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는 우리나라에 등록종 만병초아속의 외래종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제까지 진달래속 만병초아속으로는 모식종인 유럽만병초와 우리 자생종 만병초 및 노랑만병초를 탐구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만병초아속 중에서도 꽃차례가 긴 조로 세분류되어 subsection Pontica를 구성하는데 중국에서 이를 알기 쉽게 장서두견아조(長序杜鵑亞組)라고 부른다. 꽃차례 즉 화서(花序)가 길다는 이야기인데 아직 짧은 만병초들을 만나보지 못하여 실감나지는 않는다. 여하튼 우리나라에 등록된 만병초 중에서는 이들 꽃차례가 긴 아조에 속하는 수종들이 가장 많아 무려 10종이나 된다. 이번에는 그 중 하나인 대만 원산의 미소만병초를 알아본다.
백색 꽃이 아름답게 피는 상록 관목인 미소만병초는 대만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인데 학명을 Rhododendron hyperythrum Hayata로 표기한다. 이는 일본의 대만 전문 식물학자로 유명한 하야타 분조(早田文藏, 1874~1934)가 1913년 잎 뒷면이 갈색털로 덮여 있다고 그렇게 명명한 것이다. 원산지인 대만에서는 이를 해발 3,742m인 남호대산에서 많이 자생한다고 남호두견(南湖杜鵑) 또는 남호대산두견(南湖大山杜鵑)이라고 하지만 홍성두견(紅星杜鵑)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위쪽 꽃잎 안쪽 기부에 붉은 반점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특이하게 이 수종을 미소두견(微笑杜鵑)이라고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이름도 미소만병초라고 등록된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에서 왜 미소두견이라고 하는지는 알 수가 없다. 꽃과 잎이 아름다운 이 수종을 보고 있으며 저절로 미소를 띠게 한다는 뜻인지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여하튼 대만에서는 그렇게 부르지 않으며 이 수종을 발견하여 명명한 일본에서도 이를 아케보시 샤쿠나게(アカボシシャクナゲ) 즉 적성석남화(赤星石楠花)라고 하여 대만의 홍성두견(紅星杜鵑)과 상통하는 이름으로 부르거나 아카게 쯔쯔지(アカゲツツジ) 즉 적모철쭉(赤毛躑躅)라고 학명과 상통하는 이름으로 부르지만 미소(微笑)와 관련된 이름은 없다. 원래 하야타 분조는 그 당시 백색 꽃이 피는 종 외에 대북주(臺北州) 칠성산(七星山)에서 발견된 연한 홍자색 꽃이 피는 종을 별도로 Rhododendron rubropunctatum Hayata라고 명명하였는데 이 종소명 rubropunctatum가 붉은 반점이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현재는 둘이 통합되어 화관 내부의 홍성(紅星) 반점이 있거나 잎 뒷면에 적모(赤毛)가 있다고 하거나 모두 이 미소만병초의 특징을 묘사하는 것이 된다. 그 외에도 대만에서는 이 미소만병초를 소서씨두견(小西氏杜鹃)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이 수종을 처음 발견할 그 당시 대만총독부 기사로 일하던 N. Konishi 즉 코니시 나리아키(小西成章, 1863~1909)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 대만은 아직도 중국과 대치 중에 있어서 그런지 일본과의 사이가 나쁘지 않는 것 같다.
이 미소만병초는 꽃도 아름답고 잎도 아름다운데다가 특히 뿌리가 썩는 병에 강하면서 더위에 강한 면모를 보여 그 자체로도 작은 정원에서는 인기가 매우 높지만 교잡종 개발을 위한 부모종으로도 많이 사용된다고 한다. 그리고 아열대 기후인 대만이 원산지이기는 하지만 고지대에서 자생하기에 내한성이 아주 약하지는 않은 영하 23도라고 한다. 그렇지만 일부 자료에는 영하 20도라는 보고도 있으므로 서울은 모르겠으나 경기 중북부지방에서는 약간의 월동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등록명 : 미소만병초
학 명 : Rhododendron hyperythrum Hayata
이 명 : Rhododendron rubropunctatum Hayata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원산지 : 대만 고유종
대만명 : 남호두견(南湖杜鵑) 홍성두견(紅星杜鵑) 등
중국명 : 미소두견(微笑杜鵑)
일본명 : 적성석남화(赤星石楠花) 적모철쭉(赤毛躑躅)
수 고 : 2m
잎특징 : 7~12 x 2~3.5cm, 선단급첨 기부둔, 변연 반권, 하면 갈색모
꽃차례 : 정생 산형화서, 10~20송이
꽃부리 : 백색, 연 홍자색, 상측화관 기부 자색반점, 5렬, 지름 4~4.5cm
암수술 : 수술 10, 부등장, 화사기부 유모, 화약 심갈색, 암술대 2.5cm
개화기 : 4~5월
내한성 : 영하 23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만병초아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77 야쿠시마만병초 '미스트 메이든' (0) | 2021.03.25 |
---|---|
1376 야쿠시마만병초 - 일본 규슈 야쿠섬 원산 세계적인 인기종 (0) | 2021.03.24 |
1374 노랑만병초 - 백두산과 시베리아 등 극한지에서 생존하는 관목 (0) | 2021.03.21 |
1373 만병초 = 홍만병초 - 독성이 있는 식용불가식물 (0) | 2021.03.20 |
1372 유럽만병초 '바리에가툼' (0) |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