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사과나무족

1919 버들잎개야광나무

낙은재 2024. 2. 23. 16:34

버들잎개야광나무

 

 

 

우리나라에 등록된 개야광나무속 수종들을 모두 다 일일이 탐구할 필요는 없을 듯하여 대부분 생략하고 이제 마지막으로 버들잎개야광나무 한 종만 더 알아보고 넘어간다. 이 수종은 앞에서 다룬 수종들과는 다르게 하나의 꽃차례에 20송이 이상 다수의 꽃이 모여서 복취산화서(复聚伞花序)를 이루어 개야광나무속 중에서 밀화조(密花组) 즉 Sect. Densiflos로 분류된다. 그동안 앞에서 다룬 수종들은 꽃이 3~13송이로 이루어진 취산화서인 국내서 보기가 쉽지 않은 개야광나무를 제외하면 모두가 꽃이 1~5송이가 모여서 단조롭게 피는 단화조(单花组) 즉 Sect. Uniflos이었다는 점과 대조가 된다. 그러니까 개야광나무속 수종들도 다수의 꽃이 모여서 매우 풍성하게 피는 수종들도 많은데 바로 그런 수종 중 하나가 버들잎개야광나무이라는 말이다.

 

중국 남방지역이 원산지인 이 버들잎개야광나무는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면서 엄청난 양의 식물 표본을 채집하여 유럽으로 보내 수많은 동양 식물을 서양에 소개하였던 프랑스 신부 Armand David(1826~1900)가 중국 사천성(四川省) 보흥현(宝兴县) 목평진(穆坪镇)에서 1870년에 채집하여 프랑스로 보낸 표본을 대상으로 프랑스 식물학자인 Adrien René Franchet (1834~1900)가 1885년 Cotoneaster salicifolius Franch.라는 학명을 부여하였다. 그 잎이 버들잎을 닮았기에 그런 의미의 종소명을 사용한 것이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이 willow-leaved cotoneaster이며 원산지 중국명도 유엽순자(柳叶栒子)이다. 따라서 우리 이름도 당연히 버들잎개야광나무가 된 것이다. 이 수종은 아열대지방에서는 상록이지만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반상록으로 변하며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하기에는 내한성이 다소 부족해 보인다.  이 수종은 얼핏 봐서는 윤노리나무나 아로니아 레드와 많이 닮은 듯하지만 암술의 숫자가 다르고 특히 아로니아에는 잎 중륵에 선체가 있다는 점에서 구분이 된다.

 

등록명 : 버들잎개야광나무

학    명 : Cotoneaster salicifolius Franch.

분    류 : 장미과 개야광나무속 반상록 또는 상록 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유엽순자(柳叶栒子) 산미마(山米麻) 목추자(木帚子)

영어명 : willow-leaved cotoneaster                                         

수    고 : 5m

가    지 : 개장 소지회갈색 일년지홍갈색 눈시융모 노시탈락

엽    편 : 혁질, 타원장원형 난상피침형

잎크기 : 4~8.5 x 1.5~2.5cm

잎모양 : 선단급첨 점첨 기부설형

잎거치 : 전연

잎면맥 : 상면무모 측맥 12~16대 하함 천추문, 엽맥 현명돌기

잎면모 : 하면회백색융모 백상

잎자루 : 조장 4~5mm, 융모 통상홍색

총화경 : 다화 밀생 복취산화서

꽃자루 : 회백색 융모 3~5cm

포    편 : 세소 선형 미유모 조락

꽃자루 : 2~4mm

꽃크기 : 지름 5~6mm

꽃받침 : 종상 외면 회백색 융모 내면 무모

악    편 : 3각형 선단단점첨 외면회백색 융모 내면 무오 선단 유모

화    판 : 평전 란형 근원형 지름 3~4mm 선단원둔 기부단조 백색

수    술 : 20개 화판보다 길거나 같음 꽃밥 자색

화    주 : 2~3 이생 수술보다 짦은

자    방 : 정단 유모

열    매 : 근구형 지름 5~7mm, 심홍색 소핵 2~3

개화기 : 6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23도

 

버들잎개야광나무
버들잎개야광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