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인동과/산분꽃나무속

118 수입 분꽃나무들 - 상

낙은재 2016. 5. 30. 14:33

부크워오디분꽃나무

우리나라 자생종 분꽃나무와 중국의 연관협미를 교잡하여 영국에서 개발한 원예종으로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우리나라에 무려 73개 종이 등록되어 있는 거대한 viburnum속 목본탐구의 여정이 이제 드디어 막바지에 이르렀다. 오늘은 수입 종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본다. 거의 모두들 등록명이 xxx분꽃나무로 되어 있는 것들이다. 이 들 중 두셋은 실제로 우리나라 분꽃나무의 교잡종이지만 나머지 대부분은 우리나라 자생종 분꽃나무와 특별한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고 그냥 이 속명 viburnum을 분꽃나무라고 번역하는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사실 이 속의 우리나라 이름이 만주 바이버넘(viburnum)이라고 불리는 산분꽃나무속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매우 못마땅하다. 코리안 바이버넘으로 불리는 분꽃나무속으로 되어 있다면 좋지않겠는가. 그나마 외래 수입종들의 이름을 xxx산분꽃나무로 하지 않은 것만도 다행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인가.


참고로 이 속명 viburnum은 우리나라에 란타나분꽃나무로 등록된 서양 자생종 viburnum lantana를 기본종으로 한 이름이다. 그리고 중국과 일본은 가막살나무를 기본종으로 하여 중국에서는 협미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가마즈미로 부른다. 우리도 그냥 중국과 일본을 좇아서 가막살나무속으로 해도 우리 자생종이므로 별 문제가 없었으련만 독자적으로 한다면서 왜 하필이면 시베리아지역이 주 원산지이며 상대적으로 덜 분포된 산분꽃나무속으로 정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이에 대하여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생각할 때마다 어색하여 다시 한번 반복하는 것이다.  


이 속의 우리 자생식물 15종은 이미 나름대로 탐구를 앞에서 마쳤는데 이를 바로가기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분꽃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4

산분꽃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5

가막살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2

덧잎가막살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3

산가막살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3

푸른가막살  http://blog.daum.net/tnknam/517

덜꿩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1

개덜꿩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1

가새덜꿩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1

배암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0

분단나무  http://blog.daum.net/tnknam/507

백당나무  http://blog.daum.net/tnknam/508

털백당나무  http://blog.daum.net/tnknam/508

불두화  http://blog.daum.net/tnknam/509

아왜나무  http://blog.daum.net/tnknam/516


우리 자생종은 아니지만 정원수로 자생종 이상으로 최근에 널리 보급된 인기 수종

설구화  http://blog.daum.net/tnknam/506

털설구화  http://blog.daum.net/tnknam/505


그럼 여기서부터 수입 외래종 xxx분꽃나무들을 구경한다.


등록명 : 분꽃나무 '프라겐스'

학  명 : Viburnum 'Pragense'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상록 관목

특  징 : 중국 원산 우단아왜나무(추엽협미)와 연관협미의 교잡종으로서 상록이며 5월에 개화하며 우리나라 노지월동도 가능하다. 핑크색 봉우리에 크림색 꽃이 피며 약한 향기도 있다. 키는 3 ~ 4m까지 자란다.


분꽃나무 '프라겐스'


분꽃나무 '프라겐스'


등록명 : 벚잎분꽃나무

학  명 : Viburnum prunifolium L.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영어명 : blackhaw viburnum

꽃색상 : 백색

수  고 : 4 ~ 5m

내한성 : 매우 강함, 영하 37도


벚잎분꽃나무


벚잎분꽃나무


등록명 : 라피네스퀴아눔분꽃나무

학  명 : Viburnum rafinesquianum Schult.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영어명 : Downy Arrowwood

종소명 rafinesquianum는 19세기 식물학자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라피네스퀴아눔분꽃나무


라피네스퀴아눔분꽃나무


라피네스퀴아눔분꽃나무



등록명 : 레코그니툼분꽃나무

학  명 : Viburnum recognitum Fernald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영어명 : Southern Arrowwood


레코그니툼분꽃나무


레코그니툼분꽃나무


레코그니툼분꽃나무



등록명 : 세티게룸분꽃나무

학  명 : Viburnum setigerum Hance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다협미(茶荚蒾)

수  고 : 4m


세티게룸분꽃나무


세티게룸분꽃나무


세티게룸분꽃나무



등록명 : 수스펜숨분꽃나무

일반명 : 오모수

학  명 : Viburnum suspensum Lindl.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일본명 : ゴモジュ(胡麻樹), 五毛樹

중국명 : 류구협미(琉球荚蒾)

수  고 : 3m

내한성 : 매우 약하여 노지월동 불가, 영하 7도

잎에서 참깨 냄새가 난다고 호마수인데 호마(胡麻)는 참깨를 뜻하는 일본어인데 그 발음이 한자 五毛樹와 비슷하여 일부에서 오모수라고도 부른다는 설과 수목에 털이 많아서 오모수라고 한다는 설이 일본에 있다. 중국명 류구는 일본 규슈 남쪽에서 타이완 동쪽에 까지 뻗어있는 류쿠제도를 뜻한다.


수스펜숨분꽃나무


수스펜숨분꽃나무


수스펜숨분꽃나무



등록명 : 세잎분꽃나무 '나나'

학  명 : Viburnum trilobum 'Nana'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영어명 : American Cranberry bush Viburnum

수  고 : 3m


세잎분꽃나무 '나나'



등록명 : 부크워오디분꽃나무

학  명 : Viburnum burkwoodii Hort.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관목

수  고 : 2.5m

19세기 영국에서 우리나라 분꽃나무와 중국의 연관협미(Viburnum utile Hemsl)를 교잡하여 개발한 원예종으로서 영국왕실원예협회의 상도 받은 바 있는 유럽에서 매우 인기있는 수종이다. 국내 어느 수목원에 있는지 우리 분꽃나무의 개량종이라니까 관심이 간다. 종소명 burkwoodii는 20세기 영국의 육종학자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부크워오디분꽃나무


부크워오디분꽃나무


부크워오디분꽃나무



등록명 : 카를케팔룸분꽃나무

학  명 : Viburnum carlcephalum Burkwood ex R. B. Pike

분  류 : 인동과(연복초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관목

개화기 : 초여름 (여타 분꽃나무보다 늦다.)

우리나라 분꽃나무와 중국의 수구협미(Viburnum macrocephalum Fort.)를 교잡하여 개량한 원예종으로서 꽃이 아름다운데다가 향기도 좋고 잎 또한 하트모양을 하고 있어 위의 부크워오디분꽃나무와 마찬가지로 이 또한 영국왕실원예협회로 부터 Royal Horticultural Society's Award of Garden Merit를 수상한 바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바이버넘속 나무인 분꽃나무와 중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며 백낙천이 자양화라는 시를 써서 그 아름다움을 찬양한 목수구 즉 수구협미의 교잡이라는 데서 매우 흥미가 간다. 참고로 중국 수구협미는 꽃 모양이 우리나라 불두화와 같은 구형이다. 따라서 이 교잡종의 꽃은 거의 구형에 가깝다. 국내 어디에 있는지 찾아가 보고픈 마음이 생긴다.


카를케팔룸분꽃나무


카를케팔룸분꽃나무



위 : 부크워오디분꽃나무

아래 : 카를케팔룸분꽃나무


카를케팔룸분꽃나무


카를케팔룸분꽃나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