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우리집 화분에서 기르는 관상수 중 하나인 나비수국에 대하여 알아본다. 우간다와 케냐 등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열대식물이므로 영하에는 견디지 못하므로 실내에서 월동이 필수적이다. 나비 형상의 특이하게 생긴 푸른 꽃을 수시로 피워 나비라는 뜻의 영어이름 Butterfly bush를 얻었다. 우리나라 유통명 나비수국은 일견 그럴듯해 보이나 사실 이 나무는 수국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따라서 뒤에 엉뚱한 수국을 붙여서 앞으로 등록하더라도 그대로 인정되기는 어려울 듯하다. 나비꽃나무 정도면 좋았을 것을... 중국에서는 이를 남호접 또는 자호접으로 부르고 일본에서는 별도 이름이 없고 그냥 Clerodendrum ugandense를 영어발음으로 부른다.
학 명 : Rotheca myricoides (Hochst.) Steane & Mabb.
구학명 : Clerodendrum ugandense Prain 외
분 류 : 꿀풀목(Lamiales) 꿀풀과(Lamiaceae) 로테카속(Rotheca) 미등록 관목
유통명 : 나비수국
영어명 : Butterfly bush
원산지 : 우간다 등 열대 아프리카
내한성 : 영하 6도
크 기 : 2.5m
개화기 : 수시
프랑스 식물학자에 Rafinesque의하여 1,838년에 작은 티크(small teak)라는 뜻의 로테카라는 이름을 얻었으나 오랫동안 꿀풀과 클레로덴드룸속으로 분류되었다가 유전자 분석으로 다른 속으로 판명되어 아주 최근에 같은 꿀풀과 로테카속으로 별도 분리 독립되었다. 따라서 아직 많은 자료나 수목원 팻말에 이 나무의 학명이 Clerodendrum myricoides 또는 Clerodendrum myricoides 'Ugandense'로 나온다. 그리고 과거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던 많은 식물들이 이제는 꿀풀과로 이동 되어 이 로테카와 클레로덴드룸에 속하는 일부 식물과 우리 자생식물 누린내풀이 과거 속하였던 층꽃나무속(Cryopteris)이나 현재 속하는 트리포라속(Tripora) 등은 이제 꿀풀과로 분류되야 마땅하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정리되지 않은 것 같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우리집 화분
마냥 크는 나무는 아니지만 워낙 잘 자라는 나무라서 좁은 공간에서 제대로 키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수시로 잘라줘도 감당이 잘 안되어 예쁜 모습으로 키우기는 어렵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일본 유메노시마 열대식물관에서 본 것인데 여기도 아직 Clerodendrum 'Ugandense' 라는 이름을 달고 있었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일본 유메노시마 열대식물관에서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오른쪽은 야래향 (Cestrum Nocturnum L)인데 잎만 봐서는 구분이 잘 안된다.
나비수국(로테카 미리코이데스)
잎에 아무런 톱니가 없는 것은 야래향이고 잎 끝부분에 톱니가 있는 것이 나비수국이다.
====================================
다음은 우리나라 자생식물 가운데 이 나비수국과 꽃이 매우 흡사한 것이 있는데 그게 바로 누린내풀이라는 것이다. 비록 같은 나무는 아니고 풀이며 속은 다르지만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이므로 알아본다.
정 명 : 누린내풀
학 명 : Caryopteris divaricata (Siebold & Zucc.) Maxim.
신학명 : Tripora divaricata (Maxim.) P.D.Cantino
분 류 : 마편초과 (꿀풀과) 층꽃나무속 다년색초본
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
중국명 : 유 (莸 : 누린내풀유)
일본명 : 카리가네소우 (カリガネソウ : 雁金草)
크 기 : 1m
개화기 : 7~8월
특 징 : 성장하는 개화기에 불쾌한 누린내가 강하게 나서 누린내풀이라고 부른다.
이 풀 또한 층꽃나무속으로 분류하였으나 유전자 분석결과 별도의 Tripora속으로 분리 독립되었다. 이 Tripora속에는 이 누린내풀이 유일한 식물이다. 따라서 학명이 Caryopteris divaricata (Siebold & Zucc.) Maxim.이 아니라 Tripora divaricata (Maxim.) P.D.Cantino로 변경되었으나 우리나라에는 아직 변경되지 않고 있다.
누린내풀 (Tripora divaricata)
잎 모양이 좀 다르다
누린내풀 (Tripora divaricata)
.누린내풀 (Tripora divaricata)
확실히 초본 즉 나무가 아닌 풀같은 느낌이 확 온다.
'꿀풀과 > 꿀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3 층꽃나무 '퍼스트 초이스', '롱우드 블루', '우스터 골드', '서머 셔벗' 등 교잡 원예종 (0) | 2017.11.09 |
---|---|
402 층꽃나무, 아름다운 꽃이피며 중부지방 노지월동 가능한 초본같은 관목 (0) | 2017.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