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19 먼나무 ← 먹나무 ← 먹낭

낙은재 2016. 12. 14. 21:18

 먼나무


감탕나무속 나무들 중에서 가장 크게 자란다는 먼나무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보길도 등 극히 제한된 남부 지역에서만 자라는 수종이다. 겨울이면 아름다운 빨간 열매를 이듬해 봄까지 오랫동안 달고 있어 시선을 끄는 나무이다. 그래서 제주도 외에도 부산 여수 순천 함평 등 남부 여러 도시에서 최근에 앞다투어 가로수로 심은 나무이다. 우리 이름 먼나무에 대하여는 다양한 유래설이 제기되지만 주 분포지 제주도 방언으로 먹낭이라고 하던 것이 먹나무 먼나무로 변천하여 온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먹은 검정색을 상징한다. 여기서 다시 두 가지 설명으로 나뉜다. 하나는 이 나무 수피가 검은 것에서 왔다는 설명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잎이 낙엽이 되거나 망가져 수분이 빠지면 검게 변하는 것에서 왔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수피는 회백색인 경우가 많아서 먹색깔이라고 하기에는 좀 어색해 보인다. 그 반면 잎은 건조할 경우 확실하게 먹과 같이 검게 변하므로 잎의 검은 색에서 먹나무라는 이름이 유래한다는 설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먼나무 회백색 수피

먹색깔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먼나무

잎의 조직이 파괴되어 수분이 빠지면 검게 변한다. 이래서 먹나무로 불리다가 먼나무가 되었다.


먼나무

낙엽도 나중에는 검게 변한다.


이 나무는 스웨덴 출신 동인도회사 직원이자 식물학자인 튠베리가 학계 처음 보고한 것이다. 그는 1775년 부터 일본에 2년간 체재하면서 여러 식물을 발굴 보고하여 일본 식물학계에서는 그를 일본의 린네라고 일컬어 칭송하지만 우리나 중국 입장에서는 불만인 점도 많다. 그 이유는 동양 3국에 고루 자생하는 식물 중 엄청나게 많은 종류를 일본이름이 들어가게 명명하였기 때문이다. 그의 입장에서는 짧은 일본 체류기간 동안 일본에서 보고 조사한 것만 파악한 것이라서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 중국 입장에서는 못마땅하다. 예를들면 우리나라 산하에 흔하디 흔한 작살나무의 경우 Callicarpa japonica Thunb.로 마치 외견상 일본 고유종 같이 명명되어 있는 것이다. 


우리 자생종인데도 튠베리에 의하여 이런 식으로 명명된 것이 아마 수십 종은 될 듯하다. 제비쑥, 개엉겅퀴, 등골나물, 큰각시취, 말오줌때, 사철나무, 인동덩굴, 오리나무, 박주가리, 식나무, 비쭈기나무, 사스레피나무, 까마귀쪽나무, 왜승마, 광나무, 좀가지풀, 함박이, 팔손이, 갯기름나물, 나도생강, 개찌버리사초, 참새귀리, 각시그령, 자금우, 풀명자, 뱀무, 상산, 동백나무겨우살이, 광릉요강꽃, 갈매기난초, 실고사리, 빌레나무, 선바위고사리, 진고사리, 가지고비고사리,고비, 당오동 등등이다. 이 식물들은 모두 속명 뒤에 xxx japonica Thunb.이 붙어서 외견상 마치 일본 고유종인양 느낌을 주게 명명되어 있다. 헐!!! 그 사람 참 부지런하기도 했다.


이 먼나무에도 일본이란 명칭을 붙이지 않은 것을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그는 톱니가 없는 잎의 모양을 보고 rotunda로 명명하였지만 우리나라를 비롯 동양 3국에서는 모두 검은 색을 연상하는 이름으로 부른다. 우리는 먹나무에서 와전된 먼나무로 중국은 철동청(铁冬青)이라고 하고 일본은 쿠로가네모치(クロガネモチ : 黒鉄黐)라고 하는데 모두 검정색과 관련이 있다. 일본은 잎이 건조해지면 철과 같이 검푸른 색으로 변하는 것을 두고 이름한 것이라고 한다. 아마 중국도 같은 맥락일 것으로 보인다. 일본이름 끝에 모치(黐)가 붙은 것은 감탕나무와 마찬가지로 이 나무 수피로도 새를 잡는 끈끈이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이 나무 이름의 가네모치가 [고생후에 부자]라는 뜻의 일본 문귀 [苦労の後に金持ち] 뒷 부분 부자라는 뜻의 持ち(가네모치)와 발음이 동일하여 복을 주는 나무라고 주택가나 정원에 특히 많이 심는다. 


그런데 이 나무의 중국 별명들이 재미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생약명이기도 한 구필응(救必應)인데 이는 "구하면 반드시 응한다." 라는 뜻인데 마치 마태복음의 "구하라 그러면 얻을 것이다."라는 문귀 같은 느낌이다. 그만큼 약효가 있다는 이야기로 들리는데 그 외에도 다양한 별명이 있는 것만 봐도 중국에서는 이 나무의 잎과 수피의 약효를 대단하게 인정하는 것 같다. 그 외 별명으로는 웅담목(熊胆木)、백은향(白银香)、백은목(白银木)、과산풍(过山风)、홍웅담(红熊胆)、양불식(羊不食)、칠성향(七星香)、만자천홍(万紫千红) 등이 있다. 한의학에 문외한인 사람으로서 양이 왜 이 나무를 안 먹는지 그리고 이 왜 웅담이라고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이름만 들어봐도 이 먼나무는 약재로서도 그 아름다운 모습 만큼이나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만자천홍이라는 것은 이 나무 어린 가지와 잎자루 색깔이 자색이고 열매는 홍색인 것을 비유한 이름으로 보인다. 웅담나무라!!! 


등록명 : 먼나무

이  명 : 좀감탕나무

학  명 : Ilex rotunda Thunb.

분  류 :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베트남 

중국명 : 철동청(铁冬青)

일본명 : 쿠로가네모치(クロガネモチ : 黒鉄黐)

영어명 : round leaf holly

성정체 : 자웅이주

수  고 : 10m (최대 20m), 흉경 1m

수  피 : 회백색, 회흑색

수  지 : 원주형, 세로 줄, 엽흔 도란형 삼각형, 약간 융기, 피공 불명현

당년지 : 세로 능선, 무모, 희미유모

정  아 : 원추형, 소

잎특징 : 엽생 당년지 상, 엽편 박혁질 혹 지질, 란형, 도란형 타원형

잎크기 : 4~9 x 1.8~4cm

잎모양 : 선단 점첨, 기부 설형 혹 둔, 전연, 약간 반권

잎색상 : 녹색, 배면 담록색, 양면 무모

잎면맥 : 상면 주맥 오목, 배면 볼록, 측맥 6~9대, 양면 명현, 가장자리 망맥연결, 망상맥 불명현

잎자루 : 8~18mm, 무모, 희다소피미유모, 상면 협구, 정단엽편하연적협시

탁  엽 : 침상선형, 1~1.5mm, 조락

꽃차례 : 취산화서 산형상화서, 단생 당년지 엽액내

웅화서 : 총화경 3~11mm, 무모, 화경 3~5mm, 무모 혹 미유모, 기부란상 삼각형, 소포편 1~2매 혹 무

꽃색상 : 백색, 4기수

꽃받침 : 반상, 직경 2mm, 미유모, 4천렬, 열편활란상삼각형, 장0.3mm, 무모, 무연모

화  관 : 복상, 직경5mm, 화판 장원형, 2.5mm x 1.5mm, 개방시 반절, 기부초합생

꽃수술 : 꽃잎보다 김, 꽃밥 란상타원형, 종렬, 퇴화자방점상, 중앙 1mm 부리, 부리끝 5~6렬

자화서 : 3~7화, 총화경 5~13mm, 무모, 화경 3~8mm, 무모 혹 미유모

꽃색상 : 백색, 5~7기수

꽃받침 : 천배상, 직경2mm, 무모, 5천렬, 렬편3각형, 교치상

화  관 : 복상, 직경4mm, 화판도란상장원형, 장2mm, 기부초합생

퇴화술 : 수술장 화판의 1/2, 패육화약 란형, 자방란형, 장1.5mm, 화두두상

열  매 : 근구형 혹 타원형, 4~6mm, 성숙시 홍색, 숙존화악평전, 3mm, 천렬편 삼각형, 무연모, 숙존화두후반상, 볼록, 5~6천렬

분  핵 : 5~7개 타원형, 장5mm, 배부 2.5mm, 배면3종릉 2구, 희 2릉1구, 양측면평활, 내과피근목질

개화기 : 4월

결실기 : 8~12월

용  도 : 약용, 제지원료, 수피 염료, 접착제, 세공구용 목재

생약명 : 구필응(救必應), 냉혈산혈, 청열이습, 소염해독, 소종지통, 감기고열 인후염 감염 급성장위염 위통 관절통 등 


우리나라 이명에 좀감탕나무라는 것이 있는데 나무의 크기나 잎의 크기 모두 감탕나무보다 더 큰데도 이런 이명이 있는 이유는 이 나무이 열매 크기가 감탕나무에 비하여는 많이 작기 때문이다.


먼나무

멋지게 전정을 한 주택가 노거수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수꽃으로 보인다. 이 나무는 열매가 달리지 않을 것이다.


먼나무 암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위 나무의 전정한 후의 깔끔한 모습이다.


먼나무

일본의 히로시마 원폭 투하 당시 중심지에서 겨우 900미터 거리에 있었는데도 살아남은 나무라고 한다.


먼나무


먼나무

항상 반으로 약간 접혀 있는 것이 특징


먼나무


먼나무 수꽃


먼나무 암꽃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이렇게 좁은 잎도 있다.


먼나무

어린 나무는 톱니가 있다.


먼나무


먼나무


먼나무

어린 가지에 능과 골이 있다.


먼나무


먼나무 수꽃


먼나무 수꽃


먼나무 수꽃


먼나무 수꽃


먼나무 암꽃


먼나무 암꽃


먼나무 열매


먼나무 열매 

붉게 익어가는 과정에 노랗게 변한다.


먼나무 열매


먼나무 열매


먼나무

이듬해 개화기 5월까지 열매가 달려있다.

 

먼나무

2골 3릉


먼나무

동아는 매우 작다.

자색 어린 줄기와 잎자루가 감탕나무와의 구분 포인트가 된다.


먼나무 수피 회백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