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마가목속

1992 미국마가목

낙은재 2024. 6. 8. 10:34

 

미국마가목

 

 

 

미국마가목이라고 1785년에 미국에서 수목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식물학자이자 정원수 유통업자인 Humphry Marshall (1722~1801)에 의하여 학명 Sorbus americana Marshall로 명명된 수종이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동부지역에서 자생하는 키가 최대 12m까지도 자라는 나무인데 때로는 관목처럼 자라기도 한다. 이 수종은 여러모로 우리 자생종인 마가목을 닮았는데 동아가 보다 더 점성이고 줄기의 색상이 덜 붉으며 잎 모양도 덜 뾰족한 데다가 가끔 관목성으로 자란다는 점에서 마가목과는 다르다고 한다. 글쎄 그게 뭐 그리 대단한 차이점인가 하지만 자생지가 워낙 멀리 떨어진 북미대륙 그것도 서부도 아닌 동부이므로 다른 종으로 분류하는 것 같다. 만약에 하나로 통합된다면 학명 발표 일자 순서에 의하여 한참 늦은 1901년에 명명된 우리 자생종 마가목이 이 미국마가목에 흡수통합될 처지이므로 결코 바라는 바는 아니다. 여하튼 마가목속 수종들은 워낙 유사하여 서로 구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미국마가목의 자생지
미국마가목은 이렇게 관목성으로 자라기도 한다.
마가목(좌)에 비하여 미국마가목(우)의 동아가 점성이 강해보인다.
마가목(좌)과 미국마가목(우) 잎모양
마가목(좌)의 줄기가 미국마가목(우)보다 더 붉다.

 

 

 

 

이 수종의 특징이라면 열매가 작고 꽃도 작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지금은 학명 Sorbus americana에 통합된 유사 학명 중에는 열매가 작다고 1814년에 명명된 Sorbus microcarpa도 있고 꽃이 작다고 1811년에 명명된 Sorbus micrantha도 있다. 그 외에도 이 수종은 주로 강가에서 서식한다고 1838년에 명명된 Sorbus riparia라는 학명도 있다. 실제로 이 수종은 꽃과 열매의 지름이 최소 6mm이므로 8mm이상 되는 유럽당마가목에 비하여 작기는 하다. 그리고 116년 후에 명명된 우리 마가목도 열매의 사이즈는 비슷하지만 꽃의 사이즈는 지름 8~11mm로 미국마가목보다 크다.  

 

 

등록명 : 미국마가목

학    명 : Sorbus americana Marshall

분    류 : 장미과 마가목속 낙엽 관목 소교목 교목

원산지 : 북미 동부 미국 캐나다

영어명 : American mountain-ash

중국명 : 미주화추(美洲花楸)

일본명 : 아메리카나나카마도(アメリカナナカマド)

수    고 : 4.5~9m 최대 12m

줄    기 : 모 후 무모 회갈색

동    아 : 원추형 암자적색 1.8 x 0.6cm 인편 내면 모 밀생, 끝부분 제외 외부 무모

엽    편 : 호생 기수우상복엽 15~30cm 길이

소    엽 : 5~8쌍, 3.8~10 x 1.3~1.8cm 점첨 세 단 혹 이중거치 기부 비대칭

잎색상 : 상면 연록색 광택 하면 창백색 희모 후 탈락 무모

탁    엽 : 엽상 조기탈락

꽃차례 : 산방화서  7.5~12.5cm 지름 총화경 피목 무모

꽃특징 : 유백색 지름 6~9mm  

꽃받침 : 항아리형 모 열편 5

수    술 : 20~30, 꽃잎보다 단

암    술 : 2~3

열    매 : 구형 밝은 적색 6~9mm 지름

개화기 : 6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40도 ~영하 20도

 

미국마가목은 강가에서 많이 서식한다.
미국마가목
미국마가목 - 단풍이 이렇게 아름답게 드는 경우는 드물다.
미국마가목
미국마가목 기부가 비대칭이다.
미국마가목 동아
미국마가목의 수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