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의 개야광나무속 즉 Cotoneaster속에는 국명이 개야광나무가 아닌 자단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수종이 무려 14종이나 등록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우리 자생종이 아니고 외래 재배식물인데 그 중에서 홍자단이 6종이고 백자단이 8종이 된다. 자단은 원래 한중일 3국에서 단단하고 아름다운 자주색을 띠는 고급 목재를 생산하는 키가 매우 큰 수종들을 이르는 말인데 일본에서 엉뚱하게 중국과 네팔 원산의 학명 Cotoneaster horizontalis인 포복성 관목이 붉은 열매가 빽빽하게 달리므로 인도에서 홍색 염료로 수입하던 자단(紫檀)이 연상된다고 베니시탄(ベニシタン) 즉 홍자단(紅紫檀)이라는 부르는 것을 우리가 생각 없이 그대로 따라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앞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 물론 원산지 중국에서는 개야광나무속 수종들을 자단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그리고 일본에서도 그런 다소 엉뚱한 이름은 홍자단 하나에만 붙이고 다른 수종들은 모두 차륜도(車輪桃) 즉 샤린도우(シャリントウ) 등으로 부른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의 부적절한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쓰면서 홍자단 하나에만 그친 것이 아니고 이를 응용하여 추가로 무려 13종에다가 자단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일부는 홍자단이고 일부는 백자단이라는 것이다. 이들 모두 권위가 있는 국내 식물학자가 붙인 이름은 아닌 것 같고 그냥 2011년 외래종 일제 등록시기에 마구잡이로 실무자 선에서 그렇게 붙인 것으로 보인다. 글쎄 원래 자단(紫檀)은 자주색이라는 뜻인데 여기에 붉은 색을 뜻하는 홍(紅)이 붙은 것도 이상한데 흰색을 뜻하는 백(白)은 왜 또 구분하여 붙였을까? 그렇다고 이 백자단의 열매가 백색인 것도 아닌데 말이다. 아마 꽃의 색상이 백색이라서 그렇게 구분하여 붙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둥근잎백자단의 꽃 색상이 분홍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여하튼 그 백자단 중 하나인 둥근잎백자단에 대하여 간략하게 탐구해 본다.
둥근잎백자단의 학명 Cotoneaster rotundifolius Wall. ex Lindl.는 인도 동인도회사에 근무하면서 히말라야 인근 식물탐사와 명명에 많은 공헌을 한 덴마크 외과의사이자 식물학자인 Nathaniel Wolff Wallich(1786~1854)가 명명한 것을 영국 식물학자인 John Lindley (1799~1865)가 1829년 발표한 것인데 잎의 모양이 둥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도 이 수종을 원엽순자(圆叶栒子)라고 한다. 우리는 이미 둥근잎개야광이라는 이름을 붙인 우리 자생종이 있기에 둥근잎백자단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홍자단이 분홍색 꽃이 피는 것에 반하여 이 수종은 주로 백색 꽃이 피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수종은 개야광나무속 중에서도 꽃이 단생 또는 2~5송이가 모여서 피는 단화조(单花组) 즉 Sect. Uniflos으로 분류된다.
등록명 : 둥근잎백자단
학 명 : Cotoneaster rotundifolius Wall. ex Lindl.
분 류 : 장미과 개야광나무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중국 인도 부탄 인도네시아
중국명 : 원엽순자(圆叶栒子)
수 고 : 4m
가 지 : 넓게 퍼짐, 소지 화갈색 흑갈색 유지 펑첨장유모 성장시탈락
엽 편 : 근원형 광란형
잎크기 : 8~20 x 6~10mm
잎모양 : 선단원둔 미결 기부관설형 원형
잎면모 : 상면무모 하면유모
잎자루 : 단 1~3mm, 유모
탁 엽 : 피침형 미유모 숙존혹탈락
꽃차례 : 1~3송이
꽃크기 : 지름 1cm
꽃자루 : 2~4mm 유모
포 편 : 선상피침형, 이탈락
꽃받침 : 악통 종상 외면유모 내면무모 악편3각형 선단급첨 외면유모 내면선단유모
꽃부리 : 평전 관란형 도란형 4 x 4mm, 선단원둔 미요 기부단조
꽃색상 : 백색 혹 대분홍색
수 술 : 20 꽃잎과 등장
암술대 : 2~3 수술과 등장, 이생
자 방 : 선단유모
열 매 : 도란형, 지름 7~9mm, 홍색, 2~3소핵
개화기 : 5~6월
결실기 : 9월
내한성 : 영하 20~23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사과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 유럽팥배나무 - 마가목속에서 Aria속으로 변경 (1) | 2024.07.13 |
---|---|
1919 버들잎개야광나무 (3) | 2024.02.23 |
1917 홍자단 – 개야광나무속에 어울리지 않는 이름 (1) | 2024.01.07 |
1916 섬개야광나무 - 울릉도 특산 수종 (4) | 2024.01.02 |
1915 개야광나무와 둥근잎개야광 (2) | 2023.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