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감나무과

2141 노아시 – 중국 원산 애기감이 달리는 소교목

낙은재 2025. 7. 5. 09:22

 

노아시

 

 

 

노아시라고 아주 작은 열매가 달리는 감나무가 있다. 정원에서보다는 주로 분재로 많이 보여 애기감나무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린다. 하지만 중국 남동부가 원산인 이 수종은 성장이 더디기는 하지만 키가 8m까지도 자라기에 결코 작은 나무가 아니다. 다만 열매의 지름이 겨우 2cm에 불과하기 때문에 작은 감인 것은 분명하다. 이 수종은 선교활동을 하러 중국에 왔던 독일 목사이자 식물 채집가인 Ernst Faber(1839-1899)가 1885년 절강성 영파(宁波)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영국 식물학자인 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가 1889년 학명 Diospyros rhombifolia Hemsl.를 발표한 것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종소명 rhombifolia는 잎이 마름모형이라는 뜻이다. 이 후 서양으로 전래된 이 수종은 열매가 작고 아름다우며 익어가면서 그 색상이 다양하게 변하고 오랫동안 달려 있어 열매를 보는 관상수로 매우 인기가 높아서 감나무 수종 중에서는 정원에 가장 많이 심는 수종이 된다. 서양에서는 이 수종을 잎 모양이 다이아몬드형이라고 diamond-leaf persimmon 또는 princess persimmon이라고 부른다.

 

1885년 중국 절강성 영파시에서 채집한 표본
잎 모양이 이렇게 마늘모 형상이라서 다이아몬드감나무라고 서양에서 부른다.

 

 

 

원산지 중국에서는 이 수종의 열매를 까마귀가 좋아한다고 노아시(老鸦柿)라고 한다. 노아(老鸦)는 오아(乌鸦) 즉 까마귀를 뜻한다. 2차대전 중인 20세기 중반에 도입한 일본에서는 로우야가키(ロウヤガキ, 老鴉柿)라고 중국명 그대로 부른다. 하지만 분재로 적합하여 인기가 높은데 열매에 남아 있는 길쭉한 꽃받침이 마치 날개를 닮았다고 츠쿠바네가키(ツクバネガキ, 衝羽根柿)라고 흔히 부른다. 일본에서는 배드민턴 셔틀콕이나 댕강나무 열매처럼 넓게 퍼지는 날개가 있는 것을 바네(羽根)라고 하고 衝(충)은 쥘부채의 핵심인 사북(要)과 비슷한 의미로 츠쿠바네(ツクバネ, 衝羽根)라고 하면 그런 모습의 열매가 달리는 식물을 말한다. 그러니까 노아시의 열매가 그 식물의 열매와 비슷하다는 말이다. 그리고 일본 분재계에서는 이를 애기감나무라는 의미에서 히메가키(姬柿)라고도 부른다. 그래서 국내서도 흔히 애기감나무라고 부르며 서양에서 공주감나무 즉 princess persimmon이라고 부르는 것도 일본 히메가키(姬柿)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노아시 작은 열매 - 꽃받침 열편이 길쭉하게 날개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일본에서 츠쿠바네(ツクバネ, 衝羽根)라고 부르는 식물의 열매

 

 

 

감나무속 수종들이 다 그렇지만 노아시도 성(性) 정체성이 모호하다. 기본적으로 자웅이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주변에 다른 나무가 없이 혼자서도 열매를 맺는 경우가 가끔 발견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암수 나무가 따로 있어 주변에 수나무가 있어야만 암나무가 결실하지만 때로는 자웅동주인 경우도 발견되고 있으며 수나무에서 돌연 소수의 암꽃이 피어 결실을 하는 돌연 변이 현상도 발견된다고 한다. 실제로 주변에서 노아시 여러 그루를 식재하여도 결실하지 않는 경우도 보았고 단 한 그루만 있어도 결실하는 경우를 봤기에 종잡을 수가 없었다.

 

주변에 다른 나무가 없이 혼자 심어진 노아시인데 열매가 맺혔다가 안맺혔다가 한다. 작년 열매의 모습

 

 

 

등록명 : 노아시

학   명 : Diospyros rhombifolia Hemsl.

분   류 : 감나무과 감나무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중국 남동부

중국명 : 노아시(老鸦柿)

일본명 : 로우야가키(ロウヤガキ, 老鴉柿), 츠쿠바네가키(ツクバネガキ, 衝羽根柿)

영어명 : diamond-leaf persimmon, princess persimmon

수   고 : 최대 8m

수   피 : 회색 평활

가   지 : 다지 가시 심갈색 흑갈색 무모 산생 타원형 종렬 소피공 소지곡절 유모

엽   편 : 지질 능상 도란형

잎크기 : 4~8.5 x 1.8~3.8cm

잎모양 : 선단둔 기부설형

잎색상 : 상면 심록색 연맥 황갈색 모 후변 무모 하면 천록색 복유모 소생 맥상 교다

잎면맥 : 중맥 상 요함 하 돌기 명현 측맥 5~6조 소맥 섬세 불규칙 망맥

잎자루 : 단 섬세 2~4mm 미유모

웅   화 : 당년지 하부생

꽃받침 : 4심렬 열편 3각형 3 x 2mm 선단급첨 염모 변연 유모 배면 단유모

화   관 : 호형 4mm 양면 단유모 5렬 열편 복와상배열 2 x 1.5mm 선단 염모 변연 단유모 외면 유모 내면 미유모

수   술 : 16매 매 2매 연생 복면 1매 교단 화사 유모 화약 선형 선단 점첨

자   방 : 퇴화 소 구형 정단 유모

꽃자루 : 7mm

자   화 : 산생 당년지 하부

꽃받침 : 4심렬 기부까지 열편 피침형 1 x 0.3cm 선단 급첨 변연 유모 외면 상부 척추 유모 내면 무모 섬세 요함 종맥

화   관 : 호형 3.5 x 4mm 4척상 백색 장유모 내면 단유모 4렬 열편 장원형 화약과 화관관 장유모 향외 반곡 정단 염모 변연 유모 내면 미유모 외면 유모

자   방 : 난형 장유모 밀생 4실

화   주 : 2 하부 장유모 주두 2천렬

화   경 : 섬세 1.8cm 유모

열   매 : 단생 구형 지름 2cm 눈시 황록색 유모 후 등황색 숙시 길홍색 납상 광택 무모 정단 소돌첨

종   자 : 2~4과 갈색 반구형 근3릉형 10 x 6mm 배부 교후

악   편 : 숙존 4심렬 혁질 장원상 피침형 1.6~2 x 0.4~0.6cm 선단급첨 종맥 명현

과   병 : 섬세 1.5~2.5cm

개화기 : 4~5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18도

 

웅화(좌)와 자화(우)
열매
열매 녹색에서 황색 그리고 흑갈색으로 변한다.
동아 및 줄기의 가시 그리고 종자
노아시 분재는 매우 고가에 거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