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Magnolia 'Lilenny'에 국명을 목련 '릴레니'라고 등록된 품종이 있는데 이 품종의 정체는 다소 불명확하다. 교잡종이기는 한데 부모종이 명확하지 않고 누가 어떻게 개발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도 혼선이 있다. 우선 미국에서는 저명한 McDaniel교수에 의하면 이 품종이 접시꽃목련 '레네이'에서 파생된 접시꽃목련 '롬바디 로즈'나 'Grace McDade'와 마찬가지로 앨라배마주 모바일카운티의 샘스에 있는 화훼유통업체인 Semmes Nurseries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한다. 1974년에 A. W. Massey에 의하여 미국 목련학회에 처음 소개된 이 품종명은 'Lilenne'라고 표기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이 품종이 Amos Pickard(1913–1994)라는 사람이 개발한 품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영국 남동부 캔터베리의 스토드마쉬(Stodmarsh)에서 농장을 하던 Amos Pickard는 일본에서 도입한 접시꽃목련 '픽처'를 부모종으로 이용하여 소위 Amos Pickard Magnolia Collection으로 불리는 20여 종의 교잡 원예 품종을 개발한 사람이다. 하지만 Amos Pickard 본인이 자기의 'Lileny' 품종이 미국의 '레네이'에서 파생된 품종과 동일하다고 인정하였기에 미국이 원조임이 밝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품종명이 무슨 의미가 있거나 널리 알려진 고유명사도 아니기에 발음이 같은 매우 다양한 스펠링으로 표기된다. 목련학회에서는 'Lilenne'가 가장 먼저 명명된 이름이라고 정통성을 부여하여 그렇게 공식 기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 등록된 이름은 'Lilenny'이다. 그리고 유럽에서도 주로 'Lilenny'라고 한다. 그리고 이들 둘 외에도 'Lilleny' 또는 'Lileny' 등 매우 다양하게 스펠링하지만 모두 같은 품종을 이르는 말이다. 이 품종은 내피가 백색이고 외피가 암자색인 9장의 화피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꽃이 시즌 늦게 핀다. 그리고 꽃 모습이 자목련을 많이 닮았지만 보다 더 커 오히려 소녀시리즈 품종들 모습에 가깝다고 한다. 대체적으로 이 품종은 접시꽃목련 '레네이'와 자목련의 교잡종일 것으로 추정하는데 그렇다면 접시꽃목련 자체가 자목련과 백목련의 교잡종이므로 이를 다시 여교잡(戾交雜) 시킨 것이 된다. 그렇다면 결국 혈통적으로 자목련과 백목련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시꽃목련의 원예품종이라고 해도 될 듯하며 실제로 과거에는 그렇게도 불렀지만 혈통이 의심스러운지 현재는 그냥 목련의 교잡품종으로 Magnolia 'Lilenny' 또는 Magnolia 'Lilenne'로 표기하고 있다.


등록명 : 목련 '릴레니'
학 명 : Magnolia 'Lilenny'
정 명 : Magnolia 'Lilenne'
이 명 : Magnolia 'Lilleny' 또는 'Lileny'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자목련(75%)과 백목련(25%)
부모종 : 자목련과 접시꽃목련 '레네이'으로 추정
육종가 : 미국 앨래배마주 Semmes Nurseries에서 발견, 1974년에 알려짐
수 고 : 2~5m
특 징 : 자목련보다 꽃이 크고 늦게 성배모양의 안쪽이 백색인 암자색 화피편 9장
내한성 : 영하 26~29도










'목련과 교잡종 > 복합교잡목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95 목련 '에스키모' - 접시꽃목련과 토종 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3 |
---|---|
1292 목련 '앨버트로스' - 비치목련과 황산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2 |
1221 목련 '블러슁 벨' - 황목련 자목련 사전트목련 스프렝게리목련이 복합 교잡된 아름다운 품종 (0) | 2020.12.12 |
1219 목련 '데이브레이크' - 자목련 황목련 백목련 캠밸목련의 다교잡종 (0) | 2020.12.11 |
1148 목련 '퍼스트 플러시' - 큰별목련으로 잘못 등록된 캠밸목련과 접시꽃목련의 교잡종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