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덴탈리스세팔란투스
풍상수(风箱树)
오키덴탈리스세팔란투스
풍상수(风箱树)
꼭두서니과의 또 다른 속 세팔란투스속(Cephalanthus)에는 전세계적으로 6종의 식물이 분포하는데 그 중 3종은 아메리키대륙에 있고 나머지 두 종은 아시아에 한 종은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미국 원산의 오키덴탈리스와 그 변종과 원예종 모두 3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 Cephalanthus occidentalis는 이 세팔란투스속의 모식종이기도 하다. 속명 Cephalanthus는 식물분류학의 아버지 린네가 occidentalis종을 표본으로 하여 1753년 그 유명한 <식물의 종 : Species Plantarum>이라는 책에 기록한 것이 시초이다. 속명은 고대 그리시어 kephalos(head)와 anthos(flower)의 합성어로 둥근 머리 모양의 꽃을 의미한다. 종소명 occidentalis는 동양을 뜻하는 orientalis의 반대 개념으로 서양을 뜻한다. 유럽 입장에서는 미주대륙이 서쪽이 되는 것이다.
이 나무는 겉모습이 우리 자생종 구슬꽃나무(중대가리나무)와 매우 흡사하여 중국과 일본에서도 구슬꽃나무와 비슷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실제로 분류체계상으로도 구슬꽃나무속(Adina)과는 꼭두서니과에서 기나나무아과(Cinchonoideae)로 세분되고 거기서 또 나우클레아족(Naucleeae)으로 다시 함께 재분류되는 근연관계에 있다. 즉 611속이 포진한 거대한 꼭두서니과에서 아과(subfamily)와 족(tribe)으로 2차 3차 세분하면 24개속이 나우클레아족을 구성하는데 그 중에 구슬꽃나무속과 이 세팔란투스속이 함께 속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구슬꽃나무를 수양매라고 별칭으로 부르는 중국에서는 이 오키덴탈리스 세팔란투스를 대엽수양매라고 부르기도 하며 구슬꽃나무를 타니와타리노키(縞谷渡りの木)로 부르는 일본도 이 나무를 아메리카 타니와타리노키라고 부른다.
구슬꽃나무(중대가리나무)
풍상수(风箱树)에 비해 꽃지름이 반정도에 불과하고
잎맥도 세로맥이며 특히 잎 크기가 최대 4cm로 풍상수의 15cm에 비하여 많이 작다.
한편 중국에서는 중국 자생종으로 Cephalanthus tetrandrus라는 학명으로 표기되는 풍상수(风箱树)라는 나무가 있는데 이는 청열이습(清热利湿), 수렴지사(收敛止泻), 거담지해(祛痰止咳),감기발열(感冒发热), 인후종통(咽喉肿痛), 장염복사(肠炎腹泻) 및 심지어는 골절외상출혈(骨折外伤出血) 등 매우 다양한 질병에 효험이 있다고 널리 알려진 유명한 약재인데 이 북미에서 건너온 이 오키덴탈리스 세팔란투스도 같은 효과가 있는 약재로 인정하고 있으며 이름도 그냥 풍상수로 불러 거의 동일한 약재로 취급하고 있는 것 같다.
등록명 : 케팔란투스 오키덴탈리스 (2018년 명칭 변경)
과거명 : 오키덴탈리스세팔란투스
학 명 : Cephalanthus occidentalis L.
분 류 : 꼭두서니과 세팔란투스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쿠바
영어명 : buttonbush
중국명 : 풍상수(风箱树)
일본명 : 아메리카 타니와타리노키
수 고 : 4m
잎길이 : 15cm
잎차례 : 대생 혹 윤생
탁 엽 : 엽병간, 정단부 1흑색선체 혹 무선체
꽃차례 : 두상화서, 정색 혹 액생, 지름 3cm
화서축 : 단유모
꽃색상 : 백색
방향성 : 향기
소포편 : 존재
꽃받침 : 관통상, 열편 4, 가끔 5열편
꽃부리 : 접시모양 또는 누두상, 열편근복와상배렬
꽃수술 : 3cm, 화관 후부 착생, 화사단, 화약배착, 기부 단첨두
암술대 : 사상, 주두두상 또는 봉상, 화관밖으로 나옴
자 방 : 2실, 도생배주단생, 현수, 주병과 가종피
열 매 : 견과, 구형
개화기 : 6월
결실기 : 늦여름 ~ 가을
내한성 : 영하 26도, 전국 노지월동 가능
오키덴탈리스세팔란투스
풍상수(风箱树)
'기타 과 식물 > 꼭두서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 창녀의 입술 - 세계적인 진귀한 수종 (0) | 2016.12.31 |
---|---|
240 리펜스 코프로스마 (Coprosma repens) - 내염성이 강한 인기 해변 조경수 (0) | 2016.12.31 |
238 박피목(薄皮木)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일본 자정화(紫丁花) - 유망 정원수 (0) | 2016.12.29 |
237 향과수(香果树) : 헨리에메놉테리스) - 세계적으로 희귀한 아름다운 나무 (0) | 2016.12.29 |
236 무주(無珠)나무 - 78년에 처음 발견된 국내 희귀 보호수종 (0) | 2016.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