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련 '데이브레이크'는 학명 Magnolia 'Daybreak'로 표기되는데 품종명 Daybreak는 Dawn과 매우 흡사한 의미인데 목련에는 Dawn이라는 품종명도 있다. 하지만 Dawn은 별목련의 품종명이기에 Magnolia stellata 'Dawn'라고 학명 표기가 되어 구분이 된다. 영어 daybreak는 '햇빛이 처음 비치는 이른 아침'을 뜻하는데 dawn과 같은 의미라고 풀이한다. 따라서 영어 daybreak와 dawn을 구분하려고 굳이 따지는 것은 부질없는 것이 된다. 그런데 dawn은 '일출 전에 하늘에 빛이 처음 나타남'을 뜻한다고 설명하지만 일부에서는 '일출 전에 twilight가 시작되는 그 시점'이라고 정의 한다. 여기서 황혼(黃昏)이나 땅거미로 번역되는 twilight를 아침에 동이 트는 모습을 표현하는 데에도 쓰이는 것이 맞는지 궁금하다. 중국 사전에도 twilight는 그냥 황혼(黄昏)이라고 하지 새벽과 관련된 풀이는 없다. 그런데 왜 서양에서는 그럴까 하여 영국 전통의 콜린즈사전에 보니 이렇게 정의되어 있다. Twilight is the time just before night when the daylight has almost gone but when it is not completely dark. 즉 '밤이 오기 직전에 빛이 거의 사라졌지만 그렇다고 완전하게 어둡지는 않은 시점'이라고 정의 한다. 이렇게 되면 우리의 황혼이나 땅거미와 거의 같은 의미의 용어이다.




그래서 그럼 그렇지 하고 있는데 다른 영어 사전에 보니 이렇게 twilight를 설명한다. the soft, diffused light from the sky when the sun is below the horizon, either from daybreak to sunrise or, more commonly, from sunset to nightfall. '새벽에서 일출시까지 주로 일몰에서 밤까지의 시기에 태양이 수평선 아래에 있을 때 산란된 부드러운 하늘의 빛.'이라고 정의 한다. 그러니까 아침이던 저녁이던 상관없이 약한 태양의 빛을 twilight라고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처음에는 저녁에만 쓰다가 점차 새벽으로까지 확대되어 의미가 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 일본은 뭐라고 번역할까 하고 찾아보니 역시 재빠르게 황혼(黄昏)이라는 풀이는 없고 일몰후(日没後) 또는 일출전(日の出前)의 박명(薄明)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리고 daybreak나 dawn을 우리는 둘 다 새벽이나 동틀 녘 또는 여명(黎明)이라고 번역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여명(黎明)보다는 주로 서광(曙光)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반대되는 개념의 우리말 땅거미는 황혼(黄昏)이라고 하면 한중일 3국에서 모두 통하는 말이 된다. 다만 영어로는 twilight라고 해도 되지만 오해의 소지를 없애려면 dusk라고 해야 될 듯하다. 이 품종은 아니지만 Magnolia stellata 'Dawn'이 국내에 별목련 '돈'이라고 등록되어 있지만 일부에서 별목련 '여명'으로 부르고 있어서 한번 짚어 본다는 것이 너무 길어졌다.


목련 '데이브레이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살던 미국 농무부 퇴직 공무원이자 유전학자인 August Kehr(1914-2001)박사가 그가 노랑 목련 품종을 개발할 때 많이 사용하였던 황색과 자색이 혼합된 색상의 꽃이 피는 브루클린목련 '우즈먼'과 백색 꽃이 피는 목련 '티나 두리오' 즉 Magnolia 'Tina Durio'를 교잡시켜 개발한 품종인데 그 결과는 향기가 매우 좋은 오렌지핑크색 꽃이 아름답게 피는 품종을 얻었다. 그래서 1989년에 선종하고 1990년에 품종등록하여 알려진 품종인데 부모종으로 사용된 Magnolia 'Tina Durio'는1984년 Louisiana Nurseries의 Ken Durio에 의하여 명명된 품종으로서 캘리포니아의 육종가 Drury Todd Gresham (d. 1969)이 백목련과 캠밸목련의 교잡종인 비치목련과 백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인 접시꽃목련 '레네이 알바'를 교잡시켜 얻은 종자에서 비롯된 전형적인 Gresham hybrid이다. 그래서 이 품종도 그 족보가 매우 복잡하게 황목련 자목련 백목련 캠밸목련 등 4종의 혈통이 얽혀있는 복합교잡종인 것이다. 굳이 혈통 지분을 따진다면 황목련 2/8 자목련 3/8 백목련 2/8 캠밸목련 1/8이 된다.
목련 '데이브레이크' = 브루클린목련 '우즈먼' x 목련 '티나 두리오'
브루클린목련 '우즈먼' = 황목련과 x 자목련 '오닐'
목련 '티나 두리오' = 비치목련 x 접시꽃목련 '레네이 알바'
비치목련 = 백목련 x 캠밸목련
접시꽃목련 '레네이 알바' = 백목련 x 자목련


등록명 : 목련 '데이브레이크'
학 명 : Magnolia 'Daybreak'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황목련과 자목련 백목련 캠밸목련의 복합 교잡종
부모종 : 브루클린목련 '우즈먼' x 목련 '티나 두리오'
육종가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육종가 August Kehr박사가 1989년 개발
수 고 : 6~7.5m
꽃특징 : 오렌지 핑크색, 지름 20~25cm
잎크기 : 25 x 15cm
내한성 : 영하 29도
특 기 : 2004년 펜실베니아 원예협회 금상 수상









'목련과 교잡종 > 복합교잡목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95 목련 '에스키모' - 접시꽃목련과 토종 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3 |
---|---|
1292 목련 '앨버트로스' - 비치목련과 황산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2 |
1291 목련 '릴레니' - 자목련과 접시꽃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1 |
1221 목련 '블러슁 벨' - 황목련 자목련 사전트목련 스프렝게리목련이 복합 교잡된 아름다운 품종 (0) | 2020.12.12 |
1148 목련 '퍼스트 플러시' - 큰별목련으로 잘못 등록된 캠밸목련과 접시꽃목련의 교잡종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