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장주화 - 수술은 내장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단주화 - 암술이 내장
이번에는 중국에서 박피목이라 불리는 꼭두서니과의 또 다른 나무를 공부한다. 이 나무도 이 식물의 특징을 감 잡을 수 있는 뭔가 함축적인 우리식 작명은 포기하고 학명 거꾸로 읽기 공식에 따라서 우리 국명이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가 되었다. 수천 년 동안 한자문화권에 있었던 우리나라는 비록 한글이 창제되어 모든 것을 한글로 표기하고 읽을 수는 있으나 언어의 근간은 모두 한자어를 기본으로 하여 생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가 평소하는 말의 거의 대부분이 한자어로 표기될 수 있어 한자를 쓰던 안쓰던 그 바탕은 한자어로 되어 있다는 것을 정녕 모른단 말인가? 도대체 뭐 때문에 이런 중국에만 있는 중국 고유종을 원산지 중국이름을 마다하고 저 멀리 라틴어로된 학명을 그대로 따라서 식물이름을 부른단 말인가? 정말 생각할수록 분통이 터진다.
중국에서 박피목(薄皮木)이라고 하는 이 식물이 속하는 속명 Leptodermis를 중국에서는 야정향(野丁香)속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자정화(紫丁花)속이라고 하여 각기 나름대로 이 속 식물들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냥 렙토데르미스속이라고 하고 넘어간다. 참으로 답답하다. 그런데 일본이름 자정화는 어디서 들어 본 이름 같다고 했더니 그 이유는 바로 이 꼭두서니과에는 백정화(白丁花)속이 있고 백정화라는 꽃나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국과 일본이 원산지인 백정화는 우리 독창적인 이름은 아니고 중국의 영향을 받은 일본의 이름을 따라한 것이다.
이게 백정화이다.
그 나무는 꽃 모양이 정(丁)를 닮고 백색 꽃이 핀다고 백정화(白丁花)라고 하였고 이 나무는 자색 꽃이 정(丁)자 모양으로 핀다고 일본에서는 자정화(紫丁花)라고 부르는 것이다. 중국에서도 이 속명을 야정향이라고 야생에서 정자 모양의 향기나는 꽃을 피운다는 뜻에서 속명을 정하고 야정향속 대부분의 식물들을 xx야정향이라고 이름을 지은 것이다.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당연히 이렇게 식물 이름을 붙여야지 어디 성의라고는 하나도 없이 학명을 그대로 베낀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가 뭐란 말인가?
여하튼 이 야정향속(Leptodermis)에는 전세계적으로 약 40종이 분포하는데 그 중 중국에 35종이 있다. 그 중국의 야정향 중에서 수피가 매우 얇기 때문에 특별히 박피목이라고 불리는 이 나무를 처음에는 그냥 간단하게 그림만 보고 지나가려다가 이렇게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관목으로서 키도 적당하고 꽃도 나쁘지 않으면서 향기도 있고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전역에서 노지월동이 되는 꽃나무라는 점이다. 게다가 꽃피는 계절도 꽃이 비교적 흔하지 않은 초여름부터 가을까지이라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이 된다. 따라서 중국 원산의 위실나무가 요즘 미국을 통하여 국내에 소개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정원에서 충분히 관심을 받을 만한 정원수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 박피목은 내한성이 좋아서 특히 미국 북부지역이나 북유럽의 기후조건에도 맞아 이미 서구에서는 Leptodermis라고 하면 바로 이 oblonga 즉 박피목을 의미하는 정도로 정원수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데 가까운 우리나라에 아직 제대로 보급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이상하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수피가 얇아서 여기저기 벗겨지는 모습이 보인다.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학 명 : Leptodermis oblonga Bunge
분 류 : 꼭두서니과 렙토데르미스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고유종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 야정향(野丁香)속
일본명 : 자정화(紫丁花) - 유사종
수 고 : 1m
수 피 : 소지 섬세, 회색 ~ 담갈색, 부드러운 털, 표피얇음, 편상으로 벗겨짐
잎크기 : 0.7~2.5 x 0.1~1cm
잎자루 : 3mm 이하
꽃자루 : 없음
꽃차례 : 3~7송이 가지 끝 족생
꽃부리 : 단자홍색, 누두상, 길이 11~14mm 최대 20mm, 외면 유모
열 매 : 삭과, 5~6mm
종 자 : 망상, 종피와 가종피 분리
개화기 : 6~8월
결실기 : 10월
내한성 : 전국 노지월동 가능
속명 Leptodermis는 leptos(thin)과 derma(skin)의 합성어로서 얇은 과피를 뜻한다. 종소명 oblonga는 길쭉한 잎모습을 뜻한다. 이 나무 속명의 뜻인 열매의 피가 얇은 것과 이 나무의 중국명 박피는 다른 의미이다. 속명은 이 속으로 분류되는 약 40종의 나무 모두에게 해당되는 특징이며 중국명 박피(薄皮)는 나무 줄기의 껍질이 얇다는 뜻으로 이 수종에만 해당되는 특징이다. 일본에는 자정화라고 부르는 별도의 일본 고유종인 Leptodermis pulchella가 있는데 학자에 따라서는 이를 중국의 박피목과 차이점이 거의 없다고도 한다. 따라서 만약 이 둘이 같은 종이라면 우리에게는 박피목보다는 자정화라는 이름이 더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미 백정화가 널리 알려졌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명 : 자정화(紫丁花)
일본명 : 자정화(紫丁花)
일본명 : 자정화(紫丁花)
중국 박피목과 차이점을 발견하기 어렵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중국명 : 박피목(薄皮木)
등록명 : 오블롱가렙토데르미스
겨울 모습
'기타 과 식물 > 꼭두서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 리펜스 코프로스마 (Coprosma repens) - 내염성이 강한 인기 해변 조경수 (0) | 2016.12.31 |
---|---|
239 오키덴탈리스 세팔란투스 - 구슬꽃나무를 닮은 미국원산 풍상수(风箱树) (0) | 2016.12.30 |
237 향과수(香果树) : 헨리에메놉테리스) - 세계적으로 희귀한 아름다운 나무 (0) | 2016.12.29 |
236 무주(無珠)나무 - 78년에 처음 발견된 국내 희귀 보호수종 (0) | 2016.12.28 |
235 수정목(壽庭木) - 크고 넓은 잎을 가진 호자나무 (0) | 2016.12.28 |