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먼나무
많은 사람들이 이 나무를 개동청목이라고 부른다.
감탕나무속으로 등록된 368종의 식물 중에서는 우리 자생식물은 단 7개 뿐이다. 앞에서 이미 살펴 본 감탕나무와 먼나무 외에 대팻집나무와 민대팻집나무 그리고 꽝꽝나무, 좀꽝꽝나무 및 호랑가시나무가 우리나라 자생종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낙상홍은 우리나라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 이상하게 우리만 건너뛰고 중국과 일본에서 자생하는 감탕나무속 수종들이 많다. 낙상홍 외에도 동청목이니 개동청목이니 하는 것들도 마찬가지이다. 내한성이 약한 남부수종이라면 지리적 여건이 부합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 중부 지방에서도 노지월동이 충분히 가능한 내한성이 매우 강한 낙상홍이나 동청목 같은 품종도 중국과 일본에서만 자생한다는 것이 의아하다.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이번에는 우리 자생종은 아니지만 감탕나무속 수종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먼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 나무를 자생종들 보다 먼저 탐구하는 것은 이 나무의 중국 이름이 바로 동청(冬青)인데 우리나라 인터넷상에 동청목과 개동청목에 대하여 정확하지 않거나 상호모순된 정보가 난무하고 있어 이를 파악하고 넘어가려는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동청(冬青)은 좁게는 특정수종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해당 속과 과를 대표하는 종으로 인식하여 우리가 감탕나무속 감탕나무과로 부르는 것을 동청속 동청과로 부른다. 이미 앞에서도 알아봤지만 중국에서는 감탕나무는 전연동청(全缘冬青)으로 먼나무는 철동청(铁冬青)으로 부르는 등 중국에 분포하는 약 200여 종의 감탕나무속 수종들을 거의 대부분 xx동청으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중국에서 좁은 의미로 특정수종을 지칭하여 부르는 동청(冬青)이란 나무는 우리나라에 등록된 동청목(冬青木)과는 다른 나무라는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동청목으로 등록된 학명 Ilex pedunculosa인 나무는 중국에서는 구병동청(具柄冬青)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중국의 200여 개의 xx동청 중 하나일 뿐이며 중국의 수 많은 동청을 대표하는 수종도 아니다. 우리가 구병동청을 동청이라고 한 이유는 일본을 따라한 것으로 보인다. 다른 웬만한 수종은 일본에서도 자생하므로 일본이름과 한자표기가 따로 있는데 이 구병동청은 일본에서 자생하며 소요고라는 일본이름이 따로 있는데 어쩐지 한자표기는 중국이름의 끝만 따서 동청(冬青)이라고 쓰는 것이다.
그런데 요즘 우리나라 항간에서는 뭐가 동청이고 뭐가 개동청인지 확실하지 않은 정보가 뒤죽박죽되어 난무하고 일부에서는 막연히 개동청은 일본원산이라고 운운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전문가들조차 중국의 구병동청(具柄冬青)을 동청목으로 중국의 동청(冬青)을 개동청목으로 이름하여 비교한 연구자료도 보인다. 대부분 개동청은 일본에서 온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동청목이라는 정명이 있는 구병동청을 개동청이라고도 하여 매우 혼란스럽다. 이러는 분들 대부분은 마치 세상에 동청목과 개동청목 두 종류 뿐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것 같다. 그럼 지금부터 여기에 대하여 자세하게 밝혀보자.
우선 개동청목이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에 등록된 정식 명칭이 아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개동청목이라고 부르는 학명 Ilex chinensis 또는 Ilex purpurea로 표기하는 나무의 정체는 중국에서 동청(冬青)이라고 부르는 나무인데 이 나무의 우리나라의 등록 정명은 [중국먼나무]이다. 이름은 중국먼나무이지만 일본에서도 자생하며 일본 이름은 나나미노키(ナナミノキ)이다. 일본 이름의 유래는 열매가 많이 달리기 때문이라는 설(七実の木)과 열매가 길쭉하기 때문이라는 설(斜めの木)이 분분하여 명확하지 않다.
그렇다면 비교를 하려면 국명 기준으로 동청목과 중국먼나무를 비교하던지 아니면 중국명 기준으로 구병동청과 동청을 비교하는 것이 옳다. 식물학자들이 중국의 구병동청을 일본의 한자표기를 따라서 동청목으로 국명을 정한 이상 동청목이라고 부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진짜 중국 동청(冬青)을 우리나라 등록명인 중국먼나무를 제쳐두고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다른 이름으로 얼마든지 부를 수는 있으나 아무런 근거도 없이 개동청으로 취급한다는 것은 그 식물에 대한 예의(?)가 좀 아니라고 본다. 개라는 접두사는 식물에서는 '비슷한 종'이라는 뜻도 있지만 대개 '참보다 못한 또는 야생인 종'을 이르는 것이 아니던가.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거듭 강조하지만 오늘 탐구할 이 수종을 우리는 우리나라 등록명대로 중국먼나무로 불러야 마땅하다. 그리고 그래야만 혼란이 없다.
국명(등록명) | 유통이명 | 학 명 | 중 국 명 | 일 본 명 | 원산지 | 특 징 |
중국먼나무 | 개동청목 | Ilex chinensis | 동 청(冬青) | ナナミノキ(七実の木) | 중국, 일본 | 잎거치 유, 열매 타원형 |
동 청 목 | 개동청목 | Ilex pedunculosa | 구병동청(具柄冬青) | ソヨゴ(冬青) | 중국, 일본 | 긴 열매자루, 거치 없음 |
동청목
학명 Ilex pedunculosa이나 중국명 구병동청(具柄冬青)은 모두 열매자루가 길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동청목 Ilex pedunculosa
열매도 구형이라서 약간 길쭉한 타원형인 중국먼나무와 구분이 된다.
먼나무 Ilex rotunda
중국먼나무
꽃색상에서 먼나무와 구분이 된다.
먼나무 Ilex rotunda
잎에 거치가 없어 둔한 거치가 있는 중국먼나무와 구분이 되며 먼나무 열매는 동그랗다.
가끔 사철나무를 동청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으며 실제로 인터넷 국어사전에 동청목을 치면 사철나무라고 나온다. 이는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고 국가표준식물목록 사철나무에 다양한 이명이 등록되어 있는데 동청목도 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 유래는 아마 사철나무의 중국이름이 동청위모(冬青卫矛)이기 때문일 것이다. 학명이 Euonymus japonicus인 사철나무는 감탕나무과와는 좀 거리가 있는 노박덩굴과의 화살나무속 상록 관목인데 화살나무속을 중국에서는 위모속(卫矛屬)이라고 하며 화살나무는 위모(卫矛)라 한다.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상록 관목
등록명 : 중국먼나무
학 명 : Ilex chinensis Sims
이 명 : Ilex purpurea Hassk.
분 류 :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중국, 일본
중국명 : 동청(冬青), 冻青
일본명 : 나나미노키(ナナミノキ : 七実の木), ナナメノキ(斜めの木)
성정체 : 자웅이주
수 고 : 13m
수 피 : 회흑색, 당년지 천회색, 원주형, 구세릉
가 지 : 불명현 소피공, 엽흔신월형, 볼록
잎특징 : 박혁질, 혁질, 타원형혹 피침형, 희란형
잎크기 : 5~11 x 2~4cm
잎모양 : 선단점첨, 기부설형혹둔, 변연원치, 유엽거치
잎색상 : 녹색, 광택, 심갈색, 배면 담록색, 주맥평면, 배면 융기
잎측맥 : 6~9대, 엽표면 불명현, 배면명현, 무모
잎자루 : 8~10mm, 상명평 혹 착구
웅화서 : 3~4회 분지, 총화경 7~14mm, 2차축 2~5mm, 화경 2mm, 무모, 매분지7~24송이
꽃색상 : 담자색 혹 자홍색, 4~5기수
꽃받침 : 천배상, 렬편활란상3각형, 가장자리 모, 화관복상, 5mm, 화판란형,2.5mm x 2mm, 개방시 반절, 기부합생
꽃수술 : 화판비 짧음, 1.5m, 화약 타원형, 퇴화자방원추상, 1mm
자화서 : 1~2회분지, 3~7화, 총화경 3~10mm, 2차지 발육부실, 화경 6~10mm
꽃받침 : 수술과 동일, 퇴화수술 화판의 1/2, 패육화약 심형, 자방란구형, 주두불명현 4~5렬, 후반형
열 매 : 장구형, 성숙시 홍색, 10~12 x 6~8mm
분 핵 : 4~5, 협피침형, 9~11 x 2.5mm, 배면평활, 오목, 단면 3릉형, 내과피후혁질
개화기 : 4~6월
결실기 : 7~12월
용 도 : 정원수, 목재 견인, 세공원료, 완구, 조각, 공구손잡이
약 용 : 수피와 열매 강장제 살균작용, 잎 청혈이습, 진통효과, 패염, 인후염, 이질, 담도감영 등
이 나무를 천리수목원에서는 한 때 자주호랑가시라는 명패를 달았다고 하는데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다. 자주색 꽃이 피고 잎자루가 자주색이므로 아마 중국먼나무라고 등록하기 전에 그렇게 불렀을 수도 있다. 역사가 깊은 수목원일수록 그런 경우가 많다.
이 중국먼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초기에 개동청목으로 알려지면서 그 이름 때문에 동청목과 비교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는 동청목 보다는 잎자루가 자색인 등 먼나무와 느낌이 비슷하다. 그래서 우리나라 이름도 중국먼나무로 명명한 것 같다. 감탕나무속 전체를 xx동청으로 일관되게 명명한 중국에 비하면 xx감탕나무라고 하지 않아서 일관성은 없어 보이지만 그래도 우리 자생종 감탕나무속 중에서 가장 비슷한 먼나무에다가 갖다 붙인 것은 센스가 있다고 판단된다. 실제로 감탕나무속을 세분하면 중국먼나무와 먼나무는 같은 단서조(單序組)로 분류되어 왜성조(矮性組)로 분류되는 동청목보다는 가깝다. 먼나무와 구별은 잎의 거치와 꽃차례 및 색상 그리고 열매의 모양이다. 중국먼나무는 잎에 둔한 거치가 있고 열매가 구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길쭉하여 먼나무와 구분이 된다. 그리고 꽃 색상도 중국먼나무가 자홍색이 더 짙다. 분류학상 단서조 내에서 중국먼나무는 취산화서계로 먼나무는 산형화서계로 다시 세분된다.
우리 자생종 먼나무는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만 노지월동이 가능하다. 이 중국먼나무는 내한성이 더 약하여 동경보다 더 남쪽지방인 시즈오카현에서 많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동경시내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먼나무와 대비가 된다. 중국에서도 상해와 위도가 비슷한 호북성 정도가 최북단 자생지이다. 그러나 동청목 즉 중국 구병동청은 내한성이 강하여 국내 어디서도 노지월동이 가능하다. 다만 감탕나무속 나무들은 자웅이주라서 예쁜 열매를 감상하려면 암수그루가 따로 필요하다. 반드시 내 마당에 수그루가 있을 필요는 없다. 인근에 농장이 있거나 이웃집에 수그루가 있어도 결실은 된다.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열매가 타원형인 것이 특징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어린 잎에는 제법 날까로운 거치도 있다.
중국먼나무
잎자루가 자색이다.
중국먼나무 웅화
중국먼나무 웅화
중국먼나무 자화(암꽃)
중국먼나무 자화(암꽃)
중국먼나무 자화(암꽃)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중국먼나무 종자
'기타 과 식물 > 감탕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3 대팻집나무 - 목공구 대패의 집을 만드는 나무 (0) | 2016.12.19 |
---|---|
222 꽝꽝나무 (0) | 2016.12.18 |
221 동청목(冬靑木) - 중부지방 월동가능한 최고의 상록 정원수 (0) | 2016.12.17 |
219 먼나무 ← 먹나무 ← 먹낭 (0) | 2016.12.14 |
218 감탕나무 - 새 잡는 끈끈이를 만드는 나무 (0) | 2016.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