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협죽도과

56 사막장미(Adenium obesum) - 석화라고도 하지만

낙은재 2016. 2. 23. 17:41

사막장미 (Adenium obesum)


우리집 나무 제대로 알기 이번에는 석화라고 알고 있던 다육식물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런데 처음부터 미궁에 빠진다. 석화(石花)는 동물로는 먹는 굴을 말하고 식물은 지의류(地衣植物)를 말한단다. 그럼 이 건 뭐지?  이럴 때 참으로 난감하다. 도대체 내가 키우는 식물의 정확한 품종 이름을 알아야 키우는 방법이나 병충해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정부에서 어떤 통제를 할 수 없다면 식물 수입하시는 분들 스스로라도 제품을 판매할 때 최소한 정확한 학명을 공개하였으면 좋겠다.


시중 유통업자들이 석화라고 출처가 불분명한 이름으로 부르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안 반도 원산인 이 열대 다육식물은 협죽도과 아데니움속 아데니움(Adenium)으로서 전세계적으로는 논란은 있지만 5 ~ 6종이 있다는데 우리나라에는 세계적으로가장 인기있고 널리 분포되어 있다는 Obesum과 multiflorum 두 종이 등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많이 들어 온 대표적인 품종 Obesum의 등록 정명이 [사막장미]이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사막의장미]라고 했는데 지금은 사막장미로 변경되어 있다. 이는 전세계적으로도 널리 통하는 이름 Desert rose의 한역이므로 사막장미로 부르고 그 근거를 알 수 없는 석화라고는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식물을 사랑하고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확한 제대로된 이름으로 불러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등록명 : 사막장미

학   명 : Adenium obesum Roem. & Schult.

분   류 : 협죽도과 아데니움속 반상록 다육성 관목

원산지 :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영어명 : Desert rose 외

중국명 : 사막매괴(沙漠玫瑰) 매괴는 장미라는 뜻

일본명 : アデニウム (砂漠のバラ), バラ=장미

높   이 : 2m

유독성 : 수액에 독성이 있어 독화살에 사용되었음

내한성 : 0도, 15도 이상 유지되어야 개화함

최적온 : 25 ~ 30도

개화기 : 봄 ~ 여름, 수주 동안

물주기 : 다육이에 준하여 매우 뜸하게 주어야 한다.

특   징 : 종자번식하면 종 특성 유지가 어렵고 삽목하면 몸통이 가늘어지는 성질이 있어 종자번식한 다음 접목하는 방식을 많이 이용하여 종 특성도 유지하고 줄기 몸통도 빠른 기간내에 굵게 만든다. 



사막장미 (Adenium obesum)

으로 추정은 되지만 아직 꽃을 못 봐서 정확하게는 알 수 없다.


사막장미 (Adenium obesum)

요건 사막장미가 분명해 보인다.


사막장미 (Adenium obesum)


사막장미 (Adenium obesum)


사막장미 (Adenium obesum)


등록명 : 멀티플로룸 아데니움

학   명 : Adenium obesum var. multiflorum (Klotzsch) Codd

영어명 : Impala lily

높   이 : 2m

내한성 : 5도

개화기 : 늦여름 ~ 가을 3 ~ 4개월

특   징 : 잎이 진 다음 가운데는 옅고 가장자리가 진한 붉은색 꽃을 한꺼번에 많이 피우며 줄기 몸통이 Obesum보다는 가늘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를 Adenium obesum의 변이종으로 보기도 하고 또는 독립된 종으로 Adenium multiflorum (Klotzsch) 보기도 한다.



멀티플로룸 아데니움


멀티플로룸 아데니움


멀티플로룸 아데니움


그 외 우리나라에는 등록되지 않았지만 아데니움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있다. 

Adenium boehmianum Schinz - Namibia, Angola

Adenium oleifolium Stapf - South Africa, Botswana, Namibia

Adenium swazicum Stapf - Eastern South Af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