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르부스 폴그네리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마가목속으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마가목속으로 등록된 26종 중 대부분은 국명이 xxx마가목 또는 xxx팥배나무로 등록되어 있는데 이상하게 아직도 두 종은 학명 발음 그대로 등록되어 있다. 이 소르부스 폴그네리도 그 중 하나이다. 무슨 이유로 이 수종의 이름 수정이 누락되었는지 모르지만 관례대로 한다면 폴그너팥배나무라고 해야 될 듯하다. 왜냐하면 단엽 구조를 가진 마가목속 수종들 일부에게 우리나라에서 xxx팥배나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가목속 분리론자들에 의하여 단엽구조를 가진 다수의 수종들이 여러 다른 속으로 분리되었지만 그 경우에도 이 수종은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와 같은 속인 Alniaria속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와 가장 가까운 근연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수종은 중국 중남부 여러성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 해발 800~2000m 지대의 산비탈 잡목림속에서 주로 자생하는데 유럽에는 1901년 영국 원예 명문 비치(Veitch)가문에서 파견한 유명한 식물채집가인 Ernest Henry Wilson (1876~1930)에 의해서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 수종을 서양인으로서 처음 발견한 사람은 1881년 의료보조원으로 중국으로 건너가 1882년부터 양자강 유역인 호북성 의창시에 있는 세관에 파견근무하면서 1885년부터 1896년 사이에 주변의 수많은 새로운 식물들의 표본과 종자를 채취하여 영국 Kew Gardens로 보냈던 영국 출신 아일랜드 원예가이자 중국학 학자인 Augustine Henry (1857~1930)이다. 그가 1885년 호북성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독일 식물학자인 Camillo Karl Schneider (1876~1951)가 1906년 그 당시 팥배나무와 같은 속으로 분류하여 학명 Micromeles folgneri C.K.Schneid.를 처음 붙인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folgneri는 아무래도 표본이나 명명 작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독일 식물학자인 Victor Alfred Oswald Folgner (1861~1927)의 이름에서 온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하게 어떤 관련이 있는지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원산지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부씨화추(傅氏花楸)라고도 하는데 중국에서는 부(傅)가 fu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화추(花楸)는 당연히 마가목을 말한다.
그 후 이 수종의 학명은 여러 속을 전전하면서 수시로 변경된다. 1910년 영국 식물학자인 William Jackson Bean (1863~1947)에 의하여 배나무속으로 Pyrus folgneri라고 명명되기도 하였으나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의 Alfred Rehder (1863~1949)교수에 의하여 1915년 마가목속으로 편입되어 Sorbus folgneri (C.K.Schneid.) Rehder라는 학명이 발표된다. 그래서 이 수종을 아직도 마가목속으로 분류하려면 이 학명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근거도 없는 Sorbus folgneri Rehder라는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둘 다 같은 Sorbus folgneri이기는 하지만 전자는 독일 학자가 1906년 발표한 학명에서 속명만 변경하였다는 의미이지만 후자는 리더교수가 완전히 독자적으로 표본을 채집하고 특성을 묘사하여 명명하고 발표하였다는 의미이므로 내용적으로 매우 큰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여하튼 이 마가목속으로 분류한 학명을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인정하여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 와서 또 다시 변화가 시작되었다. 먼저 일본 학자 오하시 히로요시(大橋広好 : 1936~ ) 등이 단엽구조인 이 수종이 마가목속으로 분류되는 것을 인정하지 못하고 1993년 구 팥배나무속인 Aria속으로 분류한 Aria folgneri (C.K.Schneid.) H.Ohashi & Iketani라는 학명을 발표했다. 그로부터 25년 후인 2018년 영국 식물학자인 Keith Rushforth (1953~ )가 Aria속을 여러 xxx-aria속으로 세분한 후 이 수종을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 등과 함께 Alniaria속으로 분류하고 Alniaria folgneri (C.K.Schneid.) Rushforth라는 학명을 발표하였는데 서양 학자들은 이 학명을 많이 따른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중국도 결국에는 따를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그렇게 세분된 Aria속은 앞 대과팥배나무에서 이미 Wilson-aria속을 보았고 중국팥배나무에서 Thomson-aria속을 보았으며 팥배나무에서 Alni-aria속을 본 바가 있으며 앞으로 헤드룬드팥배나무에서 Griffith-aria속을 보게 될 것이다. 셋은 모두 사람이름에서 온 것이지만 Alniaria는 오리나무 잎을 닮은 aria라는 뜻이다.
이 수종의 영어권에서는 일반적으로 Folgner's whitebeam이라고 하는데 whitebeam은 우상복엽인 마가목이 아닌 단엽구조에다가 잎 뒷면에 백색 털이 있는 유럽팥배나무를 말한다. 물론 폴그너는 사람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래서 중국에서 부씨화추(傅氏花楸)라고도 하지만 중국 정명은 석회화추(石灰花楸)이다. 석회(石灰)란 영어명 whitebeam과 일맥상통하는 이름으로서 이 수종의 어린 가지와 잎자루 잎뒷면 꽃차례 등이 온통 백색 융모로 덮여있으며 오랫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바로 이점에서 털이 거의 없거나 있더라도 조기에 탈락하는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와 쉽게 구분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잎이 더 길쭉하고 타원형인 열매도 팥배나무보다는 더 길쭉하여 구분이 된다.
등록명 : 소르부스 폴그네리
희망명 : 폴그너팥배나무
학 명 : Sorbus folgneri Rehder
신학명 : Alniaria folgneri (C.K.Schneid.) Rushforth
분 류 : 장미과 팥배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석회화추(石灰花楸) 부씨화추(傅氏花楸) 백면자수(白绵子树)
영어명 : Folgner's whitebeam
수 고 : 10m
줄 기 : 원주형 소수피공 흑갈색 유시 백색융모
동 아 : 난형 선단급첨 갈색인편 수매
엽 편 : 난형 타원란형
잎크기 : 5~8 x 2~3.5cm
잎모양 : 선단급첨 단점첨 기부관설형 원형 변연세거치 신지상 중거치 천렬편
잎면모 : 상면심록색 무모 하면백색융모 중맥 측맥 융모 측맥 8~15대 직달엽변거치정단
잎자루 : 5~15mm 백색 융모
꽃차례 : 복산방화서 다화
꽃자루 : 백색 융모 5~8mm
꽃크기 : 7~10mm
꽃받침 : 종상 외면백색융모 내면융모 악편삼각런형 선단급첨 외면융모 내면미융모
꽃부리 : 난형 3~4 x 3~3.5mm 선단원둔 백색
수 술 : 18~20 화판과 같거나 김
화 주 : 2~3 기부합생 융모 수술보다 짧음
열 매 : 타원형 6~7 x 9~13mm 홍색 평활 극소수 세소반점 2~3실 악편탈락 원혈
화 기 : 4~5월
과 기 : 7~8월
내한성 : 영하 23도
===================
'장미과 아몬드아과 > 사과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애런섬팥배나무 - Hedlundia속으로 변경 (1) | 2024.07.20 |
---|---|
2009 헤드룬드팥배나무 - Griffitharia속으로 분리 (1) | 2024.07.18 |
2007 중국팥배나무 - Thomsonaria속으로 변경된 미맥화추(美脉花楸) (1) | 2024.07.17 |
2006 대과팥배나무 - Wilsonaria속으로 변경 (5) | 2024.07.14 |
2005 유럽팥배나무 - 마가목속에서 Aria속으로 변경 (1)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