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2011년 12월 8일 매실나무 '뉴 포트'라고 학명 Prunus 'New Port'로 등록된 품종과 같은 날 학명 Prunus cerasifera 'Newport'에 자엽꽃자두 '뉴포트'로 이중 등록된 품종이 있는데 11년이 지난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고 있다. 아니 사적인 취미단체도 아니고 국가기관이 관리하는 국가 표준이라는 식물리스트가 이래도 된다는 말인가? 그럼 일단 이 품종이 매실나무인지 아니면 자두나무인지 파악해 보자.
이 품종은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매우 복잡한 종간 교잡 과정을 거쳐서 개발하여 1923년 발표한 품종인데 그 혈통을 살펴보면 매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자두나무 즉 Prunus salicina와 자엽꽃자두나무 즉 Prunus cerasifera 그리고 아메리카자두나무 즉 Prunus americana 및 캐나다자두나무 즉 Prunus nigra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벚나무속 즉 Prunus속의 4개 종이 복합적으로 교잡하여 탄생한 원예품종인데 이들 4개 종을 우리나라서는 모두 자두나무라고 부르므로 이 교잡종 또한 자두나무라고 부르는 것이 당연해 보인다. 따라서 국명은 혈통적으로 전혀 무관한 매실나무 ‘뉴 포트’는 엉뚱하고 그렇다고 자엽꽃자두 즉 Prunus cerasifera의 원예품종이 아니므로 자엽꽃자두 '뉴포트'라는 이름도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자두나무 ‘뉴포트’가 적절해 보인다.
그럼 학명은 어떨까? 이 품종은 자엽꽃자두인 Prunus cerasifera ‘Pissardii’와 복합교잡종인 Prunus ‘Omaha’의 교잡으로 탄생한 것인데 복합교잡종 Prunus ‘Omaha’가 아메리카자두나무와 캐나다자두나무(미등록종) 그리고 자두나무 원예품종을 교잡시켜서 개발한 품종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Prunus속 4개 종이 부모종인 것이다. 따라서 어느 종명을 딱히 사용할 수 없으므로 속명 Prunus에다가 품종명을 바로 붙인 Prunus 'New Port'가 당연한 학명 표기의 방식이다. Prunus속에는 벚나무와 자두나무 복사나무 살구나무 귀룽나무 아몬드 등 매우 많은 아주 다양한 수종들이 포진하고 있어 어느 하나를 대표명으로 사용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기에 우리나라와 일본은 벚나무속이라고 하지만 실제 어원은 자두에서 온 것이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자두나무속으로 인식하며 중국에서도 자두나무속이라고 한다. 게다가 이 교잡종 경우는 마침 우리가 모두 자두나무라고 부르는 종들간의 교잡종이므로 국명을 자두나무라고 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다. 다만 원리원칙만을 따른다면 우리나라서 Prunus속을 벚나무속이라고 하므로 Prunus 'New Port' 는 벚나무 '뉴 포트'라고 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할 수는 있다. 하지만 더 거슬러 올라가면 Prunus속명 자체가 서양자두 즉 plum에서 온 것인데 이를 벚나무속이라고 하는 국명부터 잘못된 것이라는 주장을 할 수 있다. 참고로 품종명 New port는 미네소타주에 있는 도시 이름이다.
Prunus 'New Port' = Prunus cerasifera ‘Pissardii’ x Prunus ‘Omaha’
Prunus ‘Omaha’ = Prunus americana ‘Quaker’ x Prunus nigra ‘Harrison's Peach’ x Prunus salicina ‘Abundance’
등록명 : 매실나무 '뉴 포트'
수정명 : 자두나무 ‘뉴 포트’
학 명 : Prunus 'New Port'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미국에서 개발된 교잡 원예품종
수 고 : 4~6m
잎색상 : 자색
꽃색상 : 연한 핑크색
열 매 : 지름 2.5cm, 자색
내한성 : 영하 31도
'장미과 벗나무속 > 자두아속자두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69 열녀목 – 자두나무에 통합된 원기둥 모양으로 자라는 변종 (0) | 2022.04.30 |
---|---|
1768 자두나무 = 오얏 추리 고야 애추 자도(紫挑) 이(李) (1) | 2022.04.25 |
1767 가시자두 '푸르푸레아' (0) | 2022.04.22 |
1766 자엽꽃자두 – 자엽이 아닌 녹색 잎에 백색 꽃이 피는 수종 (0) | 2022.04.21 |
1765 댐슨자두 – 작고 시고 떫은 맛이 강한 서양자두의 아종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