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마가목속

1990 우산마가목 – 우산마가목 ‘올림픽 플레임’

낙은재 2024. 6. 2. 14:29

우산마가목

 

우산마가목 '올림픽 플레임' - 유럽에서 정원수로 인기 높은 이유를 알 만하다.

 

 

 

우리나라 마가목 수종 중에 줄기가 황갈색을 띠는 종이 있는데 이를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 1918년 마가목의 하위 품종 형식으로 분류하여 학명 Sorbus commixta f. rufohirtella Nakai를 발표한다. 이 품종이 1937년 발간된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수록되지 않았으나 1943년 하은(霞隱) 정태현(鄭台鉉, 1882~1971)박사가 펴낸 조선삼림식물도설에서 왕털마가목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왕털이란 털이 길거나 거칠다는 뜻인 터인데 글쎄 이 수종 어디에 그런 왕털(?)이 있는지 모르겠다. 이 수종은 동아 끝에 황갈색 털이 있고 어린 잎 뒷면에 황갈색 털이 밀생하다가 곧 떨어지며 암술대 기부에 털이 많은 것 외에는 나무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그래서 원종인 마가목에 비하여 오히려 털이 적은데도 왕털마가목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는 것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그런데 최초 학명을 부여한 나카이가 종소명을 황갈색 즉 reddish라는 뜻인 rufo와 (성긴) 털 즉 having minuscule hairs라는 뜻인 hirtella를 합한 rufohirtella라고 명명하였는데 이렇게 명명한 이유도 조금 애매하다. 동아와 잎 뒷면 그리고 암술대 기부의 털은 원종인 마가목에도 보이는 특징이기 때문에 차이점이 될 수가 없다. 다만 줄기의 색상이 마가목은 회색이지만 이 변종은 황갈색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털이 없다는 점이 차이점이라면 차이점이다. 그렇다면 원종인 마가목에 비하여 수피가 황갈색이고 털이 거의 없는 변종(f.)이라서 rufohirtella라고 명명한 것으로 풀이될 수도 있다. 하지만 식물명에서 hirtella는 털이 거의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보다는 털이 다소라도 있다는 긍정적인 의미에서 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왕털마가목이라고 하니 전혀 반대의 느낌이 든다. 아마 갈리시아어에서는 rufo의 의미가 sound, healthy 또는 lush로 풀이되어 단단한 무성한 등의 뜻이 되는데 그렇게 풀이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더라도 우산마가목 어디에 그런 마가목에는 없는 왕성한 털이 있다는 것인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1917년 울릉도에서 채집한 표본과 1967년 설악산 표본

 

 

여하튼 그동안 국내서는 잎뒷면에 성긴털이 있는 것이 특징인 왕털마가목은 높이 6~8m이며 우리나라 중부 이북 표고 500~1,200m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그런데 2013년 국립수목원 길희영연구사와 서울대 장진성교수 등으로 구성된 국내 학자들의 연구결과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왕털마가목은 키가 무려 20m까지 자라는 등 전반적인 면에서 마가목보다는 크고 다른 점이 발견되어 2014년 서울대 장진성교수가 이를 새로운 종으로 하는 학명 Sorbus ulleungensis Chin S.Chang를 발표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기에 우리나라서 이 신종에다가 우산마가목이라는 국명을 부여하여 현재 국가표분식물목록에 등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나카이는 분명 울릉도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명명한 것 같은데 나중에 설악산 등지에서도 발견되었다는 왕털마가목 중 울릉도 자생종만 신종으로 새로운 학명과 국명이 부여되었고 여타 지역의 왕털마가목은 마가목에 통합된 것으로 봐야 될 듯하다. 그래서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왕털마가목은 마가목과 우산마가목 두 종의 이명으로 각각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왕털마가목의 학명 Sorbus commixta f. rufohirtella Nakai는 우산마가목의 이명으로만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우산마가목이 독립된 수종이 아닌 마가목의 변종으로 분류한 학명 Sorbus commixta var. ulleungensis (Chin S.Chang) M.Kim이 2017년 전북대 김무열교수에 의하여 발표되었는데 이를 따르는 해외 학자들도 있다. 한편에서는 영국 식물학자인 Michael Francis Fay(1960~ )와 네덜란드 식물학자인 Maarten Joost Maria Christenhusz(1976~ )가 공동으로 우산마가목을 배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 Pyrus ulleungensis (Chin S.Chang) M.F.Fay & Christenh.를 2018년에 발표한 바도 있다. 물론 배나무속으로 분류한 이 학명이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지는 못하였지만 아직도 마가목 수종들을 배나무속으로 분류하려는 학자들이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유럽인들이 마가목에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 것은 절대 아니다. 유럽에는 우산마가목을 오히려 원산지인 우리나라보다 더 많이 정원에다 심고 그 아름다운 단풍을 사랑한다. 1976년 스웨덴과 덴마크 공동 식물조사단이 우리나라 울릉도를 방문하였을 때 일원으로 참여한 스웨덴 예테보리식물원의 큐레이터 Tor G. Nitzelius(1914-1999)박사가 도동에서 마가목을 발견하여 종자를 채집해 갔는데 특이하게도 그 종자에서 자란 마가목이 직립형으로 때로는 왜성 직립형으로 자라면서 가을에는 매우 아름답게 단풍이 들어 유럽인들의 눈길을 사로잡게 된다. 그래서 처음에는 품종명으로 채집지명을 따라서 ‘Dodong’이라고 하였다가 단풍 절정기의 모습이 마치 올림픽 성화와 같다고 'Olympic Flame'이라고 변경하였다. 이 품종은 영국 왕립원예학회인 RHS로부터 최고의 정원수에게 주어지는 AGM상을 수상한 바 있을 정도로 유럽에서는 인기가 높다. 신학명을 따른 정확한 품종명은 Sorbus ulleungensis 'Olympic Flame'이지만 구 학명으로 표기할 경우에는 Sorbus commixta 'Olympic Flame'라고 한다.

 

여기서 우리 이름 우산은 물론 울릉도지역에 과거에 있었던 작은 나라 우산국(于山國)에서 온 것이다. 울릉도에는 특이한 식물들이 매우 많아 우산(24종)이나 울릉(27종)이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들도 많다. 게다가 섬개야광나무와 같이 섬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도 있어 그 숫자는 백여 종이 넘을 것 같다. 이렇게 뭍에서 떨어져 고립된 환경에서는 식물도 다르게 진화함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울릉도에서는 20m까지도 자라는 우산마가목이 유럽에 가서는 10년생이 겨우 4m까지만 자라는 왜성에다가 좁은 직립형으로 자란다니 식물도 환경이 갑자기 바뀌었음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비슷한 예가 우리 주변에도 있다. 일본에서 키가 30~35m까지 자라는 오엽송(ゴヨウマツ,  五葉松) 즉 섬잣나무가 국내서는 대부분 키가 겨우 3~4m에 불과한 관목으로 자라는 것이 그런 경우가 아닐까 한다.  

 

 

등록명 : 우산마가목

이    명 : 왕털마가목

학    명 : Sorbus ulleungensis  Chin S.Chang

이    명 : Sorbus commixta f. rufohirtella Nakai

분    류 : 장미과 마가목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울릉도

영어명 : Ulleung rowan

일본명 : 시마나나마카도(シマナナカマド)

수    고 : 20m

줄    기 : 적갈색 회갈색 매끈 피목 종박렬 무모

동    아 : 난형 타원형 10~20 x 5~9mm 홍색 매끈 점성 유혹무

엽    편 : 호생 기수우상복엽

탁    엽 : 조락 피침형 예거치

엽    병 : 2.8~6.4mm

잎크기 : 엽병포함 17.5~31.3 x 9~18cm

잎색상 : 상면 녹색 진록색 하면 대백색

잎면모 : 양면 무모 신엽 하면 엽축 엽맥 황갈모 밀생 조락

소    엽 : 13~19개, 난상피침형 협타원형 예두 예첨두 예거치 둔저 원저

화    서 : 일년지 정단 수백 송이 복산방화서 높이 8~13.3cm 지름 9.5~23.5cm 무모 피목

꽃크기 : 지름 11~16mm

꽃받침 : 악통 종형 무모 열편 5 숙존 삼각형 예두 전연 녹색

꽃부리 : 5 광타원형 원형 원두 4.5~7 x 3.4~5.7mm 백색

수    술 : 20 3.2~4.5mm 백색 무모 화약 황색 분홍색

화    주 : 3~5 분리 기부 1/3 융합 1.8~3.3mm 기부 모

열    매 : 이과 근구형 구형 8~12.2 x 8.2~11.3mm 연주황색 홍색 표면 광활

종    자 : 난형 연갈색 갈색

개화기 : 5~6월

열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34도

참    조 : 한반도수목지

 

우산마가목
우산마가목 - 출처 한반도수목지
우산마가목 '올림픽 플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