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대만 원산 미소만병초에 이어서 이번에는 일본 원산 아름다운 만병초 한 종을 알아본다. 학명 Rhododendron yakushimanum Nakai에 국명을 야쿠시마만병초라고 등록된 상록 관목이다. 이는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남단 오스미반도(大隅半島)에서 약 60km 남쪽에 위치하는 면적 505km²의 야쿠시마(屋久島)라는 섬에서만 자생하는 일본 고유종이다. 그래서 일본이름이 야쿠시마 샤쿠나게(ヤクシマシャクナゲ) 즉 옥구도 석남화(屋久島石楠花)이고 종소명도 일본학자 나카이에 의하여 1921년 그렇게 명명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이름도 자연스럽게 야쿠시마만병초가 된 것이다. 제주도 면적의 1/3도 안 되는 작은 섬에 한라산급 높이의 산이 무척 많아서 일본에서는 팔중악(八重岳) 또는 해상알프스라고도 불리는 이 산악 섬은 예로부터 해적들이 많이 살았는지 중국 수나라 양제 시절 사악한 오랑캐들이 사는 나라라고 이사구국(夷邪久国)이라고 불렀는데 나중에 일본에서 액구(掖玖)라고 변했다가 야쿠(ヤク)라는 발음이 같은 현재의 옥구(屋久)섬으로 변했다고 한다.
여하튼 야쿠시마만병초는 이 섬의 해발 1,000m 이상부터 1,800~1,900m인 높은 산들 정상부근까지 에서 자생하는데 그 자생지 위치에 따라서 내한성이 크게 다르다고 한다. 표고 1,000m 부근에서 자생하는 품종은 내한성이 영하 20도 정도이지만 정상 부근에서 자생하는 품종은 내한성이 엄청나게 강하여 영하 70도에서 견딘 기록이 있다고 하니 놀랍다. 제주도보다 더 남쪽에 위치하는 야쿠시마의 기후는 평지는 아열대(亜熱帯)기후이지만 고산지대는 아한대(亜寒帯)기후를 보인다는데 야쿠시마 최고봉은 표고 1,936m인 미야노우라다케(宮之浦岳)로서 이 섬뿐만 아니라 규슈지방 전체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고 한다. 실제로 야쿠시마만병초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추운 겨울도 거뜬히 견디고 있다. 꽃이 아름다운데다가 나무의 크기도 적당하고 내한성도 강하여 그런지 우리나라에도 더러 보급되어 있는 것 같다.
일본의 누마즈시(沼津市)출신으로 요코하마에서 Hakoneya Nurseries를 운영하였던 육종가이자 화훼 수출업자인 Koichiro Wada(1907~1981)에 의하여 1934년경에 영국 로스차일드가문의 Exbury Gardens에 공급된 것이 유럽 최초라고 한다. 그 중에서 한 그루가 영국 RHS의 위슬리정원으로 분양되어 가서 거기서 자라 1947년 전통의 런던 첼시꽃박람회에서 최우수 품종상을 받게 된다. 이게 바로 'Koichiro Wada' 즉 야쿠시마만병초 ‘코이치로 와다’라는 원예품종인데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 받는 만병초 품종 중 하나가 된다. 그리고 이 품종은 중국 운남 원산의 짙은 주홍색 꽃이 피는 주홍대두견(朱红大杜鹃) 즉 국내 미등록종인 학명 Rhododendron griersonianum과 더불어 만병초 원예품종 개발에 부모 종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품종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만큼 인기가 높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원산지 일본에서는 1921년 나카이가 명명한 Rhododendron yakushimanum으로학명 표기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 일부학자들도 그렇게 표기하고 있지만 서방 일부학자들은 이 수종을 일본 혼슈 동부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 등에서 자생하는 일본명 동석남화(東石楠花)의 아종으로 1986년 일본학자 하라 히로시(原寛, 1911~1986)가 Rhododendron degronianum ssp. Yakushimanum이라고 명명한 학명을 인정하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 독립된 종으로 보는 측과 일본 동만병초의 아종으로 보는 측으로 양분되어 있다고 보면 되겠으나 점차 나중에 명명된 후자가 힘을 얻어 가는 것 같다.
등록명 : 야쿠시마만병초
학 명 : Rhododendron yakushimanum Nakai
이 명 : Rhododendron degronianum subsp. yakushimanum (Nakai) H.Hara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원산지 : 일본 가고시마현 야쿠시마
일본명 : 야쿠시마석남화(屋久島石楠花)
영어명 : Yaku Rhododendron
수 고 : 0.5~2m
잎특징 : 5~10 x 2.5~3 cm, 뒷면 갈모 밀생
꽃특징 : 총상화서 5~12송이, 백색 담홍색, 지름 3~3.5cm, 5렬
수 술 : 10개
개화기 : 5~6월
내한성 : 영하 26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만병초아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78 스미노프만병초 - 주름 꽃잎과 은색 잎이 특징인 터키 원산 (0) | 2021.03.26 |
---|---|
1377 야쿠시마만병초 '미스트 메이든' (0) | 2021.03.25 |
1375 미소만병초 - 꽃과 잎이 아름다운 대만 특산 미소두견(微笑杜鵑) (0) | 2021.03.22 |
1374 노랑만병초 - 백두산과 시베리아 등 극한지에서 생존하는 관목 (0) | 2021.03.21 |
1373 만병초 = 홍만병초 - 독성이 있는 식용불가식물 (0) | 2021.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