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표식에 큰별목련 '퍼스트 플러시'라는 국명에 학명을 Magnolia x loebneri 'First Flush'로 표기하여 등록된 원예품종이 있는데 이 품종의 정체가 의문이다. 큰별목련 즉 Magnolia x loebneri에는 'First Flush'라는 이름을 가진 등록된 원예품종은 없다. 다만 뉴질랜드의 육종가 Oswald Blumhardt가 중국과 인도 등이 원산지인 캠밸목련과 접시꽃목련 '아마빌리스' 즉 Magnolia x soulangeana 'Amabilis'를 재교잡시켜 개발한 Magnolia 'First Flush'라는 품종은 있다. 접시꽃목련은 중국 원산의 백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이다. 등록된 이 품종이 뉴질랜드에서 개발한 'First Flush'가 맞다면 토종 목련과 별목련의 교잡종인 큰별목련과는 전혀 무관한데도 왜 이 품종을 Magnolia x loebneri 'First Flush'라고 하는지 궁금하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실수나 임의로 그렇게 표기한 것은 아니고 아마 영국 RHS에서 그렇게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 따라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RHS에서도 정보가 확실하지 않아서 완전하게 승인한 학명도 아니고 잠정적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이라서 이 품종은 목련 '퍼스트 플러시'에다가 Magnolia 'First Flush'라고 수정하여야 마땅해 보인다.
여하튼 외륜 화피편 절반 정도까지 핑크색을 띠고 있는 백색 꽃을 이른 봄에 매우 일찍 꽃을 피우는 것이 특징이라서 그런 취지의 이름이 붙은 이 품종은 뉴질랜드의 Oswald Blumhardt(1931-2004)가 1982년에 선종한 것으로 미국 원예 저술가 Callaway, Dorothy J.의 1994년판 The World of Magnolias에 수록됨으로써 알려진 품종이지만 그다지 인기가 높지는 않은지 우리나라 플러스가든이라는 사이트 외에는 사진 한 장 구경하기 어렵다. 육종가 Oswald Blumhardt는 뉴질랜드에서 Koromiko Nursery라는 조그마한 농장을 운영하면서 인근 오세아니아와 동남아 국가들을 방문하여 희귀한 식물들을 수집하여 재배하면서 그만의 독특한 품종으로 육종 개발에 전념한 뉴질랜드 식물개척자로 불린다. 특히 목련과 동백 그리고 철쭉의 육종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가 육종한 품종 중에서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품종들이 많다. 목련 중에서는 우리나라에도 등록된 ‘스타 워스’가 유명하며 초령목은 우리나라에 등록된 ‘버블스’와 ‘믹스트 업 미스’ 두 종이 그가 육종한 품종이다.
이 품종은 부모종인 캠밸목련이 키가 30m나 되는 대교목인데다가 접시꽃목련 '아마빌리스'도 10m까지 자라는 교목이므로 분명 교목일 것으로 추정되며 내한성은 접시꽃목련은 강하지만 캠밸목련이 영하 12도로 약하므로 이 목련 '퍼스트 플러시' 또한 강하지 않아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월동하기 어려울 듯하다.


수정명 : 목련 '퍼스트 플러시'
등록명 : 큰별목련 '퍼스트 플러시'
수정명 : Magnolia 'First Flush'
등록명 : Magnolia x loebneri 'First Flush'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교목 추정
원산지 : 히말라야 원산 캠밸목련과 접시꽃목련의 교잡종
내한성 : 영하 18도 정도일 것으로 추정
'목련과 교잡종 > 복합교잡목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95 목련 '에스키모' - 접시꽃목련과 토종 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3 |
---|---|
1292 목련 '앨버트로스' - 비치목련과 황산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2 |
1291 목련 '릴레니' - 자목련과 접시꽃목련의 교잡종 (0) | 2021.01.11 |
1221 목련 '블러슁 벨' - 황목련 자목련 사전트목련 스프렝게리목련이 복합 교잡된 아름다운 품종 (0) | 2020.12.12 |
1219 목련 '데이브레이크' - 자목련 황목련 백목련 캠밸목련의 다교잡종 (0) | 2020.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