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우리 토종 목련과 매우 흡사한 버들목련의 원종과 등록된 원예종 두 종에 대하여 앞에서 알아보았다. 이제 마지막으로 하나 남은 원예종인 버들목련 '와다스 메모리'라고 학명 Magnolia salicifolia 'Wada'S Memory'로 2011년에 등록된 품종에 대하여 탐구할 차례인데 이 품종은 결코 단순하지는 않다. 우선 이 품종은 버들목련의 원예품종이라고 하기에는 목련에 가까워 거의 모든 학자들이 목련과 버들목련의 교잡종일 것이라는 데는 별 다른 이견이 없다. 다만 그 학명 표기에 있어서는 목련의 원예품종으로 Magnolia kobus 'Wada's Memory'로 표기하기도 하며 심지어는 새로운 교잡종명인 Magnolia x kewensis 'Wada's Memory'로 표기하기도 하거나 아예 종명이 없이 그냥 Magnolia 'Wada's Memory'라고도 표기를 하여 하나의 품종에 4가지 학명 표기가 난무한다. 그래서 학명 표기가 다르니까 새로운 품종인 줄 알고서 2018년에 큐목련 ‘와다스 메모리’라는 국명으로 중복 등록하고 있다. 그것도 중복만으로는 성이 안찼는지 소유격 아포스트로피 <’>의 입력 오류로 괴상 망측한 학명 Magnolia kewensis 'Wada&Apos;S Memory'로 만들어 놓고도 2년이 다 지나도록 수정하지 않고 꿋꿋하게 버티고 있다. 등록하고자 한 학명은 아마 Magnolia kewensis 'Wada's Memory'이었을 것이다.
우선 Magnolia kewensis 또는 Magnolia x kewensis로 표기되는 학명은 미국 식물학자인 Sydney Albert Pearce(1906~2000)가 영국 왕실정원 큐(Kew)에서 1938년에 목련과 버들목련간이 교잡으로 태어난 교잡종을 표기하기 위하여 1952년에 발표한 교잡학명인데 라틴어에 의한 묘사 등 적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발표하였기에 무효학명이 되었다. 그 놈의 라틴어를 써야 한다는 규정이 우리나라 학자들의 발목만 잡는 것이 아니라 서양학자들의 발목도 잡는 것 같다. 아마 린네가 지금 규정을 만들었다면 분명 영어를 허용하였을 것이다. 그 당시만 해도 영어의 주도권이 지금만큼은 못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이를 원예품종으로 취급하여 Magnolia ‘Kewensis’라고 표기를 하기도 하나 이 교잡종이 큐에서 인위적으로 교잡된 품종 하나뿐이 아니므로 정당하지 않은 학명인 줄은 알지만 편의상 Magnolia x kewensis라는 학명을 일부에서 써 왔던 것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는 정당한 학명이 아니므로 이렇게 사용하기를 거부하는 측에서는 부모종 중 하나의 원예종으로 표기하기에 버들목련 또는 목련의 원예품종 형식으로 학명 표기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간단하게 Magnolia x kewensis라고 하면 쉽게 이해가 되는데 비정상 학명이고 그렇다고 교잡종인데 어느 한 쪽 부모의 학명으로 따르는 것도 마땅하지 않아서 이런 저런 학명이 난립하는 것이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Magnolia kobus x salicifolia 'Wada'S Memory'이지만 너무 길어서 불편한지 잘 쓰지 않는다.
여하튼 우리나라에 등록된 'Wada'S Memory'는 일본에 흔한 버들목련과 목련이 자연에서 저절로 교잡되어 만들어진 교잡종이므로 큐와는 전혀 무관한 품종이다. 미국 서부 최북단 시애틀에 있는 공공 공원 Washington Park Arboretum에서 평소 친분이 있는 일본의 Koichiro Wada라는 원예가가 보낸 종자에서 자란 묘목 중에서 특이한 품종을 선종한 것으로 와싱턴수목원의 이사 Brian Mulligan이 그의 일본 친구의 이름으로 ‘와다의 추억’이라는 품종명을 붙여서 발표한 것이다. Magnolia x kewensis 즉 M. kobus × M. salicifolia의 교잡종임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이 품종의 특징으로는 가지가 조밀하게 직립하지만 왜성이며 어린 잎은 갈색을 띠고 4월에 아래로 처지는 지름 18cm의 백색 큰 꽃을 풍성하게 피운다고 묘사하였다. 그리고 이 품종은 최초 개화연령도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버들목련에 비하여 꽃이 훨씬 크고 잎도 넓으며 뒷면의 백분도 거의 없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내한성은 매우 강하다.
등록명 : 버들목련 '와다스 메모리' = 큐목련 ‘와다스 메모리’
등록명 : Magnolia salicifolia 'Wada'S Memory'
등록명 : Magnolia x kewensis 'Wada's Memory'
이 명 : Magnolia kobus 'Wada's Memory'
이 명 : Magnolia 'Wada's Memory'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소교목
신분류 : 목련과 옥란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일본 원산 버들목련과 한일 원산 목련의 자연 교잡종
수 고 : 4~7m
내한성 : 영하 29도










'목련과 옥란속 > 기타옥란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4 중국버들목련 = 중국 특산 망춘옥란(望春玉兰) (0) | 2020.10.19 |
---|---|
1112 황산목련 - 중국 원산 또 하나의 아름다운 희귀 목련 수종 (0) | 2020.10.18 |
1091 버들목련 '더블유 비 클라크' (0) | 2020.10.06 |
1090 버들목련 '저민스' (0) | 2020.10.06 |
1089 버들목련 - 토종 목련을 많이 닮은 일본 고유종 (0) | 2020.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