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리나무라고 우리나라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자생하는 3~5m인 소교목이 있다. 잎 모양이 마치 산사나무을 닮은 이 수종은 1937년 발간된 조선식물향명집에서도 수록되어 있었는데 그때부터 쭉 얼마 전까지는 산사나무로 분류하여 하바드대학 아놀드수목원 초대 원장으로 1872년 임명되어 무려 55년간 종신 근무한 Charles Sprague Sargent (1841~1927)가 1912년 명명한 학명 Crataegus komarovii Sarg로 표기되어 있었다. 그런데 워낙 이 수종이 산사나무와 사과나무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어서 그 분류가 식물학자들도 어려웠던 것이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1933년 일본 학자 마사지 혼다(1897~1984, 本田正次)가 가 명명한 새로운 중간 속으로 분류한 학명 Sinomalus komarovii (Sarg.) Honda로 표기했다. 하지만 국제적으로는 이 수종을 산사나무속보다는 사과나무속에 가깝다는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과나무속으로 분류하여 미국 식물학자인 하버드대학 Alfred Rehder (1863~1949)교수가 1920년에 명명한 학명 Malus komarovii (Sarg.) Rehder로 표기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최근에 이를 따라서 사과나무속으로 변경 분류하고 학명도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 수종은 우리나라 북한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자생하며 남한에도 강원도 설악산 등지에서 발견되는데 우리나라 외에도 중국 길림성에서 자생하지만 거기가 과거 우리 고구려 영토이기에 사실상 우리 고유종이라고 봐도 무방한 수종이다. 게다가 서양인들이 처음 발견한 지역도 우리나라이며 바로 우리나라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학명이 부여되었다. 이 수종을 가장 먼저 발견하여 학명을 부여한 사람은 러시아 식물학자인 Vladimir Leontyevich Komarov(1869~1918)이다. 그는 1897년 우리나라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산사나무속으로 분류하여 1901년 Crataegus tenuifolia Kom.이라는 학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학명은 그 이전에 다른 학자가 발표한 학명과 이름이 중복되기에 무효 학명이 된다. 그러자 미국 하버드대 아놀드수목원장 사전트가 최초 명명자인 Komarov의 이름을 종소명으로 하여 1912년 새로운 학명 Crataegus komarovii로 다시 명명하였다. 그 후 20세기 최고의 식물채집가인 영국 태생 미국인 어네스트 윌슨(1876~1930)이 우리나라 함경도 혜산군 최가령과 랑림군 등지에서 1917년 8~9월에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하버드대학 리더교수가 사과나무속으로 속을 변경한 현재의 학명 Malus komarovii를 명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모든 것이 우리나라와 관련된 이 수종의 우리 이름 이노리나무는 함경남도의 방언이라는데 그 유래를 정확하게 아는 사람이 없다. 다만 윤노리나무와 어떤 관련성이 있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다. 즉 이 나무로도 윷가락을 만들었지 않았겠는가 하는 것이다. 북한에서도 현재 이 이름을 쓰는 것으로 봐서는 그 지방에서 불러오던 이름은 맞는 것 같다.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산사해당(山楂海棠)이라고 한다. 산사나무를 많이 닮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산사과라는 의미에서 산평과(山苹果)라고도 하며 과거 산사나무속으로 분류될 때는 잎이 얇다고 박엽산사(薄叶山楂)라고도 했다. 일본에서는 우스바산자시(ウスバサンザシ)라고 즉 박엽산사(薄葉山楂)라고 부른다. 산사나무속으로 분류될 때의 이름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수종은 개체수가 적어서 세계적인 멸종위기 EN급으로 지정되어 있고 중국에서도 국가보호 2급 수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등록명 : 이노리나무
학 명 : Malus komarovii (Sarg.) Rehder
이 명 : Crataegus komarovii Sarg
분 류 : 장미과 사과나무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길림성
중국명 : 산사해당(山楂海棠) 산평과(山苹果) 박엽산사(薄叶山楂)
일본명 : ウスバサンザシ(薄葉山楂)
수 고 : 3~5m
줄 기 : 소지원주형 유시유모 암홍색 노지무모 홍갈색 자갈색 의소갈색피공
동 아 : 난형 인편변연유모 암홍색
엽 편 : 관란형
잎크기 : 4~8 x 3~7cm
잎모양 : 선단점첨급첨 기부심형근심형 변연첨예중거치 통상 중부3심렬 기부좌우천렬
상반부불규칙천렬 혹 불렬 열편장원란형 선단점첨급첨 유시상면희소유모 하면연엽맥및 중맥교밀
잎자루 : 1~3cm 유모
탁 엽 : 막질 선상피침형 변연선치 조락
화 서 : 산방화서 6~8송이
꽃자루 : 2mm 장유모
꽃크기 : 지름 3.5cm
꽃받침 : 종상 외면융모밀생
악 편 : 삼각피침형 선단점첨 전연 2~3mm, 내면융모밀생 외면근무모 비악통장
화 판 : 도란형 백색
수 술 : 20~30
화 주 : 4~5 기부무모
열 매 : 타원형 1~1.5 x 0.8~1cm 홍색 과심선단분리 악편탈락 또는 숙존, 과육소수 석세포
과 경 : 1.5cm
화 기 : 5월
과 기 : 9월
자생지 : 해발 1,100~1,300m
내한성 : 영하 40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사과나무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76 운남꽃사과나무 - 전지해당(滇池海棠) 운남해당(云南海棠) (0) | 2024.05.08 |
---|---|
1975 아그배나무 – 중국 삼엽해당(三叶海棠), 일본 심산해당(深山海棠) (1) | 2024.05.07 |
1973 시킴꽃사과나무 - 석금해당(锡金海棠) (4) | 2024.05.05 |
1972 꽃사과나무 - 다화해당(多花海棠) (0) | 2024.05.04 |
1971 개아그배나무 - 이게 바로 서부해당(西府海棠)이다. (2)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