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21 동청목(冬靑木) - 중부지방 월동가능한 최고의 상록 정원수

낙은재 2016. 12. 17. 22:09

동청목

열매를 보려면 반드시 주변에 수그루가 있어야 한다.


그럼 이번에는 우리나라에 동청목(冬青木)으로 등록된 Ilex pedunculosa에 대하여 알아본다. 원산지는 중국과 일본이다. 감탕나무과 상록수로서는 예외적으로 내한성이 매우 강하여 서울 경기 등 중부지방에서도 거뜬히 노지월동 하는데다가 사철 잎이 푸르고 겨울에 빨간 예쁜 열매를 달고 있어 겨울 정원이 쓸쓸하기 그지없는 중부지방에서는 최고의 정원수로 손색이 없지만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아서 그런지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는 아니다. 동청목은 감탕나무과인 이 나무의 정명이기도 하지만 노박덩굴과인 사철나무의 이명이기도 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앞 글에서 알아본 바 있어 생략한다.


앞에서 본 감탕나무와 먼나무 그리고 개동청목이라고 불리는 중국먼나무와 마찬가지로 이 나무도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으로 분류된다. 중국 이름은 구병동청(具柄冬青)으로서 열매자루가 긴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유래가 다소 불분명한 소요고(ソヨ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한자 표기는 동청(冬青)으로 한다. 따라서 우리 이름이 동청목이 된 것이 아닌가 한다. 중국은 감탕나무속을 동청속이라고 하기 때문에 동청은 감탕나무속 나무들의 통칭이 되면서도 특정한 수종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그것이 바로 우리가 앞에서 탐구한 중국먼나무이다. 그외 중국에 분포하는 약 200여 개의 감탕나무속 나무들은 거의 대부분 xx동청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그 중 하나가 우리가 동청목이라고 부르는 오늘의 탐구대상인 구병동청인 것이다. 


중국먼나무

일반인들이 이 나무를 개동청목이라고 부르나 근거가 없으므로 정명인 중국먼나무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

중국에서는 이 나무가 감탕나무속의 대표적인 수종으로 인정받고 있어 그 이름도 동청(冬青)이다.


가끔 동청목을 두고서 개동청목이라고 하는 글도 웹상에서 보이는데 그건 근거가 없는 말이다. 개동청목 자체가 등록명이거나 이명도 아닌데 유통계 등에서 누가 임의로 부르는 이름 같다. 일반인들이 개동청목이라고 부르는 나무는 동청목이 아니라 주로 중국먼나무이다. 이 또한 근거가 없지만 널리 그렇게 불리는 것은 사실이다. 이는 학국원예학회에 실린 어느 학술팀에서 이 동청목(Ilex pedunculosa)과 중국먼나무(Ilex chinensis 또는 Ilex purpurea)를 개동청목으로 이름하여 형태적 특성 비교한 논문 자료가 있던데 거기서 개동청목이 유래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런데 명색이 원예학회라면서 버젓이 중국먼나무라는 정명으로 국표식에 등록된 수종을 개동청목이라고 했다는 것은 정말로 유감이다. 


분류학적으로 봐도 중국먼나무는 감탕나무속 중에서 단서(單序組)조로서 먼나무와 근접하면 근접하였지 왜성조(矮性組)인 동청목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처음부터 비교 대상이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 중에서는 동청목과 가장 근연한 종은 같은 왜성조인 꽝꽝나무이다. 다만 꽝꽝나무는 잎뒤에 선점이 있어 왜성조에서 다시 선엽계로 분류되고 동청목은 소엽계로 분류되어 차이점을 보인다. 중국에서 치엽동청(齿叶冬青)으로 불리는 꽝꽝나무는 잎이 불에 탈 때 내부 수분이 빠져 나오지 못하고 팽창하다가 급기야는 꽝하고 터진다고 붙여진 우리 이름인데 이런 특성은 동청목도 동일하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이 동청목을 소요고라는 이름 외에 후쿠라시(ふくらし)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부풀어 오르다.'라는 뜻이다.


꽝꽝나무 Ilex crenata

분류학상으로는 동청목과 근연종이지만 실제 느낌은 많이 차이나며 특히 검은 열매가 달려 쉽게 구분이 된다.


등록명 : 동청목(冬青木)

학  명 : Ilex pedunculosa Miq.

분  류 :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관목 혹 교목

원산지 : 중국, 일본

중국명 : 구병동청(具柄冬青), 장경동청(长梗冬青)

일본명 : 소요고(ソヨゴ : 冬青)

성정체 : 자웅이주

수  고 : 2~10m

가  지 : 유지근원주형, 종릉각, 담갈색혹 밤색, 무모혹절상미소유모

잎특징 : 박혁질, 란형, 장원상타원형혹 타원형

잎크기 : 4~9 x 2~3 cm

잎모양 : 선단점첨, 표면 주맥평탄혹 약간오목, 배면 융기

잎측맥 : 8~9대, 양면불명현

잎자루 : 섬세, 1.5~2.5cm, 상면세로홈, 배면주름

꽃차례 : 취산화서 단생, 단연지엽액내

꽃특징 : 4~5기수, 백색 혹 황백색

웅화서 : 1~2회 2지 분지, 3~9화, 총화경 2.5cm, 2급축3mm, 화경2~4mm

소포편 : 피침형, 1~1.5mm, 미유모

꽃받침 : 반상, 1.5mm, 4~5렬, 열편3각형, 급첨, 무모

꽃  잎 : 4~5개, 난형, 1.5~1.8mm, 기부초합생

꽃수술 : 꽃잎보다 짧다. 꽃밥 난구형, 퇴화자방란구형

자화서 : 당년지엽액내 단생, 희 3화 취산화서, 화경세장, 1~1.5cm, 기부중부 첩형소포편 2매

꽃받침 : 3mm, 4~5렬, 열편상 연모

화  관 : 5mm, 화판4~5, 난형, 2mm, 퇴화웅예 화판비 단, 불육화약란형

자  방 : 활원추상, 2mm, 주도유두상

과  경 : 2.5~4cm, 소수1~3과의 과경 4.5cm

열  매 : 구형, 7~8mm, 성숙시홍색, 숙존 꽃받침렬편 3각형, 연모

암술대 : 후반상 숙존, 돌기, 분핵4~6, 타원형, 6mm, 배부2.5mm, 평활, 연배중부선 단조문

내과피 : 혁질

개화기 : 6월

결실기 : 7~11월

용  도 : 약용, 고(苦),량(凉), 활혈지혈(活血止血),청열해독(清热解毒)

종소명 pedunculosa는 줄기(stalk)가 있다는 뜻인데 긴 열매자루를 가진 이 나무의 특징을 말한다. 이 나무 구입시 반드시 암수를 구분하여야 한다. 수그루가 없으면 열매를 맺지 못한다.


동청목

곤지암 화담숲


동청목

곤지암 화담숲


동청목


동청목


동청목


동청목

대개 관목이지만 이렇게 교목으로 자라는 나무도 있다. 

이 나무는 낙엽송과 같이 땅속 뿌리를 얕게 내리므로 이렇게 큰 나무는 태풍이나 폭우시 넘어지는 경우가 많다.




동청목


동청목


동청목

열매가 붉게 성숙하지만 이렇게 검게 변할 때까지 달려있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