속을 크게 3개의 아속으로 세분할 경우 Magnolia tamaulipana는 태산목 등과 더불어 목련아속 즉 Subgenus Magnolia으로 분류하지만 초령목은 목련 백목련 등과 더불어 옥란아속 즉 Subgenus Yulania로 분류하므로 둘 사이는 결코 가까운 사이는 아닌 것이다. 그래서 우리 국명을 타마울리파나목련이라고 불러야 마땅한 것이다.
등록명 : 타마울리파나초령목
희망명 : 타마울리파나목련
학 명 : Magnolia tamaulipana A. Vázquez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상록 교목
신분류 : 목련과 북미목련속 상록 교목
원산지 : 멕시코
수 고 : 20~20m
잎특징 : 10~23 x 4.5~9cm 크기. 잎측맥 10~15조
꽃특징 : 화피편 9, 3개 악편상, 6개 꽃잎상
내한성 : 영하 12도






'목련과 > 북미목련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43 태산목 '브래컨즈 브라운 뷰티' - 중부지방 노지월동 가능한 품종 (0) | 2020.09.06 |
---|---|
1042 태산목 '빅토리아' - 내한성이 강한 품종 (0) | 2020.09.06 |
1041 태산목 '바리에가타' - 잎에 노란 무늬가 있는 원예 품종 (0) | 2020.09.06 |
1040 태산목 '새뮤얼 소머' - 내한성 강하고 꽃과 잎이 큰 아름다운 품종 (0) | 2020.09.04 |
1039 태산목 '세인트 메리' - 플로리다 세인트 메리에서 발견된 품종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