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탕나무
감탕나무
이제 참나무과는 뒤로하고 감탕나무과로 넘어간다. 우리나라 참나무과의 대표이랄 수 있는 참나무와 밤나무의 탐구는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학명 Aquifoliaceae로 표기되는 감탕나무과는 고대 화석에서는 발견되지만 현존하는 식물로는 유일하게 학명 Ilex로 표기되는 감탕나무속만 존재한다. 전세계적으로 400 ~ 600종이 분포한다는데 우리나라에도 변종과 원예종 포함 무려 368종이나 되는 방대한 식물이 등록되어 있다. 그 대부분은 천리포수목원의 다양한 호랑가시나무 컬렉션 때문이다. 이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에는 호랑가시나무외에도 대팻집나무 낙상홍 먼나무 꽝꽝나무 동청목 등 다소 친숙한 나무들도 많이 분포한다. 오늘부터는 이들을 하나하나 탐구할 예정이다.
이 감탕나무속의 모식종은 구주호랑가시로 등록된 Ilex aquifolium이다. 재미있는 것은 감탕나무과의 학명 aquifoliaceae는 이 구주호랑가시의 종소명 aquifolium에서 유래된다. 대개 유일속일 경우 속명이 그대로 과명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는 모식종의 종소명이 과명이 되었다는 것이다. 여하튼 구주호랑가시의 종소명이나 과명은 앞에서 탐구한 지중해 원산 참나무의 일종인 호랑잎가시나무의 잎과 비슷하다는 뜻이며 속명 Ilex는 holly를 뜻하는 라틴어 이다. 서양에서는 그렇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감탕나무를 기본종으로 봐서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으로 부른다. 이는 다분히 감탕나무를 뜻하는 모치노키과 모치노키속으로 부르는 일본의 영향이 크다고 본다. 자생 호랑가시나무가 없는 일본에서는 감탕나무가 매우 인기있는 정원수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동청(冬靑)과 동청속으로 부르는데 이 동청은 우리나라에 중국먼나무로 등록된 Ilex chinensis이다. 이를 정리하며 다음과 같다.
구 분 | 과 | 속 | 기본종 |
학 명 | Aquifoliaceae | Ilex | Ilex aquifolium(구주호랑가시) |
우 리 나 라 | 감탕나무과 | 감탕나무속 | Ilex integra(감탕나무) |
중 국 | 동청과 | 동청속 | Ilex chinensis(중국먼나무) |
일 본 | 모치노키과 | 모치노키속 | Ilex integra(감탕나무) |
오늘 탐구할 대상은 감탕나무이다. 위에 보듯이 감탕나무는 학명으로 Ilex integra라고 하는데 이는 잎의 톱니가 없다는 뜻이다. 우리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그리고 네팔 등지에서도 자생하는데 중국이름은 전연동청(全缘冬青)으로서 이 또한 잎의 톱니가 없고 밋밋하다는 뜻이다. 일본이름은 이 나무 수피로 새를 잡는 끈끈이 반죽을 만들었기 때문에 거기서 유래하는 도리모치(鳥黐 :とりもち)라 부르다가 나중에는 그냥 모치노키(モチノキ : 黐の木)로 부른다. 끈끈이를 뜻하는 黐(리)의 일본 발음이 떡을 뜻하는 餠(병)과 같아서 이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나라 감탕나무의 이명에 [떡가지나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다분히 모치를 오해한 결과로 보인다. 이 끈적끈적한 모치(黐)를 가지 끝에 발라서 새를 잡은 것은 맞지만 이를 떡이라고 해서는 곤란하다. 또 다른 이명 [끈제기나무]는 그런 의미에서 납득이 가는 이름이다.
도리모치(鳥黐 :とりもち) 끈끈이에 걸린 새
우리 이름 감탕은 한자어 甘湯으로 더러 표기되는데 이는 원래 엿을 곳거나 메주를 쑨 다음 단맛이 나는 국물이나 액체를 말한다. 그런데 감탕은 아교나 송진을 끓여 만든 끈적이는 걸쭉한 액체 풀을 뜻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순수 우리말은 아닐지라도 甘湯이란 한자어로 표기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감탕나무를 甘湯나무로 표기하는 것은 올바르다고 할 수는 없다. 여하튼 우리 이름도 새를 잡기 위한 끈적이를 만드는 나무라는 뜻에서 온 것이 분명해 보인다. 다만 그 이름이 일본의 영향을 받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감탕나무과 나무 수피로 끈적이를 만들어 새를 잡은 것은 오래 전부터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된 방법이다. 서양에서는 이를 birdlime이라고 하며 남아프리카에서는 겨우살이 열매를 이용하였고 유럽에서도 서양 호랑가시나무를 이용하였다고 한다. 고대 사회에서는 새를 잡는 것은 단백질을 공급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므로 지금의 사냥 취미 정도로 생각하면 안될 생존의 문제이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을 것이고 우리라고 예외일 수는 없으므로 일단 감탕나무는 우리 독창적인 이름일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즉 서양의 birdlime이나 일본의 도리모치나 우리의 감탕은 모두 같은 의미가 된다.
감탕나무 수피로 감탕(甘湯)을 만드는 과정
꽝꽝나무나 가막살나무 수레나무 먼나무 구주호랑가시 등으로도 만든다.
원시 문화는 대륙에서 우리나라로 도입되고 그다음 우리로부터 일본으로 전파되는 것이 올바른 순서이겠지만 식물이름에 관한한 일찌기 서양의 선진지식을 배운 일본학자들이 나중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전국의 식물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목록을 만들고 그 이름을 명명하였기에 애석하게도 일본 영향을 고스란히 받았다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널리 불리던 이름이 아니라면 거의 모두 그 때 붙여진 이름이기에 기존 일본이름의 한역 다름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래서 식물 이름의 유래를 파악할 때 맨 먼저 일본이름을 찾아보게 되는 것이다. 식물에 관하여 무지했던 과거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지금이라도 노력하여 식물주권국으로서의 제자리를 찾아야 할 터인데 그 누구도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 같아 전혀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등록명 : 감탕나무
학 명 : Ilex integra Thunb.
분 류 :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상록 소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네팔 등
중국명 : 전연동청(全缘冬青),
일본명 : 모치노키(モチノキ : 黐の木)
영어명 : Nepal Holly
성정체 : 자웅이주
수 고 : 6 ~ 10m
수 피 : 회백색
소 지 : 조장, 다갈색, 세로주름, 타원형돌기피공, 거침, 무모, 피공반원형, 당년지 세로홈, 무모
정 아 : 난상원추형
액 아 : 난원형, 무모
잎특징 : 생1~2년지, 엽편후혁질, 도란형혹 도란상타원형, 희도피침형
잎크기 : 3.5~10 x 1.5~3.5cm
잎모양 : 선단둔원, 단관둔두, 기부설형, 전연
잎색상 : 심록색, 배면담록색, 양면무모
주 맥 : 주맥 평면 혹 오목, 배면 융기
측 맥 : 6~8대, 사승, 가장자리 부근 망맥 연결, 가견 혹 불명현, 배면돌출
망상맥 : 표면 불명현, 배면 약간명현
잎자루 : 10~15mm, 무모, 상면종조, 배면반원형, 횡추문, 상반단엽편하연 협시
탁 엽 : 무
꽃차례 : 취산화서 생 당년지의 엽액내, 매분지 1~3송이, 기부아린혁질, 난원형, 다수
웅화서 : 3개 꽃, 총화경 짧음, 화경 3~5mm, 무모, 근기부 2매 난형, 1~1.5mm 길이, 연모 소포편
웅 화 : 4기수, 꽃받침 반상, 직경3mm, 4심렬, 열편 난형, 장 1~1.5mm, 무모
화 관 : 복상, 직경 7mm, 화판장원상타원형, 3.5mm x 2mm
수 술 : 꽃잎과 같은 길이, 꽃밥 란상장원형, 퇴화자방 반원형, 정단오목
열 매 : 1~3립 족생, 당년지의 엽액내, 구형, 직경10~12mm, 성숙시 홍색, 숙존화악평전, 윤곽근원형, 원형렬편, 무모, 중앙오목, 4렬
과 경 : 7~8mm, 무모, 종추문, 기부 2매 란형 숙존 소포편
분 핵 : 4, 관타원형, 장7mm, 배부 지름4mm, 배면불규칙추릉와혈, 양측면 종릉도랑, 혹 와혈
내과피 : 근목질
개화기 : 4월
결실기 : 7~10월
학명의 종소명 integra나 중국이름 전연동청(全缘冬青)에는 잎에 거치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중국이나 일본의 도감에도 거치가 없는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실제로 중국과 일본의 감탕나무에는 톱니가 거의 안보이지만 우리나라 감탕나무는 두세 개 정도의 가시톱니가 있는 잎도 섞여 있으며 도감에도 그렇게 설명되어 있다. 종이 다르지 않다면 잎의 변이가 있다고 봐야 할지 아니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감탕나무는 호랑가시나무와의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교잡종인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그렇다면 정말 감탕나무와 호랑가시나무와의 교잡에 의하여 태어난 완도호랑가시나무와의 차이점도 관심사다.
감탕나무
두세 개 정도의 가시톱니가 있는 잎이 섞여 있다.
모치노키(モチノキ : 黐の木)
일본 감탕나무인데 아무리 봐도 거치가 없다.
전연동청(全缘冬青)
중국 감탕나무인데 여기도 거치가 전혀 없다.
감탕나무와 호랑가시나무의 교잡종인 완도호랑가시나무
한택수목원
감탕나무와 호랑가시나무의 교잡종인 완도호랑가시나무
천리포수목원
우리나라는 제주도나 남부 일부 지방에서만 자라 오래된 나무는 흔하지도 않아서 보길도의 수령 300년 된 고목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동경 이북 지방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자생하는 나무이다. 게다가 일본은 호랑가시가 자생하지 않아서인지 겨울에 빨간 열매가 달리는 이 나무 정원수로 무척 인기가 높아 후피향나무와 목서와 더불어 정원수의 왕으로 불리기도 하며 한편에서는 후피향나무와 목서 그리고 가시나무 및 잣밤나무 등과 더불어 5대정원수(五大庭木)로 꼽히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는 죽백나무 대신으로 심어져 있는 신사를 제외하면 야생에서는 거의 볼 수 없어서 안타까워 하고 있어 마치 우리나라 자작나무 군락지가 사라진 것과 비슷하다.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엽아
감탕나무 엽아
감탕나무 엽아
감탕나무 화아
감탕나무 화아
감탕나무 어린 가지에 홈이 있다.
감탕나무 화아
감탕나무 화아
감탕나무 화아
감탕나무 웅화
감탕나무 웅화
감탕나무 웅화
감탕나무 웅화
감탕나무 자화(암꽃)
감탕나무 자화(암꽃)
감탕나무 자화(암꽃)
감탕나무 자화(암꽃)
감탕나무 자화(암꽃)
수술은 퇴화된 모습이다.
감탕나무 수피
=====================================
유사종 비교
같은 감탕나무과 먼나무이다.
먼나무
좌 먼나무, 우 감탕나무
먼나무는 잎이 접혀지고 잎자루에 붉은 빛이 돈다.
후박나무
잎맥이 선명하게 보인다.
'기타 과 식물 > 감탕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3 대팻집나무 - 목공구 대패의 집을 만드는 나무 (0) | 2016.12.19 |
---|---|
222 꽝꽝나무 (0) | 2016.12.18 |
221 동청목(冬靑木) - 중부지방 월동가능한 최고의 상록 정원수 (0) | 2016.12.17 |
220 중국먼나무 - 동청목과 개동청목의 정체 (0) | 2016.12.16 |
219 먼나무 ← 먹나무 ← 먹낭 (0) | 2016.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